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52

호모 네쉐르 라믈라 발견/동아사이언스

[표지로 읽는 과학] 호모 네쉐르 라믈라 발견, 네안데르탈인 기원 흔들다 조승한 기자 입력 2021. 06. 27. 08:50 댓글 19개 사이언스 제공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25일 표지로 고대 인류의 두개골 윗부분과 턱 부분 화석을 토대로 재구성한 인간 두개골의 모습을 실었다. 약 14만~12만 년 전 중동 팔레스타인과 시리아, 요르단 부근을 가리키는 레반트 지역에서 이전에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호모 그룹이 확인됐다. 이들은 현생인류인 호모 사피엔스와 동시에 레반트에 거주하고 함께 생활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스라엘 허스코비츠 이스라엘 텔아비브대 해부학 및 인류학부 교수 연구팀은 이스라엘 네쉐르 라믈라 유적지에서 발견된 고대 인류의 화석을 분석한 연구결과를 25일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유적지에서 발굴 ..

과학 2021.06.27

혈액 학자, 칼 란트슈타이너/조선일보

PICK 안내 염소피 수혈 악몽 끝냈다… 11억명 생명 구한 유대인 의과학자 신문A34면 1단 기사입력 2021.06.22. 오전 3:06 최종수정 2021.06.22. 오전 7:25 기사원문 스크랩 본문듣기 설정 [홍익희의 新유대인 이야기] [13] 혈액형 발견한 의과학자 오스트리아 출신 란트슈타이너 1900년 카를 란트슈타이너는 서로 다른 피를 섞으면 적혈구가 뭉쳐 덩어리를 이루는 현상을 발견, 사람의 핏속에는 항체 반응을 일으키는 서로 다른 항원이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를 근거로 1901년 혈액형을 A형, B형, C형(후에 O형으로 변경)으로 분류했고, 1년 뒤 그의 제자들이 AB형도 찾아냈다. 란트슈타이너가 혈액형을 발견하기 전에는 환자가 너무 많은 피를 흘려 죽는 경우가 많았다. 의사들은 환..

과학 2021.06.22

소행성 대충돌로 공룡 멸종한 지구, 채 회복되기 전 2차 충돌/한겨레

사진 삭제링크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소행성 대충돌로 공룡 멸종한 지구, 채 회복되기 전 2차 충돌 기사입력 2021.06.19. 오전 3:00 기사원문 스크랩 4143 [이근영의 기상천외한 기후이야기] 영국팀 공룡시대 종말의 ‘이중 충돌 가설’ 제시 6600만년 전 칙술루브 충돌로 기후변화 가속 대멸종 맞은 기후시스템 회복 전 두번째 충돌 “작은 충격에도 지구 회복 방해받을 수 있어”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공룡 멸종을 부른 소행성과의 대충돌 뒤 또다른 작은 충돌이 잇따랐다는 ‘이중 충돌 가설’이 제시됐다. 픽사베이 제공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6600만여년 전 지구에서는 공룡 등 지구 생물종의 75%가 절멸하는 대멸종이 발생했다. 비슷한 시기에 일어난 인도 델칸고원의 화산 ..

과학 2021.06.19

2만4천년만에 살아난 얼음 속 동물/한겨레

사진 삭제링크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상상이 아니다…2만4천년만에 살아난 얼음 속 동물 기사입력 2021.06.09. 오전 10:24 최종수정 2021.06.09. 오후 7:20 기사원문 2만4천년 전 얼어버린 영구동토층의 담륜충 해동하고 먹이 주자 되살아나 번식까지 마쳐 영구동토층에서 살려낸 담륜충. Michael Plewka/커런트바이올로지 공상과학 작품에 곧잘 등장하는 인공 동면, 또는 냉동 인간의 부활 장면은 현실이 될 수 있을까? 이런 상상력을 자극할 만한 일이 일어났다. 과학자들이 무려 2만4천년 동안 시베리아 영구동토층에서 언 상태로 있던 동물을 되살려내는 데 성공했다. 죽음보다 깊은 잠에서 깨어났다는 표현이 지나치지 않을 듯하다. 화제의 동물은 ‘델로이드 로티퍼’(Bdelloid roti..

과학 2021.06.10

나무가 높이 자랄 수 있는 이유/까치글방

시리즈콜라보모두를 위한 생물학 강의 나무가 높이 자랄 수 있는 이유는? 바로 중력을 거슬러 줄기를 타고 올라가는 물의 힘!! 까치글방 공식 {=badgeName} 2021.04.05. 17:5614,641 읽음 비밀글 통계 "나무는 어떻게 높이 자랄 수 있을까?" 세상에서 가장 키가 큰 나무는 미국 캘리포니아 주에 있는 세쿼이어라고 하는데요, 그 키가 115.5미터에 달한다고 합니다. 나무가 뿌리에서 물을 흡수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키가 115.5미터라는 말은 즉 뿌리에서 흡수한 물이 무려 115.5미터를 거슬러올라야 한다는 뜻이죠. 그렇다면 물을 꼭대기까지 운반하기 위해서 나무 안에서는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을까요? 물이 나무 속을 거슬러 올라가는 원리에는 사실 몇 가지가 있습니다. 가장 간단한 방법은..

과학 2021.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