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포퍼 원전+번역문

'만물은 무상하다'를 과학-철학적으로 설명하면

이윤진이카루스 2023. 4. 24. 21:04

‘만물은 무상하다’를 과학-철학적으로 설명하면.hwp
0.01MB

 

 

         ‘만물은 무상하다를 과학-철학적으로 설명하면

 

모든 기술(記述)... 일반 개념들을 이용한다; 모든 서술에는 이론, 가설의 특징이 있다. “여기에 물 한잔이 있다는 서술은 감각-경험에 의하여 (완전히) 검증될 수는 없는데, 왜냐하면 그 서술에서 출현하는 일반 개념들이 개별적 감각-경험과 연계될 수가 없기 때문이다. (“즉각적인 경험들단지 한번만 즉각적으로 주어진; 그것은 독특하다.) 예를 들어 유리잔이라는 단어에 의하여, 우리는 특정 법칙-같은 행태를 보이는 물리적 물체를 의미한다; 그리고 이라는 단어도 마찬가지이다.’

칼 포퍼, “추측과 논박, 과학적 지식의 성장”, 1989, 119

 

'every description uses... universals; every statement has the character of a theory, a hypothesis. The statement, "Here is a glass of water," cannot be (completely) verified by any sense-experience, because the universals which appear in it cannot be correlated with any particular sense-experience. (An "immediate experiences" is only once "immediately given"; it is unique.) By the word '"glass", for example, we denote physical bodies which exhibit a certain law-like behaviour; and the same holds of the word "wa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