습작시

존재를 껴안으려면 (수정본)

이윤진이카루스 2019. 2. 13. 22:12

존재를 껴안으려면.hwp
0.05MB

 

존재를 껴안으려면

 

슈바이처의 언명처럼,

가끔 눈을 들어 죽음을 생각해야 한다보다

숨통 끊어지는 순간을 통절하게 느껴야

생명의 의미 되살아나지 않을까.

 

정열적인 어느 미국 여가수의 소망처럼,

죽음 경험하고 싶다라고 말하면

불가능한 것 경험하려는 얄팍한 수작인데

무대의 황홀경에 빠지면 현실로 돌아오기

두렵고 싫고 권태롭다는 의미일까?

 

경험되는 현실 얼마나 적으며

그런 현실을 의식하는 자 또한 극소수여서

삶 추구하는 인간만 우리 눈에 보이는가.

 

애절하고 아프게 살아가노라면

생명의 종말 극복하지 못하겠지만

생애 더욱 충만하여

회한 없지 않을까?

 

후기:

우리가 우리 자신을 피상적으로 본다면, 우리가 우리 자신에게 물체로서 보일 것이다. 그러나 우리가 좀 더 깊이 본다면, 우리가 과정임을 우리는 발견한다; 그리고 그 과정이 중단된다면 그것이 우리의 종말임을 발견한다. 이것이 헤라클레이토스의 발견을 낳았던 원초적 통찰이었던 듯하다: ‘나는 나 자신을 탐색했다고 그는 우리에게 말한다. 그리고 그가 발견한 것은 물체가 아니라 과정이었다: 타오르는 불, 화염이었다. 우리가 더 많이 깨어있을수록 우리는 더 살아있고 완전히 더 우리 자신이 된다. 우리가 잠든다, 우리 삶의 과정이 감소되면 우리의 영혼은 더 이상 살아있는 불이 아니다 ㅡ 우리는 거의 죽었다.

ㅡ 칼 포퍼 저, 아르네 피터슨 편집, ‘파르메니데스의 세계’, 2007, 156쪽 ㅡ

We may appear to ourselves as things, if we look at ourselves superficially. But if we look a little deeper, we find that we are processes; and that, if the processes stop, that is the end of us. This, it seems, was the original insight that led to Heraclitus’ discovery: ‘I searched myself’, he tells us. And what he found was not a thing, but a process: a burning fire, a flame. We are the more alive, the more fully ourselves, the more we are awake. If we are asleep, if our life processes are reduced, our souls are hardly any longer a living fire we are almost dead.

'습작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리움  (0) 2020.08.14
살구 줍기 (수정본)  (0) 2020.06.21
붉은 달  (0) 2018.11.24
그리움의 끝  (0) 2018.09.10
What Remained to Us  (0) 2018.0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