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포퍼 원전+번역문

합리적 태도와 제한사항

이윤진이카루스 2023. 10. 18. 13:51

합리적 태도와 제한사항.hwp
0.04MB

 

 

                              합리적 태도와 제한사항

 

 

두 사람이 의견일치를 이루지 못하면, 그들의 의견이 다르기 때문이거나 혹은 그들의 이해관계가 다르거나 두 가지 경우 모두 때문에 그렇다. 이런저런 방식으로 결정되어야 할 많은 종류의 의견불일치가 사회생활에 있다. 문제는, 해결에 실패하면 그 누적 효과로 인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데 지속적이고 강렬한 대비상태 같은 참을 수 없는 긴장이 발생할 것이기 때문에, 해결되어야 하는 문제일 것이다. (군비경쟁이 사례이다.) 결정에 도달하는 것이 필수사항일 것이다.

어떻게 결정에 도달할 수 있는가? 주로 오직 두 가지 가능한 방법들이 있다: 논쟁 (중재에, 예를 들어 어떤 국제 재판소에 위탁된 논쟁들) 그리고 폭력. 혹은 충돌하는 것이 이해관계라면 두 가지 대안은 합리적인 타협이거나 반대 측 이해관계를 파괴하려는 시도이다.

합리주의자는, 내가 그 단어를 사용하는 바와 같이, 폭력에 의해서라기보다 논쟁에 의하여 그리고 아마도 어떤 경우들에는 타협에 의하여 결정에 도달하려고 노력하는 사람이다. 그는 상대방을 힘으로, 위협과 협박으로 혹은 심지어 설득용 선전으로 누르기보다 논증에 의하여 상대방을 확신시키려다 실패하는 것을 선호하는 사람이다.

우리가 논증으로 사람을 확신시키려고 노력하는 것과 선전으로 사람을 설득하려고 노력하는 것 사이의 차이점을 고찰한다면 합리성에 의하여 내가 의미하는 바를 우리가 더 잘 이해할 것이다.

그 차이점은 논증 사용에 놓여있지 않다. 선전 또한 흔히 논증을 이용한다. 또한 그 차이점은 우리의 논증이 확정적이어서 합리적인 사람이라면 확정적으로 인정해야 한다는 우리의 신념에도 놓이지 않는다. 그 차이점은 주고받기의 태도에, 다른 사람을 확신시키겠다는 것뿐 아니라 다른 사람에 의하여 아마도 확신을 받겠다는 마음가짐에 놓여 있다. 내가 합리성의 태도라고 부르는 것은 다음과 같은 언급에 의하여 규정될 것이다: ‘나는 내가 옳다고 생각하지만, 내가 틀리고 당신이 옳을지도 모른다, 그래서 아무튼 우리가 토론하자, 이유인즉 이런 방식으로 우리 각자 옳다고 주장만 하는 것보다 우리가 참된 이해(理解: understanding)에 더 가까이 갈 것 같기 때문이다.’

내가 합리성의 태도라고 혹은 합리주의적 태도라고 부르는 것은 얼마간의 지적(知的) 겸손을 전제한다고 이해될 것이다. 아마도 자신들이 때때로 틀린다는 것을 의식하고 있는, 그리고 자신들의 실수들을 습관적으로 잊지 않는 사람들만이 그 태도를 견지할 수 있다. 우리가 전지(全知)하지 않다는 것과 그래서 우리는 우리가 지닌 지식 대부분을 다른 사람에게서 빌려온다는 것은 자각으로부터 그 태도가 탄생한다. 그것은 모든 재판과정의 두 가지 규칙을 일반적인 견해의 분야에까지 가능한 한 멀리 적용하려고 애쓰는 태도이다: 첫째 사람은 쌍방의 이야기를 항상 들어야 한다는 것, 그리고 둘째 사람이 사건의 당사자라면 훌륭하게 판단을 내릴 수 없다는 것.

사회생활에서 서로를 대할 때 우리가 이 합리성의 태도를 실천하는 한에서만 우리가 폭력을 피할 수 있다고 나는 믿는다; 그리고 다른 태도는 폭력을 초래하기 쉽다고 나는 믿는다 심지어 부드러운 설득으로 다루어, 논증에 의하여 그리고 우리가 자랑스럽게 지닌 통찰력과 우리가 절대적으로 확신하는 그 통찰력의 진리라는 사례에 의하여 다른 사람들을 확신시키려는 일방적인 시도조차도 폭력을 초래하기 쉽다고 나는 믿는다. 얼마나 많은 종교전쟁이 사랑과 온유함의 종교 때문에 발생했던지를 우리 모두가 기억해야 한다; 지옥의 영원한 불로부터 영혼을 구하려는 진정으로 친절한 의도에 의하여 얼마나 많은 사람의 육체가 산 채로 화형을 당했는지를 우리가 모두 기억해야 한다. 우리가 의견의 영역에서 우리의 권위적인 태도를 포기한다는 조건으로만, 우리가 주고받기라는 다른 사람들로부터 배우겠다는 결의를 확립한다는 조건에서만, 경건함과 의무감에 의하여 고취된 폭력행위를 우리가 억제하기를 바랄 수 있다.

합리성이 급격히 확산되는 것을 가로막는 많은 장애물이 있다. 주요 장애물 중 하나는 토론이 합당하려면 항상 양편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양편 각각은 상대편으로부터 배울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여러분으로부터 확신을 받기보다는 여러분을 총으로 쏘기를 선호하는 사람과 여러분은 합리적인 토론을 할 수 없다. 다시 말해서 합리성의 태도에는 제약이 있다. 관용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관용적이지 못한 사람들 모두를 관용하는 원칙을 여러분은 무한정 수용할 수 없다; 여러분이 그런 사람들을 무한정 수용한다면 여러분 자신뿐 아니라 관용의 태도마저 여러분이 파괴할 것이다. (이 모든 것은 내가 이전에 제시한 언급에 지적되어 있다 합리성은 주고받기의 태도여야 한다는 것.)

이 모든 것의 중요한 결론은, 공격과 방어의 구분이 흐려지도록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우리는 이 구분을 굳게 지키면서, 자체의 기능이 공격과 공격에 대한 저항을 차별하는 것인 사회제도를 (국제적 사회제도뿐 아니라 국가적 사회제도) 뒷받침하고 발전시켜야 한다.

나 자신을 합리주의자라고 자처하고 내가 전하고자 했던 것을 분명히 하여 내가 충분히 말했다고 나는 생각한다. 나의 합리주의는 독단적이 아니다. 나의 합리주의를 나는 합리적으로 증명할 수 없음을 나는 완전히 인정한다. 나는 폭력을 증오하기 때문에 합리주의를 선택한다고 솔직하게 고백하며, 이 증오에 합리적 근거가 있다고 믿도록 나 자신을 기만하지 않는다. 혹은 또 다른 방식으로 표현해서 나의 합리주의는 자족적이 아니고, 합리성의 태도라는 비합리적 신념에 근거한다. 우리가 이것을 초월할 수 있는지 나는 알지 못한다. 다른 사람들을 확신시키고 다른 사람들에 의하여 확신을 받겠다는 평등하고 상호적인 권리들에 대한 나의 비합리적 믿음이 인간의 이성에 대한 신뢰라고 사람들은 아마도 말할 수 있을 터이다; 혹은 간단히 내가 사람을 신뢰한다고 사람들은 아마도 말할 수 있을 터이다.

내가 사람을 신뢰한다고 말하면, 있는 그대로의 사람을 나는 의미한다; 그리고 사람이 전적으로 합리적이라고 말할 꿈도 나는 꾸는 적이 없다. 사람이 감정적이라기보다는 합리적이라거나 또는 그 반대인지와 같은 질문이 가능하다고 나는 생각하지 않는다: 그런 것들을 평가하거나 비교하는 방법은 없다. 인간과 인간사회의 비합리성에 관한 특정 과장들에 (주로 심리-분석의 세속화로부터 발생하는) 대하여 내가 항의하고 싶다는 것을 나는 인정한다. 그러나 나는 인간 생활에서 감정들의 힘뿐 아니라, 그 감정들의 가치 또한 인식한다. 합리성의 태도를 지니는 것이 우리 삶에서 한 가지 압도적 목표가 되어야 한다고 내가 주장해서는 안 된다. 내가 주장하고 싶은 유일한 것은 이 태도가 완전히 결여된 적이 없는 것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사랑과 같은 커다란 열정에 의해서 지배되는 관계들에서도 심지어 완전히 결여된 적 없는 것.

칼 포퍼, “추측과 논박, 과학적 지식의 성장”, 1989, 355-357

 

 

 

 

 

 

 

 

 

When two men disagree, they do so either because their opinions differ, or because their interests differ, or both. There are many kinds of disagreement in social life which must be decided one way or another. The question may be one which must be settled, because failure to settle it may create new difficulties whose cumulative effects may cause an intolerable strain, such as a state of continual and intense preparation for deciding the issue. (An armaments race is an example.) To reach a decision may be a necessity.

How can a decision be reached? There are, in the main, only two possible ways: argument (including arguments submitted to arbitration, for example to some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and violence. Or, if it is interests that clash, the two alternatives are reasonable compromise or an attempt to destroy the opposing interest.

A rationalist, as I use the word, is a man who attempts to reach decisions by argument and perhaps, in certain cases, by compromise, rather than by violence. He is a man who would rather be unsuccessful in convincing another man by argument than successful in crushing him by force, by intimidation and threats, or even by persuasive propaganda.

We shall understand better what I mean by reasonableness if we consider the difference between trying to convince a man by argument and trying to persuade him by propaganda.

The difference does not lie so much in the use of argument. Propaganda often uses argument too. Nor does the difference lie in our conviction that our arguments are conclusive, and must be admitted to be conclusive by any reasonable man. It lies rather in an attitude of give and take, in a readiness not only to convince the other man but also possibly to be convinced by him. What I call the attitude of reasonableness may be characterized by a remark like this: 'I think I am right, but I may be wrong and you may be right, and in any case let us discuss it, for in this way we are likely to get nearer to a true understanding than if we each merely insist that we are right.'

It will be realized that what I call the attitude of reasonableness or the rationalistic attitude presupposes a certain amount of intellectual humility. Perhaps only those can take it up who are aware that they are sometimes wrong, and who do not habitually forget their mistakes. It is born of the realization that we are not omniscient, and that we owe most of our knowledge to others. It is an attitude which tries as far as possible to transfer to the field of opinions in general the two rules of every legal proceeding: first, that one should always hear both sides, and secondly, that one does not make a good judge if one is a party to the case.

I believe that we can avoid violence only in so far as we practise this attitude of reasonableness when dealing with one another in social life; and that any other attitude is likely to produce violence - even a one-sided attempt to deal with others by gentle persuasion, and to convince them by argument and example of those insights we are proud of possessing, and of whose truth we are absolutely certain. We all remember how many religious wars were fought for a religion of love and gentleness; how many bodies were burned alive with the genuinely kind intention of saving souls from the eternal fire of hell. Only if we give up our authoritarian attitude in the realm of opinion, only if we establish the attitude of give and take, of readiness to learn from other people, can we hope to control acts of violence inspired by piety and duty.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mpeding the rapid spread of reasonableness. One of the main difficulties is that it always takes two to make a discussion reasonable. Each of the parties must be ready to learn from the other. You cannot have a rational discussion with a man who prefers shooting you to being convinced by you. In other words, there are limits to the attitude of reasonableness. It is the same with tolerance. You must not, without qualification, accept the principle of tolerating all those who are intolerant; if you do, you will destroy not only yourself, but also the attitude of tolerance. (All this is indicated in the remark I made before - that reasonableness must be an attitude of give and take.)

An important consequence of all this is that we must not allow the distinction between attack and defence to become blurred. We must insist upon this distinction, and support and develop social institutions (national as well as international) whose function it is to discriminate between aggression and resistance to aggression (이 문장에서 it은 불필요하다. 문법적 오류이다. - 역자 주).

I think I have said enough to make clear what I intend to convey by calling myself a rationalist. My rationalism is not dogmatic. I fully admit that I can not rationally prove it. I frankly confess that I choose rationalism because I hate violence, and I do not deceive myself into believing that this hatred has any rational grounds. Or to put it another way, my rationalism is not self-contained, but rests on an irrational faith in the attitude of reasonableness. I do not see that we can go beyond this. One could say, perhaps, that my irrational faith in equal and reciprocal rights to convince others and be convinced by them is a faith in human reason; or simply, that I believe in man.

If I say that I believe in man, I mean in man as he is; and I should never dream of saying that he is wholly rational. I do not think that a question such as whether man is more rational than emotional or vice versa should be asked: there are no ways of assessing or comparing such things. I admit that I feel inclined to protest against certain exaggerations (arising largely from a vulgarization of psycho-analysis) of the irrationality of man and of human society. But I am aware not only of the power of emotions in human life, but also of their value. I should never demand that the attainment of an attitude of reasonableness should become the one dominant aim of our lives. All I wish to assert is that this attitude can become one that is never wholly absent - not even in relationships which are dominated by great passions, such as 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