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민주의 경우 당이 서 의원의 가족 채용 문제 등을 총선 공천 과정에서 알고 있었는지가 새로운 쟁점으로 떠올랐다. 당시 공천관리위원회 심사 과정에서 서 의원의 친인척 채용이 문제가 돼 공천에 대한 결론이 유보됐으나 당 지도부가 정무적 판단으로 공천했다는 증언이 나오고 있다. 더민주는 ‘로스쿨 아들 구제’ 의혹과 ‘시집 강매’ 논란을 빚은 신기남·노영민 전 의원에 대해서는 중징계 결정을 내려 공천에서 배제한 바 있다. 서 의원과 이들 의원 간의 형평성 문제가 제기될 수밖에 없다.
더민주의 감찰조사는 이제 단순히 서 의원 개인에 대한 조사와 징계로 끝날 수 없는 상황이 됐다. 당이 서 의원의 윤리 위반 행위를 안 시점이 언제인지, 총선 심사 과정에서 어떤 잣대와 판단을 적용해 공천을 주게 됐는지를 상세히 조사해 공개해야 할 것이다.
국민의당 총선 홍보비 리베이트 수수 의혹 사건은 27일 당시 사무총장을 지낸 박선숙 의원이 검찰에 출석하면서 정점으로 치닫고 있다. 이번 사건이 당직자 개인의 일탈 행위 차원을 넘어 당 차원의 조직적 개입이 있었다는 수사 결과가 나올 경우 메가톤급 후폭풍이 몰아칠 게 분명하다. 국민의당은 자체 진상조사를 벌여 “문제없다”는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그러나 검찰이 왕주현 전 사무부총장의 사전구속영장을 청구하면서 ‘셀프 면죄부’는 도리어 세간의 큰 비웃음거리가 되고 말았다.
도덕성은 야당에는 가장 강력한 무기이자 힘의 원천이다. 두 당은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스스로 치부를 낱낱이 드러내겠다는 각오를 다져야 한다. 뼈를 깎는 반성, 가혹할 정도로 과감하게 환부를 도려내는 결단 없이는 성난 유권자의 마음을 되돌릴 수 없음을 깨닫기 바란다.
[사설] 지도부도 할 말 없는 두 야당의 도덕 불감증
등록 :2016-06-27 17:35수정 :2016-06-27 18:25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이 도덕성 문제로 동시에 곤경에 처했다. 더민주는 ‘가족 채용 논란’ 등으로 물의를 빚고 있는 서영교 의원에 대한 감찰조사에 착수했고, 국민의당은 총선 홍보비 리베이트 수수 의혹 사건으로 현역 의원 두 명과 회계 실무 당직자가 형사처벌을 당할 수도 있는 위기에 직면했다. 두 당의 지도부는 검찰수사와 감찰조사 결과에 따른 “엄정하고 단호한 조처”를 약속하고 있으나, 지도부 역시 안이한 대응을 해왔다는 점에서 비판에서 벗어날 수 없다.
'민주주의를 위하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빤쪽 공화국 / 한겨레신문 (0) | 2016.06.29 |
---|---|
불의 맞선 교수 정석해 / 박상규 홍익대 교수 / 한겨레신문 (0) | 2016.06.28 |
“배차일지 보세요, 컵라면 먹을 시간도 없어요” / 한겨레신문 (0) | 2016.06.27 |
“대학원생은 교수의 노예…노벨상 절대 나올 수 없는 이유죠” / 한겨레신문 (0) | 2016.06.27 |
임은정 검사 “스폰서 달고 놀던 간부, 저를 꽃뱀같은 여검사라고 욕해” / 한겨레신문 (0) | 2016.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