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관찰하기

‘기초과학 대국’ 일본의 힘 / 경향신문

이윤진이카루스 2016. 10. 4. 22:06

과감한 투자와 끈질긴 연구…‘기초과학 대국’ 일본의 힘

도쿄 | 윤희일 특파원·목정민 기자 yhi@kyunghyang.com

ㆍ생리의학상 2년 연속 수상…‘노벨상 강국’의 비결

<b>“소년시절 꿈 이뤘다”</b>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로 선정된 오스미 요시노리 일본 도쿄공업대 명예교수(가운데)가 3일 도쿄공업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이 대학 요시나오 미시마 총장(왼쪽)과 마코토 안도 부총장의 손을 잡고 포즈를 취했다.  도쿄 | AFP연합뉴스

“소년시절 꿈 이뤘다”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로 선정된 오스미 요시노리 일본 도쿄공업대 명예교수(가운데)가 3일 도쿄공업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이 대학 요시나오 미시마 총장(왼쪽)과 마코토 안도 부총장의 손을 잡고 포즈를 취했다. 도쿄 | AFP연합뉴스

3일 오후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로 오스미 요시노리(大隅良典·71) 도쿄공업대 명예교수가 결정됐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일본 언론들은 “노벨상 수상이 이제는 가을철 연례행사가 됐다”며 반겼다. 일본은 지난해 생리의학상과 물리학상, 2014년에는 물리학상 수상자를 배출했다. 생리의학상에서는 2년 연속 수상자를 내는 등 기초과학 분야에서 특히 강세를 보이고 있다. 이제 일본의 노벨상 수상자는 모두 23명으로 늘게 됐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는 “일본인으로서 긍지를 느낀다”고 말했다.

일본의 기초과학을 뒷받침해주는 것은 연구자들의 성실하고 꼼꼼한 연구자세도 있지만 국가의 과감하고 장기적인 투자가 첫손으로 꼽힌다.

지난해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은 오무라 사토시(大村智) 기타사토대 특별영예교수는 소규모 지방대학을 나와 평생 묵묵히 연구에 몰두해온 ‘일본형 과학자’의 표본이다. 2014년 물리학상을 받은 미국 국적의 나카무라 슈지(中村修二)도 비슷한 사례다. 이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분야를 선택해 끈질기게 연구를 거듭해 과학적 업적을 쌓았다. 시코쿠의 에히메현에서 나고 자란 나카무라는 “지방에서 태어나, 지방대를 졸업하고, 지방기업에 취직해 내가 하고 싶은 연구에 몰두했더니 노벨상을 받게 되더라”는 소감을 밝히기도 했다.

지난해 도쿄대 가지타 다카아키(梶田隆章) 교수가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것은 정부의 과감하고 장기적인 투자의 결과다. 일본이 막대한 비용을 들여 관측장비인 ‘슈퍼 가미오칸데’를 건설한 것이 수상으로 이어진 것이다. 가지타 교수가 중성미자의 질량을 발견해낸 실험실인 ‘슈퍼 가미오칸데’는 기후현 가미오카 광산의 지하 1000m에 설치된 초대형 시설이다.

아리마 아키토(有馬朗人) 전 도쿄대 총장이 정치인들을 대상으로 기초과학 연구의 중요성을 호소하며 이 시설을 설치하도록 발 벗고 나섰던 일화는 유명하다. 아리마는 1990년대에 “이 시설만 만들어주면 노벨상을 2개는 받을 수 있다”며 아소 다로(麻生太郞) 등 유력 정치인들을 설득했다. 이런 과정을 거쳐 수십억엔이 투입된 시설이 만들어졌고, 고시바 마사토시(小柴昌俊) 도쿄대 특별영예교수의 2002년 수상과 가지타 교수의 지난해 수상으로 이어졌다. 기초과학에서 정부 투자의 중요성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일본 정부는 2001년 ‘앞으로 50년 동안 노벨상 수상자를 30명 정도 배출한다’는 목표를 세웠는데 이미 목표의 절반 가까이를 달성한 셈이 됐다. 2001년 이후 과학분야 수상자는 오스미까지 14명에 이른다. 문부과학성의 노벨상 정책 등에 관여해온 아리모토 다테오(有本建男) 일본 정책연구대학원대학 교수는 “일본은 20~30년 전부터 여러 분야에서 진행된 수만건의 연구에 자금을 지원해 왔으며 최근 그 성과가 나오고 있는 것”이라고 언론 인터뷰에서 밝혔다.

한국과 일본은 현재로선 비교하는 것 자체가 무의미할 정도다. 의학·과학 분야에서는 수상자가 전무한 데다 유력 후보군으로 이름을 올린 경우도 없다. 한국이 기초과학 투자에 본격적으로 나선 것은 1989년 기초연구진흥종합계획을 마련하면서부터다. 일본보다 100년 이상 늦은 셈이다. 한국 정부의 R&D 예산이 1조원을 넘긴 것은 1993년이 돼서다. 차두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연구위원은 “일본과 한국은 출발선이 달랐다”고 말했다.

일본과 한국의 과학교육에 대한 차이도 거론된다.

차 연구위원은 “일본은 어린이를 위한 교양과학도서가 다양하게 출판돼 있으며, 이는 어린 시절 과학에 흥미를 갖게 하는 요인”이라고 말했다. 노벨상 자체가 목적은 아니지만, 기초과학 연구를 활성화하려면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연구를 지원해주는 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많다.



원문보기: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code=970203&artid=201610032047001#csidx2e0735d7642574fa32a433f81a2dbe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