습작시

살구 줍기 (수정본)

이윤진이카루스 2020. 6. 21. 21:51

살구 줍기.hwp
0.07MB

 

살구 줍기

 

역사 반복되는 게 아니라

추세가 반복된다는데

인간에게만 해당한다면,

인간만 추세 만든다면

사람의 우주인가?

 

어린 시절 살던 집

분홍색 덩굴장미 앞마당에 피고

뒷마당 오래된 살구나무

여름에 노란 참살구 떨어뜨렸지.

 

비바람이 훑고 지나간 밤이면

밤새 잠 못 이루고 새벽에 찾아간

살구나무 아래 검붉은 흙 위

흐드러지게 널브러진 노랑 살구들.

 

어머니 세상 일찍 뜨고

셋방 전전하면서

덩굴장미도 살구도

추억에만 남았는데

을씨년스러운 세월에

푸르른 젊음

탈색되며 지나갔다.

 

시간 흐르면

살구 더 보이지 않고

나뭇잎이 짙어지고

나무만 보다가

수십 년 세월 흘러

하늘 보고 우주 생각하니

철이 들었나?

 

시간에 놓인 존재 되기보다

시간을 주름잡아

영겁의 세월 생각하고

남은 세월 먹어보지만

엔트로피

증가만 하지 않고

원래 상태 부근으로

돌아오기도 한다니

무질서와 질서

교차하는 세상에

산다는 말인가.

 

무질서가 질서로 돌아오고

역순도 성립한다면

무슨 난감한 상황이고

어떻게 살라는 말인가.

 

스코틀랜드 식물학자 브라운

꽃가루 들여다보니 서로 움직였는데

시간 화살 타고 직선으로

엔트로피 증가만 한다?

 

영겁의 세월에

열역학 제2법칙 적용하면

공간과 시간 흐르는 우주

인간 보고 비웃을지도.

지나간 시간 어쩔 것이고

미래는 어떻게 알아낼까.

 

어제 오늘

노인정 옆 거대한 살구나무 있어

무수히 떨어진 살구 주웠는데

무질서와 질서의 반복이라면

생애도 고작 반복이었나.

 

 

 

후기:

내가 열역학 제2법칙이 브라운운동에 의하여 실제로 반증되었다고 정말로 믿을지라도...

ㅡ 칼 포퍼, ‘끝없는 탐구’, 165쪽 ㅡ

even though I do believe that the second law is actually refuted by

Brownian movement.

Karl Popper, ‘Unended Quest’, p165

 

 

'습작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거로 돌아가려는...  (0) 2020.09.22
그리움  (0) 2020.08.14
존재를 껴안으려면 (수정본)  (0) 2019.02.13
붉은 달  (0) 2018.11.24
그리움의 끝  (0) 2018.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