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포퍼 원전+번역문

정신적 초월과 인간의 존엄성

이윤진이카루스 2023. 11. 1. 18:26

정신적 초월과 인간의 존엄성.hwp
0.02MB

 

                              정신적 초월과 인간의 존엄성

 

그리고 이것으로 인하여 나는 우엑스퀼의 논증에서 세 번째 오류에 도달한다; 칸트를 찬양하는 사람에게서 이해하기 매우 힘든 오류에 도달한다. 그것은 그 저서의 가장 위태로운 오류이고, 칸트와 우엑스퀼 모두가 저지르는 오류이다. 그것은 인간의 이성을 신화(神話)들의 (신화들의 중요성은 그라시에 의하여 매우 잘 강조된다) 상상적 발명에 의해서 뿐 아니라, 인간 자신의 상상적 발명품들에 대한 합리적 비판에 의해서도 성장하는, 자신을 초월하는 인간 능력을 그들이 철저히 (그리고 거의 적대적으로 보인다) 무시하는 것이다. 이 창작품들은, 어떤 언어로 언명된다, 다른 생물학적 행동들과 처음부터 다소 다르다; 이것은, 다르지 않다면 구분될 수없는 두 가지 생물학적 행동들의 도식 각각이 반대편 신화에 모순되는 신화를 (가령, 세상의 기원에 관한) 포함할 것이라는 사실로부터 알려질 것이다. 이유인즉 우리의 믿음 몇 가지가 실행과 즉각적으로 관련될지라도, 다른 믿음들은 조금이라도 실행과 관련되지만 오직 동떨어져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 믿음들의 차이점들로 인하여 그 믿음들은 충돌할 것이고 그 믿음들의 상대적 소원함으로 인하여 논쟁의 대상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방식으로, 합리적 비판이 발전할 것이고, 합리성의 표준과 첫 번째 상호주관적인 표준들 중 몇 가지 객관적 진리라는 관념이 발전할 것이다. 그리고 이 비판은 시간이 지나면 다른 사람들의 이론들과 믿음들에서 그리고 또한 자신의 이론들과 믿음들에서 약점과 오류를 발견하는 체계적 시도들로 발전할 것이다. 비록 점진적으로만 일지라도 인간이 생물학적 방출 신호의 세상과 관련된 주관성을 돌파할 수 있고, 이것을 넘어 인간 자신의 상상적 창작품에 있는 주관성과 이 창작품들이 부분적으로 의존할 역사적인 우연과 관련된 주관성을 돌파할 수 있는 것은 이 상호비판을 통해서이다. 이유인즉 합리적 비판과 객관적 진리에 관한 이 표준들에 의하여 인간이 지닌 지식이 그 지식의 진화적 이전 지식들과 구조적으로 달라지기 (그 지식을 어떤 생물학적이거나 인류학적 행동 도식에 포함시키는 일이 항상 가능한 상태로 남아있을지라도) 때문이다. 개별 인간의 존엄성을 창조하는 것은 이 표준들의 수용이다; 개별 인간을 지적(知的)뿐 아니라 도덕적으로 책임감을 지니도록 만드는 것은 이 표준들의 수용이다. 개별 인간을 합리적으로 행동하도록 만들뿐 아니라, 상충하는 이론들을 숙고하여 판단하고 차별하도록 만들기도 하는 것은 이 표준들의 수용이다.

객관적 진리와 비판에 관한 이 표준들로 인하여 개별 인간은 다시 시도하고, 다시 생각하는 것을 배울 것이다; 자기 자신의 결론에 도전하는 것과, 자기 자신의 결론들이 잘못되었는지 그리고 어디에서 잘못되었는지를 발견하려고 노력하면서 자신의 상상력을 사용하는 것을 배울 것이다. 이 표준들로 인하여 개별 인간이 모든 분야에서, 특히 과학에서 시행착오 방법 적용을 배울 것이다; 그리하여 개별 인간이 자신의 오류들로부터 어떻게 배우는지와 어떻게 그 오류들을 찾는지를 배울 것이다. 이 표준들은 개별 인간 자신이 얼마나 아는 게 없는지, 그래서 개별 인간 자신이 알지 못하는 것이 얼마나 많은지를 발견하는 데 개별 인간에게 도움을 줄 것이다. 이 표준들은 개별 인간이 지식에서 성장하는 데, 그리고 또한 자신이 성장하고 있다는 것을 깨닫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이 표준들은 자신의 성장이 다른 사람들의 비판에 기인한다는 사실 그리고 합리성은 비판을 경청하려는 마음가짐이라는 사실을 개별 인간이 인식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그리하여 이런 방식으로 이 표준들은 개별 인간이 동물적인 과거를 초월하는 데, 그리고 그와 함께 낭만적이고 비합리주의적인 철학들이 그를 포로로 붙잡아 두려고 시도할 주관주의와 주의주의(主意主義: voluntarism)를 초월하는 데 심지어 도움을 줄 것이다.

이것이 우리의 정신이 성장하여 정신 자체를 초월하는 방식이다. 인문주의가 인간 정신의 성장과 관련된다면, 비판과 합리성의 전통이 아니라면 인문주의의 전통이 무엇이란 말인가?

추측과 논박, 과학적 지식의 성장”, 1989, 칼 포퍼, 383-384

 

And this brings me to the third mistake in Uexküll's argument; a mistake which is very hard to understand in one who admires Kant. It is the gravest mistake of the book, and one which both authors share. It is their complete (and it seems, almost hostile) neglect of human reason - of man's power to grow, to transcend himself, not only by the imaginative invention of myths (whose importance is so well emphasized by Grassi), but also by the rational criticism of his own imaginative inventions. These inventions, if formulated in some language, are from the start somewhat different from other biological actions; this may be seen from the fact that each of two schemata of biological actions which otherwise are indistinguishable may contain a myth (concerning, say, the origin of the world) which is contradictory to the other. For although some of our beliefs may be immediately relevant to practice, others are only remotely relevant to it, if at all. Their differences may make it possible for them to be argued about. In this way, rational criticism may develop, and standards of rationality - some of the first inter-subjective standards - and the idea of an objective truth. And this criticism may, in time, develop into systematic attempts to discover what is weak and untrue in other people's theories and beliefs, and also in one's own. It is by this mutual criticism that man, if only by degrees, can break through the subjectivity of a world of biological release signals, and, beyond this, through the subjectivity of his own imaginative inventions, and the subjectivity of the historical accidents upon which these inventions may in part depend. For these standards of rational criticism and of objective truth make his knowledge structurally different from its evolutionary antecedents (even though it will always remain possible to subsume it under some biological or anthropological schema of action). It is the acceptance of these standards which creates the dignity of the individual man; which makes him responsible, morally as well as intellectually; which enables him not only to act rationally, but also to contemplate and adjudicate, and to discriminate between competing theories.

These standards of objective truth and criticism may teach him to try again, and to think again; to challenge his own conclusion, and to use his imagination in trying to find whether and where his own conclusions are at fault. They may teach him to apply the method of trial and error in every field, and especially in science; and thus they may teach him how to learn from his mistakes, and how to search for them. These standards may help him to discover how little he knows, and how much there is that he does not know. They may help him to grow in knowledge, and also to realize that he is growing. They may help him to become aware of the fact that he owes his growth to other people's criticism, and that reasonableness is readiness to listen to criticism. And in this way they may even help him to transcend his animal past, and with it that subjectivism and voluntarism in which romantic and irrationalist philosophies may try to hold him captive.

This is the way in which our mind grows and transcends itself. If humanism is concerned with the growth of the human mind, what then is the tradition of humanism if not a tradition of criticism and reasonable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