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관적 진리 이론, 사실들에 대한 대응
2. 객관적 진리 이론: 사실들에 대한 대응
VII
지금까지 나는 심지어 진리를 언급하지 않고 과학과 과학의 진보, 그리고 과학의 진보 기준에 관해서 말했다. 아마도 놀랍게도, 이것은 실용주의나 도구주의에 빠지지 않고도 실행될 수 있다: 과학 이론들에 있는 진리에 대하여 말하지 않고도 과학에서 직관적으로 만족스러운 진보 기준을 지지하여 논증하는 것이 완전하게 가능하다. 사실상, 내가 타스키(Tarski)의 진리 이론을 알기 전에, ‘참(true)’이라는 단어의 사용과 연결된 고도로 논란이 많은 문제에 너무 깊이 빠지지 않고 진보 기준을 토론하는 것이 내가 보기에 더 안전했다.
당시 나의 태도는 이러했다: 거의 모든 사람이 수용하는 바와 같이, 진리에 관한 객관적 이론이나 절대적 이론 혹은 대응 이론을 ㅡ 사실들과 대응으로서의 진리 ㅡ 내가 수용했을지라도 나는 그 화제의 회피를 선호했다. 이유인즉 서술과 사실 사이의 대응이라는 이 기묘하게 까다로운 관념을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것은 내가 보기에 절망적이었기 때문이다.
왜 그 상황이 그렇게 절망적으로 보였는지를 환기하기 위하여 많은 사례들 중에서 한 가지 사례로서, 비트겐슈타인(Wittgenstein)의 논리철학논고(Tractatus)를 그 저서의 진리에 대한 놀라울 정도로 우활한(naive) 묘사 이론, 즉 투사(投射: projection) 이론을 우리가 기억하기만 하면 된다. 이 저서에서 명제는 그 명제가 기술(記述)할 의도인 사실의 묘사나 투사로서 생각되었고 저 사실과 동일한 구조를 (혹은 ‘형태[form]’) 지닌 것으로서 생각되었다; 축음기의 레코드가 정말로 소리의 묘사나 투사여서 소리의 구조적 속성들 몇 가지를 공유하고 있는 것과 꼭 마찬가지로 생각되었다.
이 대응을 설명하려다가 실패한 이 시도들 중의 또 다른 시도가 슐리크(Schlick)에게서 기인하는데, 그는 다양한 대응 이론들에 ㅡ 묘사 이론이나 투사 이론을 포함하여 ㅡ 대하여 아름다울 정도로 분명하고 진정으로 파멸적인 비판을 내놓았지만 불행히도 자신의 차례에서 결코 낫지 않은 또 다른 이론을 만들었다. 이 해석을 논박하는 반례(反例: counterexamples)들이 많을지라도 (많은 대상들에 적용되는 명칭들이고 대상들은 많은 명칭들에 의하여 적시된다) 문제의 대응을, 우리의 명칭들과 적시되는 대상들 사이의 1 대 1 대응으로서 그는 해석했다.
이 모든 것은 타스키의 사실들에 대한 서술의 진리 이론 및 대응 이론에 의하여 대체되었다. 타스키의 가장 훌륭한 업적이자 경험과학 철학에 대한 그의 이론의 진정한 중요성은, 의심스럽게 된 절대적 진리나 객관적 진리의 대응 이론을 그가 재건한 것이다. 그는 사실들에 대한 대응으로서의 진리라는 직관적 관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음을 증명했다. (그의 이론이 오직 형식화된 언어들에만 적용될 수 있다는 견해는 오류라고 나는 생각한다. 우리가 타스키의 분석으로부터 언어의 모순을 피할 방법을 배우기만 하면, 그의 이론은 일관적이고 심지어 ‘자연적인’ 여하한 언어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것은 얼마간의 ‘인위성[artificiality]’를 ㅡ 혹은 조심성 ㅡ 그 언어의 사용에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인정된다. 아래 부록 5를 또한 참조.)
이 모임에서 청중들이 타스키의 진리이론을 어느 정도 알고 있다고 내가 가정할지라도 그 이론이 직관적 관점에서, 사실들에 대한 대응이라는 관념의 간단한 설명으로서 간주될 수 있는 방식을 나는 아마도 설명할 것이다. 나는 거의 하찮은 이 요점을 강조해야 할 텐데, 왜냐하면 그 요점이 하찮음에도 불구하고, 그 요점이 나의 논증에 결정적일 것이기 때문이다.
우리가 먼저 ‘진리’를 ‘사실들에 대한 대응’의 동의어로서 생각하기로 명시적으로 결정하여, 그 다음에 (‘진리’에 대하여 완전히 잊고) ‘사실들에 대한 대응’이라는 관념을 설명하는 것으로 나아간다면 타스키의 관념들에 있는 고도로 직관적인 특징은 더 명백해지는 듯이 보인다 (내가 가르치면서 발견한 바와 같이).
그리하여 우리는 먼저 다음 두 가지 언명들을 고찰할 것인데, 그 언명들 각각은 어떤 상황에서 특정 주장이 (대상 언어의) 사실들에 대응하는지 매우 간단히 서술한다 (메타언어[metalanguage]로).
(1) ‘눈은 희다(Snow is white)’라는 서술이나 주장은 눈이 정말로 희다면, 그리고 그 조건에서만 사실들에 대응한다.
(2) ‘풀은 붉다(Grass is red)’라는 서술이나 주장은 풀이 정말로 붉다면, 그리고 그 조건에서만 사실들에 대응한다.
이 언명들은 (‘정말로[indeed]’라는 단어가 편의를 목적으로 삽입되어서만, 생략될) 물론, 아주 하찮게 들린다. 그러나 그 언명들의 표면적인 하찮음에도 불구하고, 그 언명들이 사실들과의 대응을 설명하는 문제의 해결책을 담고 있음을 타스키가 발견했다.
결정적인 요점은, (1)과 (2)가 그러한 것처럼 사실들과의 대응에 관하여 말하기 위하여, 우리가 서술들과 그 서술들이 언급하는 사실들이라는 두 가지 것들에 관하여 말할 수 있는 메타언어를 우리가 사용해야 한다는 타스키의 발견이다. (타스키는 그런 메타언어를 ‘의미론적[semantical]’이라고 부른다; 우리가 그 메타언어로 대상언어에 관하여 말할 수 있지만 그 대상언어가 언급하는 사실들에 대해서는 우리가 말할 수 없는 메타언어는 ‘구문논적[syntactical]’으로 지칭된다.) (의미론적) 메타언어에 대한 필요성이 이해되자마자, 모든 것이 분명해진다. ((3) ‘“존이 전화했다”는 참이다’['"John called" is true']는 본질적으로 그런 메타언어에 속하는 서술인 반면, (4) ‘존이 전화한 것은 사실이다’['It is true that John called']는 ‘존이 전화했다’['John called']와 동일한 언어에 속할 것이다. 그리하여 ‘...은 사실이다['It is true that]’라는 표현은 ㅡ 이중부정처럼, 논리적으로 불필요하다 ㅡ 메타언어적 술어 ‘사실이다['is true]’와 크게 다르다. 후자[後者]인 메타언어적 술어는 ‘결론이 참이 아니라면, 전제들 모두가 참일 리가 없다’나 ‘존은 한 번 참인 서술을 실행했다’와 같은 일반적인 언급들에 필요하다.)
나는 슐리크(Schlick)의 이론이 오류라고 말했지만, 자신의 이론에 관하여 그가 실행한 특정 비평으로 (앞에서 인용된 곳) 인하여 타스키의 이론이 다소 조명된다고 나는 생각한다. 이유인즉 슐리크가 다음과 같이 말하기 때문이다;진리 문제가 몇 가지 다른 문제들과 운명을 같이했는데 그 다른 문제들의 해답들은 매우 깊은 수준에 놓여 있다고 잘못 생각되었기 때문에 쉽게 알려지지 않았고 반면 그 해답들은 실제로 상당히 분명해서 처음 보기에 인상적이지 않았다고 말하기 때문이다. 타스키의 해답은 처음 보기에 인상적이지 않게 보일 것이다. 그러나 그 해답의 풍요로움과 그 해법의 힘은 정말로 인상적이다.
VIII
타스키의 업적 덕분에, 객관적이나 절대적 진리관념이 ㅡ 다시 말해서 사실들과 대응으로서의 진리 ㅡ 그 관념을 이해하는 모든 사람들에 의하여 확신적으로 오늘날 수용되는 것으로 보인다. 그 관념을 이해하는 것의 난제들에는 두 가지 근원들이 있는 듯하다: 첫째, 매우 단순한 직관적 관념을, 전문적 강령을 수행하는 데 그 관념이 초래하는 특정 수량의 복잡성과 결합시키는 것; 둘째, 만족스러운 진리이론에 의하여 참인 신념의 ㅡ 근거가 충분하거나 합리적인 신념 ㅡ 기준이 생성되어야 한다는 널리 퍼져있지만 잘못된 독단. 정말로, 대응 진리이론의 세 가지 적(敵)인 ㅡ 일관성을 진리로 오해하는 정합론(整合論: coherence theory), ‘참으로 알려진’을 ‘참’으로 오해하는 증거론(evidence theory), 그리고 실용성을 진리로 오해하는 실용주의적이거나 도구주의적 이론 ㅡ 이것들 모두는, 타스키의 객관적 (혹은 ‘메타논리적’) 이론과 대조되어, 주관적 (혹은 ‘인식적’) 진리이론들이다. 그것들은 주관적인데, 예를 들어 그 지식의 내력에 의해서 혹은 다른 신념들에 대한 그 지식의 관계에 의하여 특정된, 오직 특별한 종류의 정신상태로서나 의향으로서 혹은 특별한 종류의 신념으로서 지식을 생각할 수 있는 근본적인 주관주의적 견해로부터 그것들 모두가 유래한다는 의미에서 주관적이다.
믿는 것에 대한 우리의 주관적인 경험으로부터 우리가 시작하여, 그리하여 지식을 특별한 종류의 믿음으로서 간주한다면, 우리는 정말로 진리를 ㅡ 다시 말해서, 참인 지식 ㅡ 어떤 훨씬 더 특별한 종류의 믿음으로서 간주해야 할 것이다: 근거가 충분하거나 정당화된 종류의 믿음으로서 간주해야 할 것이다. 이것은, 부분적인 것뿐일지라도 충분한 근거에 대한 다소 효과적인 어떤 기준이 틀림없이 있음을 의미할 터이다; 믿음에 대한 다른 경험들로부터, 근거가 충분한 믿음들에 대한 경험을 차별화하는 어떤 징조가 틀림없이 있음을 의미할 터이다. 모든 주관적인 진리이론들은 그런 기준을 겨냥함이 밝혀질 수 있다: 우리가 지닌 믿음들의 근원들이나 출처들을 통하여, 혹은 우리의 검증 작업이나 어떤 수용 규칙들의 집합을 통하여서나 단지 우리가 지닌 주관적인 믿음의 특질을 통하여, 모든 주관적인 진리이론들은 진리를 정의(定義)하려고 시도한다. 특정 규칙들이나 기준들에 따라서, 우리들이 지닌 지식의 출처들이나 근원들에 대하여 혹은 믿음의 신뢰성이나 안정성 혹은 성공이나 힘에 대하여 혹은 달리 생각할 수 없음에 대하여 우리가 믿거나 수용하여 정당화되는 것이 진리라고 모든 주관적인 진리이론들이 언급의 차이를 보이며 말한다.
객관적 진리이론에 의하면 매우 다른 태도가 발생한다. 그 이론으로 인하여 우리가 다음과 같이 주장할 수 있다는 사실로부터 이것이 알려질 것이다: 이론은 아무도 그 이론을 믿지 않을지라도, 그리고 그 이론이 참이라고 믿을 이유가 우리에게 없을지라도, 참일지도 모른다; 그리고 또 다른 이론은 그 이론을 수용할 비교적 충분한 이유가 우리에게 있을지라도 거짓일지도 모른다.
분명히, 주관적이거나 인식적 진리이론의 관점에서 이 주장들은 자기-모순적으로 보일 터이다. 그러나 객관적 이론 안에서, 그 주장들은 일관적일 뿐 아니라 아주 명백하게 참이다.
객관적인 대응이론으로 인하여 아주 자연스러울 터인 유사한 주장은 이러하다: 우리가 참인 이론을 떠올지라도, 우리는 통상적으로 단지 상상하고 있을 것이어서 그 이론이 참인 것을 우리가 아는 것이 불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은 주장은, 2,500년 전에 살았던 크세노파네스(Xenophanes)에 의하여 분명히 처음으로 제기되었다; 그 주장으로 인하여 객관적 진리이론이 정말로 오래되었음이 ㅡ 역시 그 주장을 믿었던 아리스토텔레스 이전으로 ㅡ 밝혀진다. 그러나 사실들과 대응으로서의 객관적 진리이론이, 우리가 그 이론 없이도 연구할 수 있다는 의미에서, 자기-모순적이거나 (거짓말쟁이의 역설 때문에), 혹은 공허하거나 (램지[Ramsey]가 제시한 바와 같이), 효과가 없거나 최소한도 불필요할 것이라는 의혹이 오직 타스키의 업적으로써 제거되었다.
나의 과학적 진보이론에서, 어느 정도까지 사실들과 대응으로서의 객관적 진리이론 없이도 나는 아마도 연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타스키 이래, 내가 사실들과 대응으로서의 객관적 진리이론을 피하려고 시도해야 하는 이유를 나는 더 이상 알지 못한다. 그래서 순수과학과 응용과학의, 지식탐구와 힘의 탐색이나 강력한 도구탐색의, 차이점을 우리가 설명하고 싶어 한다면 우리는 그 이론 없이 연구할 수 없다. 이유인즉 차이점이, 지식탐구에서 우리가 참인 혹은 적어도 다른 이론들보다 진리에 더 가까운 이론들을 ㅡ 사실들에 더 잘 대응하는 ㅡ 발견하려고 결심하기 때문이다; 반면 강력한 도구들 탐색의 많은 경우에, 우리는 거짓으로 알려진 이론들에 의하여 아주 충분히 도움을 받는다.
그래서 객관적 즉, 절대적 진리이론의 한 가지 커다란 이점은 그 이론에 의하여 우리가 ㅡ 크세노파네스와 함께 ㅡ 진리를 탐구하지만, 언제 진리를 우리가 발견했는지 우리는 알지 못할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는 것이다; 우리에게 진리에 대한 기준이 없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규제적 원리(regulative principle)로서의 (칸트나 퍼스[Peirce]가 아마도 말했을 것과 같이) 진리관념에 의하여 지도를 받는다고 말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우리가 진리를 ㅡ 아마도 동어반복적인 진리를 제외하고 ㅡ 인식할 수 있는 일반적인 기준은 없을지라도 진리를 향한 진보에 대한 기준은 있다고 (내가 곧 설명할 것과 같이) 말할 수 있다는 것이다.
사실들과의 대응으로서, 객관적 의미에서 진리의 위상과 규제적 원리로서 진리의 역할은 보통 구름에 쌓여있는 산꼭대기의 위상에 비견될 것이다. 등반가는 산꼭대기에 도달하는 데 어려움을 겪지만은 않을 것이다 ㅡ 등반가는 구름 속에서 주봉과 부차적 봉우리를 구분할 수 없을 것이기 때문에, 언제 산꼭대기에 도달하는지를 알지 못할 것이다. 그러나 이것으로 인하여 산꼭대기의 객관적 존재가 영향을 받지 않는다. ‘내가 실제 산꼭대기에 도달했는지 나는 의심한다’고 등반가가 우리에게 말한다면 그는 산꼭대기의 객관적 존재를 함축적으로 정말로 인정한다. 오류에 대한, 혹은 의구심에 대한 바로 그 관념이 (자체의 정상적인 솔직한 의미에서) 우리가 도달하지 못할 객관적 진리관념을 암시한다.
등반가가 자신이 정상에 도달했음을 확신하는 일이 불가능할지라도, 등반가가 자신이 정상에 도달하지 못했음을 (혹은 정상에 아직 도달하지 못했음) 깨닫는 일은 흔히 쉬울 것이다; 예를 들어 돌출한 절벽에 의하여 등반가가 돌아설 때. 유사하게 우리가 진리에 도달하지 못했음을 우리가 완벽하게 확신할 경우들이 있을 것이다. 그리하여 심지어 증명 가능하게 일관적인 이론체계들도 사실상 거짓일 것이라는 이유만으로 일관성이 진리기준이 아닌 반면, 논리적 부정합(不整合 inconsistence)이나 모순으로 인하여 허위가 정말로 입증된다; 그래서 우리가 운이 좋다면, 우리는 우리의 이론들 중 몇 가지 이론들의 허위를 발견할 것이다.
1944년 타스키가 자신의 진리이론에 대한 연구물의 영어로 된 개요를 (그는 1933년 폴란드에서 그 이론을 발표했다) 최초로 발표했을 때, 크세노파네스의 주장들과 같은 주장들을 감히 발표했던 철학자는 없었다; 그리고 타스키의 논문이 발표된 책이 또한 진리에 관한 두 편의 주관주의적 논문들을 담고 있었던 것은 흥미롭다.
그 후 사태가 개선되었을지라도, 주관주의는 과학철학에서 그리고 특히 확률이론 분야에서 여전히 만연하고 있다. 주관주의적 확률이론은, 확률의 등급들(degrees)을 합리적 믿음의 등급들로서 해석하는데, 진리에 대한 주관주의적 접근으로부터 ㅡ 특히 정합이론으로부터 ㅡ 직접적으로 유래한다. 그러나 그 이론은 타스키의 진리이론을 수용한 철학자들에 의하여 여전히 포용된다. 적어도 그 철학자들 중 몇몇은, 확률이론이 자신들이 검증을 통한 진리 도달이라는 주관주의적 이론 즉, 인식론적 이론으로부터 ㅡ 다시 말해서 관찰되는 사례들에 근거한, 합리적이고 정당화될 수 있는 믿음에 대한 주관주의적 이론 즉, 인식론적 이론으로부터 ㅡ 당초에 기대했던 것을 자신들에게 줄 것이라는 희망에서 확률이론으로 선회했다고 나는 생각한다.
이 모든 주관주의적 이론들이 논박될 수 없다는 것은 (주관주의적 이론들이 너무 쉽게 비판을 피할 수 있다는 의미에서) 그 이론들에서 어설픈 요점이다. 이유인즉 우리가 세상에 관하여 말하는 모든 것 혹은 우리가 대수(對數:logarithms)에 관하여 표기하는 모든 것이 믿음 서술에 의하여 틀림없이 대체될 수 있다는 견해를 지지하는 것이 항상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우리는 ‘눈은 희다(Snow is white)’라는 서술을, ‘눈은 희다고 나는 믿는다(I believe that snow is white)’나 혹은 아마도 심지어 ‘이용가능한 모든 증거에 비추어 눈은 희다고 믿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나는 믿는다(In the light of all the available evidence I believe that it is rational to believe that snow is white)’에 의하여 대체할 것이다. 객관적인 세상에 대한 주장들을 주관주의적인 과잉표현들 중 하나에 의하여 우리가 대체할 수 있다는 (어떤 방식으로) 것은, 대수표들(logarithms tables)에서 ㅡ 기계들에 의하여 만들어질 ㅡ 발견되는 주장의 경우에 다소 확신적이 아닐지라도, 하찮다. (논리적 확률의 주관적 해석에 의하여 이 주관주의적 대체물들이, 정합 진리이론의 경우에서와 꼭 마찬가지로, 근접분석으로 통하여 ‘의미론적’이라기보다는 본질적으로 ‘구문론적’으로 판명되는 접근방식과 연결된다고 ㅡ 그 해석이 ‘의미론적 체계’ 안에서 제시될지라도 ㅡ 부언하여 언급될 것이다.)
작은 표의 도움을 받아서 과학적 지식에 대한 객관적 이론과 주관적 이론 사이의 관계를 요약하면 유용할 것이다:
객관적이거나 논리적 혹은 주관적이거나 심리학적 혹은
존재론적 이론들 인식론적 이론들
사실들과 대응으로서의 우리의 정신 상태의 속성으로서
진리 진리 ㅡ 혹은 지식이나 믿음
객관적 확률 주관적 확률
(상황에 내재적이어서 통계적 (우리의 전체 지식에 근거한
시험들에 의하여 시험 가능) 합리적 믿음의 등급)
객관적 무작위성 지식의 결핍
(통계적으로 시험 가능)
등가 확률 지식의 결핍
(물리적이거나 상황적 대칭)
이 모든 경우들에 이 두 가지 접근방법들이 구분되어야 할뿐 아니라 주관주의적 접근방법은 실수에 ㅡ 아마도 유혹적인 실수일지라도 ㅡ 근거한 것으로서, 작은 실책으로서 배격되어한다고 나는 말하고 싶다. 그러나 인식론적 (오른쪽) 편이 실수에 근거하지 않은 유사한 표가 있다.
진리 추측
시험가능성 경험적 시험
설명력 혹은 예언력 입증 등급
(다시 말해서, 시혐 결과의
‘박진성(迫眞性: verisimilitude)’ 보고서)
ㅡ 칼 포퍼, “추측과 논박 과학적 지식의 성장”, 1989년, 223-228쪽 ㅡ
2. THE THEORY OF OBJECTIVE TRUTH: CORRESPONDENCE
TO THE FACTS
VII
So far I have spoken about science, its progress, and its criterion of progress, without even mentioning truth. Perhaps surprisingly, this can be done without falling into pragmatism or instrumentalism: it is perfectly possible to argue in favour of the intuitive satisfactoriness of the criterion of progress in science without ever speaking about the truth of its theories. In fact, before I became acquainted with Tarski's theory of truth, it appeared to me safer to discuss the criterion of progress without getting too deeply involved in the highly controversial problem connected with the use of the word 'true'.
My attitude at the time was this: although I accepted, as almost everybody does, the objective or absolute or correspondence theory of truth - truth as correspondence with the facts - I preferred to avoid the topic. For it appeared to me hopeless to try to understand clearly this strangely elusive idea of a correspondence between a statement and a fact.
In order to recall why the situation appeared so hopeless we only have to remember, as one example among many, Wittgenstein's Tractatus with its surprisingly naïve picture theory, or projection theory, of truth. In this book a proposition was conceived as a picture or projection of the fact which it was intended to describe and as having the same structure (or 'form') as that fact; just as a gramophone record is indeed a picture or a projection of a sound, and shares some of its structural properties.
Another of these unavailing attempts to explain this correspondence was due to Schlick, who gave a beautifully clear and truly devastating criticism of various correspondence theories - including the picture or projection theory - but who unfortunately produced in his turn another one which was no better. He interpreted the correspondence in question as a one-to-one correspondence between our designations and the designated objects, although counterexamples abound (designations applying to many objects, objects designated by many designations) which refute this interpretation.
All this was changed by Tarski's theory of truth and of the correspondence of a statement with the facts. Tarski's greatest achievement, and the real significance of his theory for the philosophy of the empirical sciences, is that he rehabilitated the correspondence theory of absolute or objective truth which had become suspect. He vindicated the free use of the intuitive idea of truth as correspondence to the facts. (The view that his theory is applicable only to formalized languages is, I think, mistaken. It is applicable to any consistent and even to a 'natural' language, if only we learn from Tarski's analysis how to dodge its inconsistencies; which means, admittedly, the introduction of some 'artificiality' - or caution - into its use. See also Addendum 5, below.)
See my L. Sc. D, especially section 84, and my Open Society, especially pp. 369-374.
Cp. Wittgenstein's Tractatus, especially 4.0141; also 2.161; 2.17; 2.223; 3.11.
See especially pp. 56-7 of his remarkable Allgemeine Erkenntnislehre, 2nd edn., 1925.
Although I may assume in this assembly some familiarity with Tarski's theory of truth, I may perhaps explain the way in which it can be regarded, from an intuitive point of view, as a simple elucidation of the idea of correspondence to the facts. I shall have to stress this almost trivial point because, in spite of its triviality, it will be crucial for my argument.
The highly intuitive character of Tarski's ideas seems to become more evident (as I have found in teaching) if we first decide explicitly to take 'truth' as a synonym for 'correspondence to the facts', and then (forgetting all about 'truth') proceed to explain the idea of 'correspondence to the facts'.
Thus we shall first consider the following two formulations, each of which states very simply (in metalanguage) under what conditions a certain assertion (of an object language) corresponds to the facts.
(1) The statement, or the assertion, 'Snow is white' corresponds to the facts if, and only if, snow is, indeed, white.
(2) The statement, or the assertion, 'Grass is red' corresponds to the facts if, and only if, grass, indeed, red.
These formulations (in which the word 'indeed' is only inserted for ease, and may be omitted) sound, of course, quite trivial. But it was left to Tarski to discover that, in spite of their apparent triviality, they contained the solution of the problem of explaining correspondence to the facts.
The decisive point is Tarski's discovery that, in order to speak of correspondence to the facts, as do (1) and (2), we must use a metalanguage in which we can speak about two things: statements; and the facts to which they refer. (Tarski calls such a metalanguage 'semantical'; a metalanguage in which we can speak about an object language but not about the facts to which it refers is called 'syntactical'.) Once the need for a (semantical) metalanguage is realized, everything becomes clear. (Note that while (3) '"John called" is true' is essentially a statement belonging to such a metalanguage, (4) 'It is true that John called' may belong to the same language as 'John called'. Thus the phrase 'It is true that' - which, like double negation, is logically redundant - differs widely from the metalinguistic predicate 'is true'. The latter is needed for general remarks such as, 'If the conclusion is not true, the premises cannot all be true' or 'John once made a true statement'.)
I have said that Schlick's theory was mistaken, yet I think that certain comments he made (loc. cit.) about his own theory throw some light on Tarski's. For Schlick says that the problem of truth shared the fate of some others whose solutions were not easily seen because they were mistakenly supposed to lie on a very deep level, while actually they were fairly plain and, at first sight, unimpressive. Tarski's solution may well appear unimpressive at first sight. Yet its fertility and its power are impressive indeed.
VIII
Thanks to Tarski's work, the idea of objective or absolute truth - that is truth as correspondence to the facts - appears to be accepted today with confidence by all who understand it. The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it seem to have two sources: first, the combination of an extremely simple intuitive idea with a certain amount of complexity in the execution of the technical programme to which it gives rise; secondly, the widespread but mistaken dogma that a satisfactory theory of truth should yield a criterion of true belief - of well-founded, or rational belief. Indeed, the three rivals of the correspondence theory of truth - the coherence theory which mistakes consistency for truth, the evidence theory which mistakes 'known to be true' for 'true', and the pragmatic or instrumentalist theory which mistakes usefulness for truth - these are all subjective (or 'epistemic') theories of truth, in contradistinction to Tarski's objective (or 'metalogical') theory. They are subjective in the sense that they all stem from the fundamental subjectivist position which can conceive of knowledge only as a special kind of mental state, or as a disposition, or as a special kind of belief, characterized, for example, by its history or by its relation to other beliefs.
If we start from our subjective experience of believing, and thus look upon knowledge as a special kind of belief, then we may indeed have to look upon truth - that is, true knowledge - as some even more special kind of belief: as one that is well-founded or justified. This would mean that there should be some more or less effective criterion, if only a partial one, of well-foundedness; some symptom by which to differentiate the experience of well-founded belief from other experiences of belief. It can be shown that all subjective theories of truth aim at such a criterion: they try to define truth in terms of the sources or origins of our beliefs, or in terms of our operations of verification, or of some set of rules of acceptance, or simply in terms of the quality of our subjective convictions. They all say, more or less, that truth is what we are justified in believing or in accepting, in accordance with certain rules or criteria, of origins or sources of our knowledge, or of reliability, or stability, or success, or strength of conviction, or inability to think otherwise.
The theory of objective truth leads to a very different attitude. This may be seen from the fact that it allows us to make assertions such as the following: a theory may be true even though nobody believes it, and even though we have no reason to think that it is true; and another theory may be false even though we have comparatively good reasons for accepting it.
Clearly, these assertions would appear to be self-contradictory from the point of view of any subjective or epistemic theory of truth. But within the objective theory, they are not only consistent, but quite obviously true.
A similar assertion which the objective correspondence theory would make quite natural is this: even if we hit upon a true theory, we shall as a rule be merely guessing, and it may well be impossible for us to know that it is true.
An assertion like this was made, apparently for the first time, by Xenophanes who lived 2,500 years ago; which shows that the objective theory of truth is very old indeed - antedating Aristotle, who also held it. But only with Tarski's work has the suspicion been
See my Introduction to this volume, 'On the Sources of Knowledge and of Ignorance'.
See my Introduction, p. 26, and ch. 5, pp. 152 f., above.
removed that the objective theory of truth as correspondence to the facts may be either self-contradictory (because of the paradox of the liar), or empty (as Ramsey suggested), or barren, or at the very least redundant, in the sense that we can do without it.
In my theory of scientific progress I might perhaps do without it, up to a point. Since Tarski, however, I no longer see any reason why I should try to avoid it (이 문장에서는 since가 [~이래]의 의미로 사용되었으므로 동사가 완료시제를 취해야 한다. see라는 단순시제가 올 수 없기 때문에 문법적 오류이다. - 역자 주). And if we wish to elucidate the difference between pure and applied science, between the search for knowledge and the search for power or for powerful instruments, then we cannot do without it. For the difference is that, in the search for knowledge, we are out to find true theories, or at least theories which are nearer than others to the truth - which correspond better to the facts; whereas in the search for powerful instruments we are, in many cases, quite well served by theories which are known to be false.
So one great advantage of the theory of objective or absolute truth is that it allows us to say - with Xenophanes - that we search for truth, but may not know when we have found it; that we have no criterion of truth, but are nevertheless guided by the idea of truth as a regulative principle (as Kant or Peirce might have said); and that, though there are no general criteria by which we can recognize truth - except perhaps tautological truth - there are criteria of progress towards the truth (as I shall explain presently).
The status of truth in the objective sense, as correspondence to the facts, and its role as a regulative principle, may be compared to that of a mountain peak usually wrapped in clouds. A climber may not merely have difficulties in getting there - he may not know when he gets there, because he may be unable to distinguish, in the clouds, between the main summit and subsidiary peak. Yet this does not affect the objective existence of summit; and if the climber tells us 'I doubt whether I reached the actual summit', then he does, by implication, recognize the objective existence of the summit. The very idea of error, or of doubt (in its normal straightforward sense) implies the idea of an objective truth which we may fail to reach.
Though it may be impossible for the climber ever to make sure that he has reached summit, it will often be easy for him to realize that he has not reached it (or not yet reached it); for example, when he is turned back by an overhanging wall. Similarly, there will be cases when we are quite sure that we have not reached the truth. Thus while coherence, or consistency, is no criterion of truth, simply because even demonstrably consistent systems may be false in fact, incoherence or inconsistency do establish falsity; so, if we are lucky, we may discover the falsity of some of our theories.
In 1944, when Tarski published the first English outline of his investigations into the theory of truth (which he had published in Poland in 1933), few philosophers would have dared to make
See the discussion of the 'second view' (called 'instrumentalism') in ch. 3, above.
See Alfred Tarski's paper, 'The Semantic Conception of Truth', in Philosophy and Phenom. Research, 4, 1943-4, pp. 341 ff. (Cp. especially section 21.)
assertions like those of Xenophanes; and it is interesting that the volume in which Tarski's paper was published also contained two subjectivist papers on truth.
Though things have improved since then, subjectivism is still rampant in the philosophy of science, and especially in the field of probability theory. The subjectivist theory of probability, which interprets degrees of probability as degrees of rational belief, stems directly from the subjectivist approach to truth - especially from the coherence theory. Yet it is still embraced by philosophers who have accepted Tarski's theory of truth. At least some of them, I suspect, have turned to probability theory in the hope that it would give them what they had originally expected from a subjectivist or epistemological theory of the attainment of truth through verification; that is, a theory of rational and justifiable belief, based upon observed instances.
It is an awkward point in all these subjectivist theories that they are irrefutable (in the sense that they can too easily evade any criticism). For it is always possible to uphold the view that everything we say about the world, or everything we print about logarithms, should be replaced by a belief statement. Thus we may replace the statement 'Snow is white' by 'I believe that snow is white' or perhaps even by 'In the light of all the available evidence I believe that it is rational to believe that snow is white'. That we can (in a way) 'replace' assertions about the objective world by one of the subjectivist circumlocutions is trivial, although in the case of the assertions found in logarithm tables - which might well be produced by machines - somewhat unconvincing. (It may be mentioned in passing that the subjective interpretation of logical probability links these subjectivist replacements, exactly as in the case of the coherence theory of truth, with an approach which, on closer analysis, turns out to be essentially 'syntactic' rather than 'semantic' - though it may be presented within a 'semantical system'.)
It may be useful to sum up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objective and subjective theories of scientific knowledge with the help of a little table:
OBJECTIVE OR LOGICAL OR SUBJECTIVE OR PSYCHOLOGICAL OR
ONTOLOGICAL THEORIES EPISTEMOLOGICAL THEORIES
truth as correspondence truth as property of our state
with the facts of mind - or knowledge or belief
objective probability subjective probability
(inherent in the situation, and (degree of rational belief based
testable by statistical tests) upon our total knowledge)
objective randomness lack of knowledge
(statistically testable)
equiprobability lack of knowledge
(physical or situational symmetry)
In all these cases I am inclined to say not only that these two approaches should be distinguished, but also that the subjectivist
See the volume referred to in the preceding note, especially pp. 279 and 336.
Cp. Carnap, Logical Foundations of Probability, 1950, p. 177, and my L. Sc. D., especially section 84.
approach should be discarded as a lapse, as based on a mistake - though perhaps a tempting mistake. There is, however, a similar table in which the epistemological (right hand) side is not based on a mistake.
truth conjecture
testability empirical test
explanatory or predictive power degree of corroboration
(that is, report of the results
'verisimilitude' of tests)
'칼포퍼 원전+번역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식성장을 위한 세 가지 요건 (0) | 2023.07.21 |
---|---|
세 종류의 철학자들 (2) | 2023.07.21 |
서술의 확률과 수학적 확률은 다르다 (0) | 2023.07.21 |
과학적 지식의 성장은 관찰이 아니라 문제로써 시작한다 (0) | 2023.07.21 |
사실들은 어떻게 기술되는가 (0) | 2023.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