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해저 수심 1만m에 인간이 버린 쓰레기가 있었다/해럴드경제

이윤진이카루스 2021. 6. 3. 05:57

인류 최초 수심 1만m 내려갔는데..사람 흔적 있었다 [영상]

입력 2021. 06. 02. 20:49 댓글 689

기사 도구 모음

자동요약

지구에서 세번째로 깊은 해구인 필리핀 해구를 인류가 사상 최초로 탐험했다.

수심 1만m의 깊은 해연이었다.

민간해저기술업체 캘러던 오셔닉은 최근 유튜브 채널을 통해 지난 3월 필리핀 해구의 엠덴 해연 탐사 영상을 공개했다.

엠덴 해연은 약 수심 1만 540m에 달한다.

 

수심 1만m의 필리핀 해구 엠덴 해연에서 발견된 각종 쓰레기 [캘러던 오셔닉(Caladan Oceanic) 유튜브 캡처]

[헤럴드경제=김민지 기자] 지구에서 세번째로 깊은 해구인 필리핀 해구를 인류가 사상 최초로 탐험했다. 수심 1만m의 깊은 해연이었다.

그러나 탐사자들이 도착한 그곳에는 이미 인간의 흔적이 즐비했다. 바로 플라스틱을 포함한 각종 쓰레기였다.

[캘러던 오셔닉(Caladan Oceanic) 유튜브]

민간해저기술업체 캘러던 오셔닉은 최근 유튜브 채널을 통해 지난 3월 필리핀 해구의 엠덴 해연 탐사 영상을 공개했다.

탐사에는 필리핀국립대 해양과학연구소 미생물해양학자 데오 플로렌스 온다(33) 박사와 해저탐험가이자 퇴역한 미 해군 장교 빅터 베스코보(55)가 참여했다.

온다 박사와 베스코보가 당시 심해잠수정 ‘리미팅 팩터’를 타고 무려 12시간에 걸쳐 엠덴 해연 속으로 내려갔다. 엠덴 해연은 약 수심 1만 540m에 달한다.

인류의 엠덴 해연 탐사는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 1951년 덴마크 선박 갈라테아호가 이곳을 처음으로 탐사하긴 했지만, 해연 속으로 들어가지는 못했다.

그들은 인류 최초 탐사가로서 미지의 심해 생명체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감에 부풀었다. 그러나 온다 박사와 베스코보의 눈 앞에 펼쳐진 건 뜻밖의 물체였다.

바로 인간의 쓰레기다.

수심 1만m가 넘는 엠덴 해연 바닥에는 비닐봉지, 제품 포장지, 셔츠, 바지, 곰인형 등 수많은 쓰레기가 분해되지 않은 채 떠다니고 있었다.

온다 박사는 “심해에 흰 물체가 둥둥 떠다니고 있어 베스코보에게 ‘저건 해파리’라고 말했는데 가까이 가보니 플라스틱이었다”며 “마치 그것들이 수퍼마켓에서 온 것 같았다”고 말했다.

수심 1만m 이상의 해연에서 떠다니는 비닐봉지 [캘러던 오셔닉(Caladan Oceanic) 유튜브 캡처]

인류가 최초로 탐사한 깊은 심연에서 발견된 쓰레기는 인간에 의한 해양오염이 얼마나 심각한지를 반증한다.

온다 박사는 “지구 오염이 얼마나 심각한지를 알게 됐고 이를 알려야 할 책임을 느꼈다”며 “우리는 아직 심해 생물이 얼마나 다양한지, 이들이 해양 생태계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도 알지 못한다”고 우려했다.

해저에서 해양 쓰레기가 발견된건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지난해에는 마리아나 해구에서 발견된 새로운 종의 심해 갑각류 소화기관에서 플라스틱 물질이 나왔다. 작은 새우처럼 해당 갑각류는 수심 6000~7000m에서 잡혔다.

마리아나 해구에서 발견된 새로운 종의 갑각류(왼쪽)와 소화기관에서 발견된 플라스틱 조각. [포브스 캡처]

영국 뉴캐슬대 자연환경과학과 앨런 제이미슨 교수팀은 이 갑각류의 소화기관에서 플라스틱 물병이나 운동복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합성화합물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를 발견했다. 지구에서 가장 깊은 바다인 태평양 마리아나 해구마저도 플라스틱 쓰레기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것이다.

한편, 깊은 심해의 경우 햇빛과 산소가 적기 때문에 플라스틱과 같은 물질은 쉽사리 분해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플라스틱은 해양 쓰레기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북태평양 하와이와 미국 캘리포니아 주 사이에는 플라스틱 8만7000톤 이상이 모여있는 ‘거대 쓰레기 섬’(Great Pacific Garbage Patch)이 위치해 있을 정도로 해양 오염 문제는 심각하다.

jakmeen@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