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포퍼 원전+번역문

전칭 경험서술의 가치

이윤진이카루스 2018. 5. 29. 21:39

정확한 법칙으로부터 (다시 말해서, 보다 높은 기본적 비개연성을 지닌 보다 간단한 법칙으로부터) 연역된 개별적 결론 자체는 덜 정확한 법칙으로부터 (더 높은 기본적 확률을 지니고, 덜 간단한) 연역된 개별적 결론보다 더 정확하고 (더 간단하고 더 높은 기본적 비개연성을 지닌다), 더 작은 범위를 지닐 것이다 [지닐 수 있다]. 그리하여 단칭 경험 서술들의 범위들 사이의 관계들은, 상응하는 가설들 사이에 존재하는 관계들과 정확하게 일치한다.

그러나 우리가 전칭 경험서술의 범위를 단칭 경험서술의 범위와 비교하려 한다면 (다시 말해서, 우리가 가설의 기본적 확률을 개별적 결론의 기본적 확률과 비교하면), 전칭 경험서술이 항상 여하한 단칭 경험서술보다 무한히 더 비개연적이고 전칭 경험서술의 범위가 무한히 더 작음을 우리는 주목한다. 보다 정확하게, 그 서술들이 지닌 확률들은 규모에서 완전히 다른 질서들을 지닌다. (전칭 서술이 지닌 더 작은 범위 때문에, 전칭 서술은 [단칭서술들과 연결하여 고려되어] 무제한적인 숫자의 단칭서술들을 함축할 수 있다; 전칭 서술은 단칭서술들의 전제가 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전칭 경험서술들이 검증될 수 없다는 사실은, 그 서술들이 지닌 높은 기본적 비개연성과 연결된다. 또 다른 방식으로 표현되어, 전칭 경험서술들은 경험적으로 공허한 것과는 거리가 멀다.

결론적으로, 전칭 서술들이 지닌 인식적 가치는 단칭서술들의 규모 질서와 완전히 다른 규모 질서를 지니는데 이유인즉 서술의 인식적 가치는 그 서술이 지닌 기본적 비개연성에 비례하여 증가하기 때문이다.

이것이 우리가 이론적 (혹은 보편적 법칙의[nomothetic]” [혹은 입법적<nomological>”]) 자연과학들을, 다시 말해서, 법칙들을 표출하는 자연과학들을 개별화하는 (혹은 표의적인[表意的: ideographic]”) 과학들보다 그만큼 더 높이 평가하는 이유이고, 우리가 그 자연과학들에게 훨씬 더 큰 정도까지 과학의 특징을 귀속시키는 이유이다: 그 자연과학들은 개별화하는 과학들과 완전히 다른 규모의 질서까지 과학적이다.

그리하여 이 두 번째 평가는 단칭 및 전칭 경험서술들의 구분에 근거하는데 단칭 경험서술들에게보다 전칭 경험서술들에게 비교될 수 없이 높은 위상을 부여한다. 그리하여 저 경멸적인 첫 번째 평가는 이 시점에서 또한 수정되어야 한다. 그 평가는 이 더 높은 위상을 어떤 정도로도 훼손시킬 수 없다; 이유인즉 전칭 경험서술들이 실제에 관하여 너무 많은 것을 서술하기 때문에 결코 경험적으로 검증될 수 없다할지라도, 그 서술들이 지닌 긍정적인 가치 즉, 그 서술들이 지닌 입증적 가치는 단칭 경험서술이 지닌 진리 가치보다 결코 더 낮지 않기 때문이다; 이유인즉 전칭 경험서술이 지닌 입증적 가치는 항상, 동시에, 요약보고서의 진리 가치를 지니기 때문이다.

경험적 지식에 관하여 전칭 서술들이 지닌 비교될 수 없이(incomparably) (이 단어의 정확한 의미에서) 더 높은 가치는 의심의 여지없이, 자연법칙들에 관한 자연과학들의 평범한 견해에 대한 사이비-서술 특별표현들의 배척을 정당화하고 그 견해의 인정을 정당화한다: 그 가치로 인하여 자연법칙들에서 특별히 귀중한 경험서술들이 보인다.

- 칼 포퍼, “지식론에 관한 두 가지 근본적인 문제”, 2009, 335~336-

 

A singular consequence deduced from a precise law (that is, from a simpler law, one with a higher primary improbability), will [can] itself be more precise (be simpler, have a higher primary improbability), have a smaller range, than a singular consequence deduced from a less precise law (one with a higher primary probability, less simpl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ranges of singular empirical statements, therefore, correspond exactly to those that obtain between the corresponding hypotheses.

But if we try to compare the range of a universal empirical statement with that of a singular empirical statement (that is, if we compare the primary probability of a hypothesis with that of a singular consequence), we note that a universal empirical statement is always infinitely more improbable that any singular empirical statement, and its range infinitely smaller. More accurately, their probabilities are of entirely different orders of magnitude. (On account of its smaller range, a universal statement [taken in conjunction with singular statements] can imply an unlimited number of singular statements; it can be their premise.)

The fact that universal empirical statements are not verifiable is, therefore, associated with their high primary improbability. Put another way: they are far from being empirically empty.

Consequently, the cognitive value of universal statements is of an entirely different order of magnitude from that of singular statements, for the cognitive value of a statement increases with its primary improbability.

This is why we rate the theoretical (or “nomothetic” [or “nomo-logical”]) natural sciences, that is, the ones that formulate laws, so much higher than the individualising (or “ideographic”) sciences, and why we attribute to them the character of a science to a much higher degree: they are “scientific” to an entirely different order of magnitude from the individualising sciences.

This second valuation, therefore, based on the distinction between singular and universal statements, accords an incomparably higher status to universal than to singular empirical statements. And that derogatory first valuation must be revised also at this point. It cannot detract from this higher status in any way; for although universal empirical statements can never be empirically verified, because they state too much about reality, their positive value, or their corroborative value, is never lower than the truth value of a singular empirical statement; for the corroborative value of a universal empirical statement has always, at the same time, the truth value of a summary report.

The incomparably (in the precise sense of this word) higher value of universal statements for empirical knowledge undoubtedly justifies the rejection of the pseudo-statement terminology and a recognition of the empirical sciences’ ordinary view of natural laws: it sees in them especially valuable empirical statements.

- Karl, Popper, “Two Fundamental Problems of the Theory of Knowledge”, 2009, p 335~336 -

 

 

 

전칭 경험서술의 가치.hwp

전칭 경험서술의 가치.hwp
0.02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