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의 왕국’서 검열 걸리기 좋은 노래 부른 ‘바보’
| |
등록 : 20110722 20:26 |
|
고전 오디세이 36 돈의 시대에 덕을 예찬한 시인 호라티우스
제국 통치비용이 필요한 아우구스투스에게 매관매직은 이른바 ‘꿩먹고 알먹는’ 일이었다. 정치와 경제가 대놓고 짝짓기하는 게 역사에 포착된 순간이다. 역설적이게도 이때에 호라티우스는 돈을 욕하는 노래로 먹고살았다
“카르페 디엠 Carpe diem(오늘을 즐겨라)!” 로마의 시인 호라티우스(기원전 65~8)의 말이다. 그가 살았던 로마의 풍경은 대체로 이랬다. 속이 다 들여다보이는 비단으로 유행을 선도하는 여인들의 짧은 옷들, 매혹적인 향수와 명품 비단 망토를 두르고 여인들의 짧은 옷을 바라보는 사내들의 시선들, 오만한 유력 인사들의 가마꾼들의 부지런한 발들, 까치발을 하며 검투사 경기의 광고를 뚫어지게 쳐다보는 노예들의 눈동자들, 청동 나팔과 트럼펫을 불면서 행진하는 성대한 장례식 행렬들, … 나름 유명한 화가의 작품들이 전시되어 있는 기둥들, 머나먼 아라비아와 풍요로운 인디아에서 수입해 온 진주들, 세계 각지에서 가져온 희귀하고 진귀한 보석들, 그리고 생존을 위해서 이곳저곳으로 분주히 뛰어다니는 사람들. (해밀턴의 <고대 로마인의 생각과 힘> 중에서. 역자의 허락 없이 약간 고쳤다. 이에 대한 넓은 이해를 구한다. ) 몇 단어만 고치면 딱 서울의 현재 모습이다. 서울이 번잡하고 복잡하듯이, 로마도 못지않게 난잡했고 아수라장 판이었다. 서울이 더 시끄러운 곳일지도 모르겠다. 어쨌든 기원전 1세기의 로마는 그런 곳이었다. 음모와 권력, 사치와 향락이 판을 치는 곳, 무엇보다도 “돈이 여왕(Regina Pecunia!)”이었던 곳이었다. 호라티우스가 이 주장의 주인이다. 오 시민들이여, 돈이 최고요, 최상이요 십 원짜리 동전 뒤에서 궁실거리는 것이 덕이요 (<서간> 제1권 중) 인용은, 돈이면 안 되는 일도 없고 못하는 일도 없었던 제국 로마의 한 단면을 보여준다. 로마가 이런 지경에 처하게 된 사연인즉, 이렇다. 그러니까, 돈이 만물의 여왕으로 등극한 시기는 옥타비아누스가 황제로 등극하는 때와 일치한다. 사실, 아우구스투스만큼 영리한 통치자도 없을 것이다. 우선, 그는 로마 제국의 정부 조직과 군대 구성을 하면서 구성원들의 신분을 묻지 않는 정책을 편다. 능력과 실력이 있으면, 여기에 충성심만 있으면 누구든 등용하겠다는 것이 그의 통치 전략이었다. 그런데 여기에서 능력과 실력은 사실 구실에 불과했다. 공화국 시대의 능력과 실력은 설득 능력과 연설의 힘이었다. 설득하는 자가 권력을 장악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제국 시대가 되면, 설득은 위험한 것이고 연설은 제거되어야 할 무엇이었다. 참고로, 로마에는 동양의 과거 시험과 같은 관리 임용 제도가 없었다. 공개적으로 관리를 임용하는 방식이 없었다는 말이다. 따라서 충성심이 곧 능력이었다. 전시에는 용맹함이 능력이지만, 평시에는 아부가 곧 능력이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아부도 실질적인 증명을 요구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 돈이었다. 사실, 이는 아우구스투스의 구미에도 맞는 일이었다. 제국 통치에 요청되는 막대한 비용이 들어갔기 때문이다. 이런 세력을 찾고 있던 아우구스투스에게 따라서 매관매직은 소위 “꿩 먹고 알도 먹는” 일이었다. 그런데 매관매직은 다른 곳에서 더 큰 정치적인 위력을 발휘했다. 통치에 가장 골칫거리였던 전통적인 귀족들을 제거하는 혹은 길들이는 가장 효율적인 수단으로 활용되었기 때문이다. 대체로, 사회 정치 체계가 급변하는 상황에서는 모든 것이 불안정한 법이다. 요컨대 격동의 혼란기에 힘을 발휘하는 것은 윤리나 도덕이 아니다. 대개는 능력이 우선한다. 그런데 그 능력이 실은 돈이다. 지금도 그렇지만, 이는 로마 시대에도 마찬가지였다. 왜냐하면, 돈이면 모든 것이 가능하니까. 관직은 기본이고, 명예는 보너스며, 심지어는 본받아야 할 인물로 떠받들어질 수 있으니까 말이다. 호라티우스의 말이다. 덕, 명예, 명성, 그것들이 인간적인 노력에 의한 것이든, 신에 속하는 것이든, 만사가 부(富)의 화려함에 무릎 꿇는다네. 부를 쌓은 이가 진정으로 명예롭고, 용감하며, 정의로우며, 지혜로운 사람이 된다네. 설령 왕이라 할지라도 돈에는 어쩔 수 없네. (<풍자> 제2권 중) 돈의 위력이 제대로 드러난다. 혼란의 시대가 찾아오자, 돈만 가졌던 자들이 그동안 자신들이 가지고 싶었지만 가지지 못했던 모든 것을 손에 넣고 있는 현상에 대한 통렬한 비판이다. 다시, 아우구스투스가 황제로 등극하는 순간으로 돌아가자. 그의 등장을 누구보다도 반긴 사람들이 있었다. 그들이 다름아닌 무역과 거래를 통해서 큰돈을 번 기사 신분의 “비즈니스맨”들이었다. 비록 돈은 많았지만, 전통적인 귀족들에게는 교양 없고 소위 “근본도 없는 것들”이라는 무시와 천대를 받아야 했던 신흥 부자들이었다. 따라서 이들에게 아우구스투스 황제의 등장은 당연히 환영할 일이었다. 신분 상승의 기회와 안정적인 사업 기반을 확보할 수 있는 강력한 통치 리더십을 마련해 준 이가 아우구스투스였기에. 반면, 그들을 그토록 무시했던, 그러나 공화정을 지지했던 귀족들은 정치와 역사의 무대에서 사라질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정치와 경제가 이제 대놓고 짝짓기를 하는 모습이 역사의 무대에 포착되는 순간이다. 덕분에 돈도 여왕으로 등극하는 순간이기도 하다. 돈이 여왕 노릇을 하는 시대에 활동한 호라티우스! 하지만 그는 “돈이 만물의 척도”가 아니라 “덕이 만물의 척도”라고 노래했다. 물론, 덕을 호소하는 그의 노래에 몇 사람이나 귀를 기울였을지는 잘 모르겠다. 거의 없었을 것이다. 사실 지금 읽어도 별로 재미없다. 시험삼아 한 소절 들어보자. 진정 행복한 이는 잡사(雜事)에 매심(買心)하지 않은 저 사람이/ 옛날의 우리 어른들처럼 살고 있는 저 사람이/ 갚아야 할 이자에 대한 근심의 멍에를 벗어던지고서/ 자신의 키운 소로 조상이 물려주신 땅을 쟁기질하는 저 사람이/ 힘겨운 노질을 해야 하는 군인이 될 생각도 없고/ 성난 바다를 두려워할 걱정도 없으며/ 번잡한 시장에서 헤맬 일도 없고/ 오만한 권력자의 거만한 문턱에 굽실거릴 일이 없는 저 사람이. (호라티우스 <장단가> 2번)
서울대 인문학연구원 HK연구교수 |
'기사 및 퍼온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왜 안철수인가? (0) | 2011.08.07 |
---|---|
‘마라톤의 전사’로 불리길 원했던 ‘비극의 아버지’ 아이스킬로스 (0) | 2011.08.06 |
외교의 작전타임 시급하다 (0) | 2011.07.20 |
외교의 작전타임 시급하다 (0) | 2011.07.20 |
고전 오디세이 - 13년간의 참혹한 전쟁 속에서 꽃핀 '명상록' (0) | 2011.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