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은 이성적 동물인가 이념적 동물인가?
인간의 지성사에 고무적인 면과 실망스러운 면 모두가 있다. 왜냐하면 우리가 그 역사를 고집스럽고 흔히 불관용 및 광신과 결합된 편견과 독단의 역사로서
간주할 것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심지어 그 역사를 종교적이거나 유사-종교적 광란의 역사로서 기술할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가 겪은 가장 파멸적 전쟁들은 종교적이거나 이념적 전쟁들이었음이 ㅡ 아마도 종교적 관용의 전형이었던 칭기즈칸이 벌인 전쟁들을 특별히 제외하고 ㅡ 기억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심지어 종교적 전쟁들의 슬프고 실망스러운 모습에도 더 밝은 면이 있다.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무수한 사람들이 자신의 신념들과 사유들 ㅡ 그들이 참이라고 믿었던 사유들 ㅡ 때문에 기꺼이 살려고 하고 기꺼이 죽으려고 했던 것은 고무적인 사실이다. 사람은 이성적 동물이라기보다는 이념적 동물로 보인다고 우리가 말할 것이다.
ㅡ 칼 포퍼, 이론구조의 신화(The Myth of the Framework), 4장 과학: 문제, 목표, 책임 ㅡ
The intellectual history of man has its depressing as well as its
exhilarating aspects For one may well look upon ıt as a history of
prejudice and dogma, tenaciously held, and often combined with
intolerance and fanaticism One may even describe it as a history of
spells of religious or quasi-religious frenzy It should be remem-
bered, in this context, that most of our great destructive wars have
been religious or ideological wars — with the notable exception,
perhaps, of the wars of Genghis Khan, who seems to have been a
model of religious toleration.
Yet even the sad and depressing picture of religious wars has its
brighter side It is an encouraging fact that countless men, from
ancient to modern times, have been ready to live and to die for their convictions, for ideas — ideas which they believed to be true.
Man, we may say, appears to be not so much a rational animal as an ideological animal.
ㅡ ㅡ
'칼포퍼 원전+번역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e Myth of the Framework (0) | 2025.02.10 |
---|---|
산업혁명의 의의 (2) | 2025.02.09 |
ThE Myth of the Framework, Karl Popper (0) | 2025.01.31 |
Objective knowledge , an evolutionary approach / Popper, Karl R. (Karl Raimund), 1902-1994 (0) | 2025.01.02 |
Science and information theory / Brillouin, Léon (0) | 2024.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