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자취
삶과 죽음 동일하다는
헤라클레이토스의 주장
순간에서 참이지만
긴 시간에선 거짓이고
우주에서
참인지 거짓인지 알지 못한다.
순간에서 살 수 있고
장시간에서 살겠지만
영생 불가능하고
오래 남는 것
영롱한 발자취인데
영생하면
소중한 이유?
이 순간 죽고 싶다.
장시간 살고 싶다면
어리석은가, 현명한가?
그도 저도 아니면
무지할 따름.
후기: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이 답변하려고 노력했던 문제들은 주로 우주론적 문제들이었지만, 지식론의 문제들 또한 있었다. 철학은 우주론으로 그리고 간단한 지식론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것이 나의 신념이다. 모든 사색가들이 관심을 갖는 적어도 한 가지의 철학적인 문제가 있다: 우리가 사는 세상을 이해하는 문제; 그리하여 (그 세상의 일부인) 우리 자신과 그 세상을 이해하는 문제. 모든 과학은 우주론이라고 나는 믿어서, 나에게는 철학에 대한 관심이 과학에 대한 관심보다 전혀 덜하지 않은데, 그 관심은 세상에 대한 우리의 지식과 세상에 대한 우리 지식론을 확충하려는 대담한 시도에만 놓여있다. 예를 들어 나는 비트겐슈타인(Wittgenstein)에 관심을 두는데, 그의 언어 철학 때문이 아니라, 그의 저서 논리철학논고(Tractatus)가 우주론적 논문이었고 (비록 조악한 것일지라도), 그의 지식론이 그의 우주론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철학과 과학 모두 저 과제를 포기할 때 ㅡ 그 학문들이 전문화되어 우리의 세상에 있는 수수께끼를 보고 경탄하지 않을 때 ㅡ 나에게서 그 학문들의 매력이 없어진다. 전문화는 과학자들에게 커다란 유혹일 것이다. 철학자에게 전문화는 매우 큰 죄악이다.
ㅡ 칼 포퍼, ‘추측과 논박(Conjectures and Refutations)’, 1989년, 136쪽 ㅡ
The questions which the Presocratics tried to answer were primarily cosmological questions, but there were also questions of the theory of knowledge. It is my belief that philosophy must return to cosmology and to a simple theory of knowledge. There is at least one philosophical problem in which all thinking men are interested: the problem of understanding the world in which we live; and thus ourselves (who are part of that world) and our knowledge of it. All science is cosmology, I believe, and for me the interest of philosophy, no less than of science, lies solely in its bold attempt to add to our knowledge of the world, and to the theory of our knowledge of the world. I am interested in Wittgenstein, for example, not because of his linguistic philosophy, but because his Tractatus was a cosmological treatise (although a crude one), and because his theory of knowledge was closely linked with his cosmology.
For me, both philosophy and science lose all their attraction when they give up that pursuit - when they become specialisms and cease to see, and to wonder at, the riddles of our world. Specialization may be a great temptation for the scientist. For the philosopher it is the mortal sin.
'습작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죄 (수정본) (1) | 2025.04.25 |
---|---|
아름다운 말 (수정본) (0) | 2025.04.24 |
야만의 땅 (수정본) (0) | 2025.04.21 |
황혼 찾아오면 (수정본) (0) | 2025.04.20 |
2014년 6월 6일 서울 국립현충원 (수정본) (0) | 2025.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