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포퍼 원전+번역문

박진성(Verisimilitude)

이윤진이카루스 2023. 11. 22. 16:12

박진성(Verisimilitude).hwp
0.03MB

                                 

   박진성(Verisimilitude)

 

2. 몇 가지 세부사항을 제시하기 위하여 우리에게 먼저 오디세이(Odyssey) 19,203에서 한 구절이 있다: 교활한 오디세우스는 페넬로페(Penelope)에게 (그녀는 오디세우스를 알아보지 못한다) 거짓이지만 상당히 많은 진실의 요소들을 담고 있는 이야기를 말한다; 혹은 호메로스(Homer)가 표현하는 바와 같이, ‘그는 진리와 유사한 많은 거짓말을 만들어냈다’ (‘etumoisin homoiα’). 그 표현은 신통기(神統記: Theogony), 27 이하에서도 반복된다: 제우스의 딸들인 올림포스의 뮤즈 신()들이 헤시오도스(Hesiod)에게 말한다: ‘우리는 진리와 유사한 많은 거짓말을 어떻게 말하는지를 알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우리가 원한다면 진리(αlētheiα)를 말하는 방법을 또한 알고 있다.’

이 구절은 그 구절에서 etumosαlēthēs(true)’에 대한 동의어들로서 나타나기 때문에 또한 흥미롭다.

etumoisin homoiα라는 표현이 나타나는 세 번째 구절은 신통기(神統記: Theogony), 713인데 그곳에서 교활함이 칭송되고 (오디세이에서처럼) 거짓말을 진리처럼 들리도록 만드는 힘은 신성한 것으로 기술(記述)된다 (아마도 신통기[神統記: Theogony]에서 뮤즈 신[]들에 대한 언급): ‘()과 같은 네스토르(Nestor)의 훌륭한 혀로써 당신은 거짓말을 진리와 유사하게 만들 터이다’.

이제, 이 구절들에 대한 한 가지 일은 그 구절들 모두가 우리가 오늘날 문학적 비판이라고 부르는 것과 관련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유인즉 이 쟁점이 진리와 같은 (그리고 그렇게 들리는) 이야기들을 말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매우 유사한 글귀가 그 자신이 시인이자 아마도 최초의 문학 비평가였던 크세노파네스(Xenophanes)에게서 발견될 수 있다. 그는 homoiα의 자리에 eoikotα라는 용어를 도입한다 (DK B35). 아마도 자신의 신학이론을 언급하면서 그는 말한다: ‘이것들이 진리와 유사하다고 우리는 추측할 것이다’ (eoikotα tois etumoisi ; 153쪽과, 플라톤의 파이드로스[Phαedrus] 272 D/E, 273 B D 참조).

여기서 견해(doxα: ‘opinion’)라는 용어로부터 도출되는 용어와 (나는 그 용어를 우리는 추측할 것이다[we may conjecture]’로 번역했다) 연결하여 박진성(확률이 아니다) 개념을 분명하게 표현하는 구절을 우리가 다시 경험하는데, 견해(doxα: ‘opinion’)라는 용어는 파메니데스에게서 그리고 파메니데스 이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동일한 용어가 위 26쪽과 153쪽에 인용된 크세노파네스, B34의 마지막 행에 또한 나타나고 그곳에서 sαphes, ‘확실한 진리[certαin truth]와 대조적으로 사용된다.

다음 단계는 중요하다. 파메니데스 B8:60eoikotα(‘유사한[similar]’ 혹은 같은[like]’) 명시적으로 진리(truth)’를 언급하지 않고 사용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크세노파네스에게서처럼, ‘진리 같은(like the truth)’을 의미한다고 나는 제안하여, 그에 따라 그 구절을 번역했다 (‘완전히 진리 같은[wholly like truth]’: 11 참조). 나의 주요 논증은 그 구절과 크세노파네스 B35 사이의 유사성이다. 두 구절 모두는 죽을 운명인 인간의 추측들(doxα)에 대하여 말하며, 두 구절 모두 인간의 추측들에 대하여 비교적 호의적인 것을 말한다; 그리고 두 구절 모두는 비교적 훌륭한추측도 실제로 참인 이야기가 아님을 분명하게 암시한다. 이 유사성들에도 불구하고 파메니데스의 표현은 흔히 개연적이고 그럴듯한(probable and plausible)’에 의하여 번역되었다 (236쪽의 주석19 참조).

이 구절은 플라톤의 티마이오스(Timαeus)(27e-30c) 있는 중요한 구절과의 밀접한 연관성 때문에 흥미롭다. 이 구절에서 플라톤은 한편으로 항상 존재하면서 생성이 없는 것(That which always Is and has no Becoming)’과 다른 한편으로 항상 생성 중이면서 존재한 적이 없는 것(That which is always Becoming and never Is)’ 사이의 파메니데스적 구분으로부터 시작한다 (27e-28a); 그리고 그는 파메니데스와 함께 이것들 중 두 번째 것이 의견도 내지 않고 추론도 하지 않는 감성의 대상인반면 첫 번째 것은 이성에 의하여 알려질 수 있다고 말한다 (165쪽과 또한 비교하라).

이것으로부터 그는, 변하고 생성하는 세상이 (ourαnos 혹은 cosmos: 28b) 창조자에 의하여, 모방품이나 닮음으로서(eikon) 만들어졌다고 나아가 설명하는데 모방품이나 닮음의 원형이나 전형은 존재하면서 영원히 불변하는 존재이다.

전형으로부터 모방품으로의(eikon) 이행은, 파메니데스에게서 진리의 길로부터 느낌의 길로의 이행과 대등하다. 나는 후자(後者) 이행을 위에서 (11) 인용헸고, 그 이행은 eoikotα라는 용어를 담고 있는데 그 용어는 플라톤의 eikon’, 진리와 유사함 혹은 존재하는 것과 유사함과 관련된다; 그것으로부터 플라톤이 eoikotα개연적(probable)’이나 그럴듯한(likely)’보다 ‘(진리와) 같은으로서 읽었다고 우리가 아마도 결론을 내릴 것이다.

그러나 모방품이 진리와 같다는 것에서 확실하게 알려질 수 없지만 우리가 불확실하거나 그럴듯한(likely)혹은 개연적인(probable)그것에 대한 견해를 가질 수 있을 따름이라고 플라톤이 또한 말한다. 이유인즉 전형에 대한 모방품의 유사함에 (지나지 않는 것에) 대한 설명은... (다만) 그럴듯함(likelihood)을 지니는반면, 전형에 대한 설명들은 지속적이고 흔들리지 않으며 논박될 수 없고 정복될 수 없을’ (29b-c) 것이라고 그가 말하기 때문이다; 이유는 생성에 대한 존재의 관계처럼, 진리도 (다만) 믿음과 관계를 맺기 때문이다. (파이드로스[Phαedrus] 259 E에서 260 B-E까지, 266 E-267 A 또한 참조.)

이것은 그럴듯함(likelihood)이나 개연성(probability)(eikotα), 동시에 박진성과 연결시키면서 불완전하게 확실한 믿음이나 부분적 믿음이라는 의미로 도입하는 구절이다.

그 구절은 느낌의 길로 이행하는 것으로부터 나온 또 다른 반향으로써 끝난다; 여신(女神)이 파메니데스에게 전적으로 진리와 같아서 더 훌륭한 것이 주어질 수 없는 (11) 설명을 약속한 바와 꼭 마찬가지로, 우리는 티마이오스(Timaeus) (29d)에서 이렇게 읽는다: ‘[우리가]... 인간이라는 것을 그래서 그럴듯한 이야기를 (eikotα muthon) 수용하는 것이 우리에게 합당함을 기억하면서, 그럴듯함(likelihood: eikotα)에서 어느 것에도 열등하지 않은 설명을 우리가 제시할 수 있다면 우리는 만족해야 합니다...’. (이것에 대하여 소크라테스는 답변한다: ‘훌륭하오, 티마이오스!’.)

진리 같음(truthlikeness)’그럴듯함(likelihood)’(, ‘개연성[probability]’) 체계적인 모호성을 이렇게 도입하는 것에도 불구하고 플라톤이 나중에 크리티아스(Critias) (107d/e)에서 진리 같은 설명의 의미로 개연성(eikotα)이라는 용어를 거침없이 사용하는 것을 주목하면 매우 흥미롭다. 이유인즉 그 구절에 앞서 오는 것을 고찰하여, 저 구절은 이렇게 읽혀야 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죽을 운명을 지닌 인간과 관련된 설명들의 정확성을 신중하게 조사해야 하는 반면 하늘에 관해서이고 신()에 관한 문제에 대하여 작은 등급의 진리 같음(truthlikeness)이 있는 설명에 우리가 만족해야 한다’.

3. 플라톤이 그럴듯함(eikotα)(그리고 매우 유사한 용어들) 사용하는 데서 체계적이고 의심할 바 없이 의식적인 이 모호성과 별도로, 그리고 그 단어의 의미가 명백한 분화하는 용법들의 넓은 범위와 별도로, 의미가 단지 모호한 넓은 범위의 용법들이 또한 있다. 플라톤에게서 (그리고 아리스토텔레스) 다양한 용법들의 사례들은: ‘논증될 수 있는(demonstrable)’필연적인(necessary)’에 반대가 되는 그 단어의 사용이다; ‘확실함에 대한 차선을 표현하는 그 단어의 사용이다. 그 단어는 특히 대화들에서 감탄사들로서 확실히(to be surecertainly)’이것은 내가 보기에 만족스럽다(this seems all right to me’에 대한 동의어로서 또한 흔히 사용된다. 그 단어는 아마도(perhaps)’의 의미로 사용된다; 그리고 그 단어는 심지어 흔히 발생하는(occurring frequently)’의 의미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Rhetoric) 1402b22에는: ‘... 개연적(probable: eikos)은 변함없이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오직 대부분의 경우들에 발생하는 것이다...’

4. 문학적 비판에 관한 또 다른 구절인,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Poetics)에서 두 번 (1456a22-25 1461b12-15) 출현하고 첫 번째 출현에서 아리스토텔레스가 시인 아가톤(Agathon)에게 귀속시키는 구절로써 나는 끝마치고 싶다. ‘일어날 것 같지 않은 일이 틀림없이 발생할 것 같다.’ 또는 덜 우아할지라도, 덜 모호하게: ‘비개연적인 일들이 틀림없이 발생한다는 것은 진리와 같다(It is like the truth that improbable things should happen).’

 

7. 박진성에 대한 몇 가지 추가 단서 (1968)

1. 한편으로 박진성과 다른 한편으로 확률 (확률의 많은 의미들에서) 사이의 구분에 대한 나의 흥미가 오해에 노출되어있는 듯이 보이기 때문에, 나는 전혀 단어들과 단어들의 의미에 관심이 없고 문제들에만 관심이 있다는 것을 나는 먼저 강조하겠다. 단어들의 의미들을 정확하게만들거나 그 의미들을 정의(定義)하는 데혹은 상술하는 데에도 나는 전혀 관심이 없다.

내가 위 19쪽의 표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한편으로 단어들이나 개념들 및 그것들의 의미 문제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서술들이나 이론들 및 그것들의 진리 문제 사이에는 유사점이 있다. 그러나 나는 서술들이나 이론들 및 그것들의 진위만을 중요한 것으로서 간주한다.

우리가 단어나 용어 혹은 개념을 정의(定義)(혹은 상술할’) 수 있다는, 우리가 그것의 의미를 확정적이나 정확하게만들 수 있다는 잘못된 (‘본질주의적[essentialist]’) 교설은 모든 면에서, 우리가 이론의 진리를 증명하거나 확증하거나 정당화할 수 있다는 잘못된 교설과 흡사하다; 사실상 전자(前者)는 후자(後者) (‘정당화주의적[justificationist]’) 교설의 일부이다.

단어들과 단어들의 정확한 의미들이 결코 중요하지 않은 반면, 혼동을 해소하는 것은 문제들의 해결에 중요할 것이다; 물론 이론들에 관한 문제들이 중요할 것이다. 우리가 정의(定義)할 수 없지만, 우리는 자주 구분해야 한다. 그 까닭은 혼동들이나 단지 구분의 결여로 인하여 우리는 우리의 문제들을 해결하지 못할 것이기 때문이다.

2. 박진성과 관련하여 사활이 걸린 주요 문제가 진리에 대한 실재론자의 문제이다 사실들에 대한, 혹은 실재에 대한 이론의 대응이라는 문제이다. (223쪽 이하 및 116 참조.)

해소되어야 하는 위험한 혼동이나 혼란은, 실재론자의 의미에서 진리와 객관적이거나 절대적진리 내가 (혹은 우리가) ‘믿는다는 의미로서 주관주의적 의미에서의 진리 사이의 혼동이나 혼란이다.

이 구분은 근본적으로 중요한데, 특히 지식 이론에 관하여 그러하다. 유일하게 중요한 지식의 문제는 객관적인 의미에서의 진리 문제와 관련된다. 나의 논지는, 주관적인 믿음이라는 이론은 철학적 지식 이론과 완전히 무관하다는 것뿐이다. 정말로 두 가지가 뒤섞인다면 (전통에 따라서 두 가지가 여전히 뒤섞인 것처럼) 철학적 지식 이론에 파멸적이다.

3. 이제 객관적 진리와 주관적인 믿음을 명료하게 구분할 필요가, 우리가 진리 근사치(approximation to truth)(혹은 진리 같음이나 박진성) 무대에 올린다면, 여전히 시급하다는 것이 결정적으로 중요하다: 객관적 관념으로서의 박진성은, 믿음이나 확신 혹은 설득의 등급과 같은 모든 주관적 관념들과 뚜렷이 구분되어야 한다; 혹은 자체의 주관적 의미들 중 하나로 표면적이거나 느껴지는 진리나 그럴듯함 또는 확률의 등급과 뚜렷이 구분되어야 한다. (부언하여 의향이나 아마도 빈도와 같은 자체의 객관적 의미들 몇 가지로 우리가 확률을 취할지라도 그 확률은 여전히 박진성과 구분되어야 한다; 그리고 객관적인 박진성의 등급도, 객관적인 개념일지라도, 입증 등급과 뚜렷이 구별되어야 한다; 이유인즉 이론의 박진성 등급은, 상대적인 개념이라는 것에서 진리 개념과 다를지라도, 변치 않기 때문이다; 이론의 입증 등급이 본질적으로 시간-의존적이고 나의 저서 과학적 발견의 논리(Logic of Scientific Discovery) 84절에서 지적된 바와 같이 그리하여 본질적으로 역사관련 개념인 반면.)

칼 포퍼, “추측과 논박, 과학적 지식의 성장”, 1989, 399-402

2. To give a few details, we have first a passage in the Odyssey 19,203: wily Odysseus tells Penelope (who does not recognize him) a story which is false, but which contains quite a few elements of truth; or as Homer puts it, 'he made the many lies similar to the truth' ('etumoisin homoia'). The phrase is repeated in the Theogony, 27 f: the Muses of Olympus, daughters of Zeus, say to Hesiod: 'we know how to speak many lies similar to the truth; but we also know, if we want to, how to speak the truth (alētheia).'

The passage is interesting also because in it etumos and alēthēs occur as synonyms for 'true'.

a third passage in which the phrase 'etumoisin homoia' occurs is Theogony, 713, where cunning is extolled (as in the Odyssey) and the power of making lies sound like truth is described as divine (perhaps an allusion to the Muses in the Theogony): 'you would make lies similar to the truth with the good tongue of godlike Nestor'.

Now, one thing about these passages is that they are all related to what we call today 'literary criticism'. For the issue is the telling of stories which are (and which sound) like the truth.

a very similar passage is to be found in Xenophanes, himself a poet and perhaps the first literary critic. He introduces (DK B35) the term 'eoikota' in place of 'homoia'. Referring perhaps to his own theological theories, he says: 'these things, we may conjecture, are similar to the truth' (eoikota tois etumoisi ; see also above, p. 153, and Plato's Phaedrus 272 D/E, 273 B and D).

Here we have again a phrase which expresses unambiguously the idea of verisimilitude (not probability) in conjunction with a term (I have translated it by 'we may conjecture') which is derived from the term doxa ('opinion'), which plays so important a role in and after Parmenides. (The same term occurs also in the last line of Xenophanes, B34, quoted above on pp. 26 and 153, and is there used in contrast to 'saphes', that is, 'certain truth'.)

The next step is important. Parmenides B8: 60 uses eoikota ('similar' or 'like') without explicitly mentioning 'truth'. I suggest that it means nevertheless, as in Xenophanes, 'like the truth', and I have translated the passage accordingly ('wholly like truth'; see p. 11 above). My main argument is the similarity between the passage and Xenophanes B35. Both passages speak of the conjectures (doxa) of mortal men, and both say something relatively favourable about them; and both clearly imply that a relatively 'good' conjecture is not really a true story. In spite of these similarities, the phrase of Parmenides has often been translated by 'probable and plausible' (see note 19 on p. 236 above).

This passage is interesting because of its close relation to an important passage in Plato's Timaeus (27e-30c). In this passage, Plato starts (27e-28a) from the Parmenidean distinction between 'That which Is and has no Becoming' on the one hand, and 'That which is always Becoming and never Is' on the other; and he says with Parmenides that the first of these can be known by reason, while the second 'is an object of opinion and unreasoning sensation' (compare also p. 165 above).

From this he proceeds to explain that the changing and becoming world (ouranos or cosmos: 28b) was made by the Creator as a copy of likeness (eikon) whose original or paradigm is the eternally unchanging Being that Is.

The transition from the paradigm to the copy (eikon) corresponds to the transition, in Parmenides, from the Way of Truth to the Way of Seeming. I have quoted the latter transition above (p. 11), and it contains the term 'eoikota', which is related to Plato's 'eikon', i. e. the likeness of Truth, or of What Is; from which we may perhaps conclude that Plato read 'eoikota' as 'like (the truth)' rather than 'probable' or 'likely'.

However, Plato also says that the copy, in being like the truth, cannot be known with certainty, but that we can only have opinions of it which are uncertain or 'likely', or 'probable'. For he says that accounts of the paradigm will be 'abiding, unshakable, irrefutable, and invincible' (29 b-c) while 'accounts of that which is (merely) a copy's likeness of the paradigm will... possess (mere) likelihood; for as Being is to Becoming, so is Truth to (mere) Belief'. (See also Phaedrus 259 E to 260 B-E, 266 E-267 a.)

This is the passage which introduces likelihood or probability (eikota) in the sense of imperfectly certain belief or partial belief, at the same time relating it to verisimilitude.

The passage concludes with yet another echo from the transition to the Way of Seeming: just as the goddess promised Parmenides an account so 'wholly like truth' that no better could be given up (p. 11 above), so we read in the Timaeus (29d): 'we should be content if we can give an account which is inferior to none in likelihood (eikota), remembering that [we]... are human creatures and that it becomes us to accept a likely story (eikota muthon)...'. (To this, 'Socrates' replies: 'Excellent, Timaeus!'.)

It is very interesting to note that this introduction of a systematic ambiguity of 'truthlikeness' and 'likelihood' (i. e. 'probability') does not prevent Plato from using the term 'eikota' later, in the Critias (107d/e), in the sense of 'truthlike account'. For considering what precedes it, that passage should be read: 'in respect to matters celestial and divine, we should be satisfied with an account which has a small degree of truthlikeness, while we should check carefully the accuracy of accounts that pertain to mortal men'.

3. apart from this systematic and no doubt conscious ambiguity in Plato's use of 'eikota' (and kindred terms), and apart from a wide range of differing usages in which its meaning is definite, there is also a wide range of usages in which meaning is simply vague. Examples of different usages in Plato (and aristotle) are: its use in opposition to 'demonstrable' and to 'necessary'; its use to express 'the next best to certainty'. It is also often used as a synonym for 'to be sure' or 'certainly', or 'this seems all right to me', especially by way of interjections in the dialogues. It is used in the sense of 'perhaps'; and it is even used in the sense of 'occurring frequently'; for example, in aristotle's Rhetoric 1402b22: '... the probable (eikos) is that which occurs not invariably but only in most cases...'

4. I should like to end with another passage of literary criticism, one that occurs twice in aristotle's Poetics (1456a22-25, and 1461b12-15) and which on its first occurrence he attributes to the poet agathon. 'It is likely that the unlikely should happen.' Or less vaguely, though less elegantly: 'It is like the truth that improbable things should happen.'

 

7. Some Further Hints on Verisimilitude (1968)

 

1. Since my interest in the distinction between verisimilitude on the one hand, and probability (in its many meanings) on the other, seems to be open to misinterpretation, I will first stress that I am not at all interested in words and their meanings, but only in problems. Least of all am I interested in making the meanings of words 'precise', or in 'defining' or 'explicating' them.

There is an analogy between words or concepts and the question of their meaning on the one hand, and statements or theories and the question of their truth on the other, as I pointed out in the table on p. 19, above. Yet I regard only statements or theories and the question of their truth or falsity as important.

The mistaken ('essentialist') doctrine that we can 'define' (or 'explicate') a word or term or concept, that we can make its meaning 'definite' or 'precise', is in every way analogous to the mistaken doctrine that we can prove or establish or justify the truth of a theory; in fact, it is part of the latter ('justificationist') doctrine.

While words and their precise meanings are never important, the clearing up of confusions may be important for solving problems; problems concerning theories, of course. We cannot define, but we must often distinguish. For confusions, or merely the lack of distinctions, may prevent us from solving our problems.

2. In connection with verisimilitude, the main problem at stake is the realist's problem of truth - the correspondence of a theory with facts, or with reality. (See pp. 223 ff. and 116 above.)

The dangerous confusion or muddle which has to be cleared up is that between truth in the realist's sense - the 'objective' or 'absolute' truth - and truth in the subjectivist sense as that in which I (or we) 'believe'.

This distinction is of fundamental importance, especially for the theory of knowledge. The only important problem of knowledge concerns the problem of truth in the objective sense. My thesis is, simply, that the theory of subjective belief is utterly irrelevant to the philosophical theory of knowledge. Indeed, it is destructive of the latter if the two are mixed up (as they will are, in accordance with tradition).

3. Now it is decisively important that the need to distinguish sharply between objective truth and subjective belief remains as urgent as ever if we bring approximation to truth (or truthlikeness or verisimilitude) into the picture: verisimilitude as an objective idea must be sharply distinguished from all such subjective ideas as degrees of belief, or conviction, or persuasion; or of apparent or seeming truth, or plausibility, or of probability in any one of its subjective meanings. (Incidentally, it so happens that even if we take probability in some of its objective meanings, such as propensity, or perhaps frequency, it should still be distinguished from verisimilitude; and the degree of objective verisimilitude should be also sharply distinguished from degree of corroboration, even though this is an objective notion; for the degree of verisimilitude of a theory, like the idea of truth itself, is timeless, even though it differs from the idea of truth in being a relative concept; while the degree of corroboration of a theory is essentially time-dependent - as pointed out in section 84 of my Logic of Scientific Discovery - and thus essentially a historical concep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