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재국가는 어떻게 망하는가, 알렉시 드 토크빌
원주민이 자기가 사는 장소의 운명에 무관심한 채 자신을 일종의 정착민으로 여기는 나라들이 유럽에 있다. 그곳에서 커다란 변화가 그의 동의 없이 일어나고 (우연히 그가 그 사건을 알지 못하면) 자신도 모르게 일어난다; 아니, 더구나 자기 마을의 상황이나 거리의 경찰 혹은 교회와 교구의 수리는 그와 관계없다; 왜냐하면 그가 이 모든 것을 자기와 무관하다고 간주하고, 정부라고 부르는 강력하고 낯선 사람의 재산으로 간주하기 때문이다. 그는 소유 정신이나 개선하려는 생각 없이 다만 이 재산에 생명을 유지하는 이익을 가지고 있다. 자기 일에 관심 부족이 몹시 지나쳐서 자신이나 자식의 안전이 마침내 위험에 처하면 그 위험을 피하려고 노력하는 대신, 그는 팔짱 끼고 모든 국민이 도와주러 올 때까지 기다린다. 자신의 의지를 완전히 버린 이 사람은 다른 사람보다 더 복종을 사랑하지 않는다; 그는 실제로 가장 낮은 관리에게 움츠러들지만, 법률이라는 더 강한 힘이 물러가자마자 정복당한 사람의 정신으로 법률에 대든다; 그는 끊임없이 굴종과 방종 사이에서 오락가락한다. 한 민족이 이 지경에 이르면 틀림없이 관습과 법률이 바뀌든지 아니면 멸망한다; 왜냐하면 공중도덕의 뿌리가 메말라버렸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민족에 백성은 있지만, 시민은 없다. 그런 사회는 외부 침략에 자연히 먹이가 된다; 그리고 그들이 완전히 사라지지 않는다면 그것은 그들이 자기보다 열등하거나 자기와 유사한 국가에 둘러싸여 있기 때문이다; 그것은 그들이 애국심에 대한 정의(定義)될 수 없는 본능을 여전히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자신들의 나라에 대한 자신들의 이름에 대한 비자발적 자존심이나 자신들의 나라의 지나간 명성에 대한 모호한 기억이 그들에게 자기-보존이라는 충동을 충분히 부여하기 때문이다.
ㅡ 알렉시 드 토크빌(Alexis de Tocqueville) 저, 헨리 리브(Henry Reeve) 번역, ‘미국의 민주주의(Democracy in America)’, 1권, 1841년, 92-93쪽 ㅡ
There are countries in Europe where the native consider himself as a kind of settler, indifferent to the fate of the spot which he inhabits. The greatest changes are effected there without his concurrence, and (unless chance may have apprised him of the event) without his knowledge; nay, more, the condition of his village, the police of his street, the repairs of the church or the parsonage, do not concern him; for he looks upon all these things as unconnected with himself and as the property of a powerful stranger whom he calls the government. He has only a life interest in these possessions, without the spirit of ownership or any ideas of improvement. This want of interest in his own affairs goes so far that if his own safety or that of his children is at last endangered, instead of trying to avert the peril, he will fold his arms and wait till the whole nation comes to his aid. This man who has so completely sacrificed his own will does not, more than any other person, love obedience; he cowers, it is true, before the pettiest officer, but he braves the law with the spirit of a conquered for as soon as its superior force is withdrawn; he perpetually oscillates between servitude and license. When a nation has arrived at this state, it must either change its customs and its laws, or perish; for the source of public virtues is dried up; and though it may contain subjects, it has no citizens. Such communities are a natural prey to foreign conquests; and if they do not wholly disappear from the scene, it is only because they are surrounded by other nations similar or inferior to themselves; it is because they still have an indefinable instinct of patriotism; and an involuntary pride in their name of their country, or a vague reminiscence of its bygone fame, suffices to give them an impulse of self-preservation.
'민주주의를 위하여' 카테고리의 다른 글
Democracy in America / Tocqueville, Alexis de (0) | 2025.04.18 |
---|---|
반대자를 중시하라/월터 리프만 (1) | 2025.04.17 |
랜드 연구소 오공단 박사가 보는 한반도 상황 (0) | 2025.02.01 |
FRANKL Viktor Man's Search For Meaning 1963 : Viktor Frank (0) | 2025.01.15 |
Why the West rules-- for now, Morris Ian (0) | 2025.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