습작시

화음을 위하여 (수정본)

이윤진이카루스 2025. 2. 22. 18:49

화음을 위하여.hwpx
0.05MB

 

   화음을 위하여

 

행복했던 기억 있다면

착각으로 살았던 듯하고

행복

추상명사인데

도깨비 같은 존재의 본질

뚫을 수 없어

공명(共鳴)에 귀 기울이는데,

당신의 소리 다른 소리와

어긋나기 일쑤다.

 

길가에 핀 꽃 무참히 진다면

하늘에 별똥별이 지나갔는데

궤적 지우는 시간 이어졌다.

 

동시대에 산다는 환상으로

살 부비며 화음 만들지만

교차하는 존재 느끼며

황홀하게 망각하는 것?

 

후기:

모든 공명 현상의 거의 보편적인 불완전은 우리 우주의 시공적 속성들과 관련되어 있다: 완전한 공명 상태에 있으려면 두 개의 진동자 사이의 거리가 자체 파장의 정확한 배수여야 할 터이다; 진동자들이 상대적 움직임 속에 있거나 진동자 자체가 질점들이라기보다 확대된 물리적 체계들이라면 자체 파장의 정확한 배수는 불가능하다. 게다가 동시성의 상대성으로 인하여 완전한 공명과 같은 것은 불가능하게 된다 (왜냐하면 공명기들이 관성 체계들이 아니기 때문이다: 두 개의 공명기는, 특히 그 주파수가 높다면 동일한 관성 체계에 놓여있을지라도 틀림없이 자체의 동시성 초평면[超平面: hyperplane]을 변화시킨다; 그리고 두 개의 공명기는 이것을 동시적으로 할 수 없다.

그리하여 불완전은 우리들이 사는 그렇게 명백하게 비()-파르메니데스적 세계의 주요 구성요소일 것이다. 사실상 완벽한 공명 속의 세계는 존재할 수 없을 터이다 ㅡ 그런 세계에서 어떤 일도 발생할 수 없을 터라는 의미에서: 그것은 정말로 파르메니데스적 세계일 터이다.

ㅡ 칼 포퍼 저, 아르네피터슨 편집, ‘파르메니데스의 세계’, 2007, 202-230쪽ㅡ

The almost universal Imperfection of all resonance phenomena is connected with the spatio-temporal properties of our universe: to be in perfect resonance, the distance between two oscillators would have to be a precise multiple of their wave-length; which is impossible if the oscillators are in relative motion, or are themselves extended physical systems rather than mass points. Moreover, the relativity of simultaneity makes anything like perfect resonance impossible (since resonators are not inertial systems: two resonators, especially if their frequency is high, must, even if they are located in the same inertial system, change their hyperplane of simultaneity; and they cannot do this simultaneously.

Thus imperfection may be a major building block of our so obviously non-Parmenidean world. In fact, it seems likely that a world in perfect resonance could not exist - in the sense that nothing could ever happen in such a world: it would indeed be a Parmenidean world.

Karl Popper, 'The World of Parmenides', 2007, p 202-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