습작시

인간의 한계

이윤진이카루스 2020. 10. 11. 12:32

인간의 한계

 

 

어리석은 영혼, 나를 전복시키려고 해?

내가 전복되면 너도 몰락이지.”

 

육체의 노래를 읊은 고대 그리스 철학자의 말에서

독배를 마시고 쓰러진 사람과

화형으로 흩어진 이념의 발자국을 추적하면

얼마나 쓸쓸한가?

 

그렇게 사라진 사람들은 자신의 가치를

증명하고 싶었고 그래서 영원히 우리 기억에

남았겠지만 누가 인간의 본성을 포기하는가?

 

우리는 홀로 사라진다고 몇 번이고 되뇌고

혼자 가는 길에 동반자는 없다고 다짐해도

또한, 쓸쓸하지 않은가?

 

젊음이 기만인 까닭은 외로움을 모르기 때문이고

늙음이 환상인 이유는 고독을 넘지 못함이라면

인간의 세상에서 너와 내가 분명히 다른 까닭이

무엇일까?

 

 

후기:

이 논지를 언명하면서 나는, 과학적 활동으로부터 과학-외적 가치들을 추방하는 것이 실제로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상황은 객관성과 관련해서도 유사하다: 과학자로부터 그의 인간성을 빼앗지 않고 우리는 그로부터 그의 편파성을 빼앗을 수 없고 또한 우리는 그를 인간으로서 동시에 과학자로서 파괴하지 않고 그의 가치판단들을 억누르거나 파괴할 수 없다. 우리가 지닌 동기들과 우리가 지닌 순전히 과학적인 이상들은, 순수한 진리 탐구라는 이상처럼, 과학-외적이며 부분적으로는 종교적인 가치판단들에 깊이 안착하여 있다. 객관적이고 가치-중립적인과학자는 이상적인 과학자가 아니다. 열정이 없으면 우리는 아무것도 ㅡ 틀림없이 순수과학에서도 ㅡ 이룩할 수 없다. ‘진리에 대한 사랑이라는 표현은 단순히 은유가 아니다.

그러므로 객관성과 가치중립이 실제로 과학자 개인에게 도달될 수 없는 것만은 아니고 오히려 객관성과 가치중립자체가 가치들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가치중립 자체가 가치이기 때문에 무조건적인 가치중립에 대한 요구는 역설적이다. 이 반론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지만, 가치 혼동을 노출해서 과학-외적인 문제들로부터 진리와 유관성과 단순성 및 기타 등등을 분리하는 것이 과학적 비판의 과제들 중 한 가지 과제가 되어야 한다는 요구로써 우리가 가치중립에 대한 요구를 대체한다면 그 역설은 전적으로 스스로 사라진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ㅡ 칼 포퍼, “더 좋은 세상을 찾아서”, 1996, 74쪽 ㅡ

 

In formulating this thesis I have said that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banish extra-scientific values from scientific activity. The situation is similar with respect to objectivity: we cannot rob the scientist of his partisanship without also robbing him of his humanity, nor can we suppress or destroy his value judgements without destroying him as a human being and as a scientist. Our motives and our purely scientific ideals, like the ideal of pure search for truth, are deeply anchored in extra-scientific and, in part, in religious value judgements. The objective and ‘value-free’ scientist is not the ideal scientist. Without passion we can achieve nothing certainly not in pure science. The phrase ‘the love of truth’ is no mere metaphor.

It is, therefore, not just that objectivity and value freedom are unattainable in practice for the individual scientist, but rather that objectivity and ‘value freedom’ are themselves values. And since value freedom itself is a value, the demand for unconditional value freedom is paradoxical. This objection is not very important, bu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aradox disappears quite of its own accord if we replace the demand for value freedom with the demand that it should be one of the tasks of scientific criticism to expose confusions of value and to separate purely scientific value questions of truth, relevance, simplicity and so forth from extra-scientific questions.

Karl Popper, In Search of a Better World, 1996, p74

 

 

인간의 한계.hwp
0.06MB

'습작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삶이 지겹다고...  (0) 2021.06.15
무엇을 보는가  (0) 2021.06.09
과거로 돌아가려는...  (0) 2020.09.22
그리움  (0) 2020.08.14
살구 줍기  (0) 2020.0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