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 2차 세계대전이 파괴한 것
1차 세계대전은 배움의 공동번영만을 파괴하지 않았다; 그 전쟁은 과학과 합리주의 전통을 거의 파괴했다. 왜냐하면 그 전쟁으로 인하여 과학이 기술적이고 도구적이 되었기 때문이다. 그 전쟁으로 인하여 전문화가 확대되었고, 과학을 참되게 이용해야 하는 사람들이 ㅡ 아마추어, 지혜를 사랑하는 자, 알고자 하는 소망을 지닌 평범하고도 책임감이 있는 시민 ㅡ 과학으로부터 격리되었다. 이 모든 것은 2차 세계대전과 핵폭탄에 의하여 훨씬 더 악화되었다. 이 모든 것이 다시 언급되어야 하는 이유는 이것 때문이다. 왜냐하면 우리 대서양 민주주의 국가들은 과학 없이 살 수가 없기 때문이다. 그 국가들의 가장 근본적 가치는 ㅡ 고통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을 별도로 하고 ㅡ 진리이다. 합리주의 전통이 부패하도록 우리가 내버려 둔다면 그 국가들은 생존할 수 없다. 그러나 우리가 과학으로부터 배울 수 있는 것은, 진리가 습득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진리는 언급되지 않은 패배들과 애끓는 노력과 밤을 지새우는 날들의 결과라는 것이다. 이것이 과학이 지닌 위대한 교훈의 하나이고, 나는 우리가 그 교훈 없이 일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러나 현대의 전문화와 조직화된 연구가 해치려고 위협하는 것은 바로 이 교훈이다; 그리고 귀납법이라는 베이컨(Bacon)의 순진한 견해들의 ㅡ 과학은 사례들을, 특히 확인하는 사례들을 수집하여 도표화하는 것이라는 믿음의 ㅡ 재출현을, 인간의 이성을 신뢰하는 사람들이 공격해야 한다.
ㅡ 칼 포퍼, ‘실재론과 과학의 목표’, 260-261쪽 ㅡ
The First World War destroyed not only the commonwealth of learning; it very nearly destroyed science and the tradition of rationalism. For it made science technical, instrumental. It led to increased specialization and it estranged from science what ought to be its true users ㅡ the amateur, the lover of wisdom, the ordinary, responsible citizen who has a wish to know. All this was made much worse by the Second World War and the (nuclear) bomb. This is why these things have to be said again. For our Atlantic democracies cannot live without science. Their most fundamental value ㅡ apart from helping to reduce suffering ㅡ is truth. They cannot live if we let the tradition of rationalism decay. But what we can learn form science is that truth is hard to come by: that it is the result of untold defeats, of heartbreaking endeavour, of sleepless nights, This is one of the great messages of science, and I do not think that we can do without it.
But it is just this message which modern specialization and organized research threatens to undermine; and the re-emergence of Bacon's naive views of induction ㅡ of the belief that science is the collection and tabulation of instances, and especially of confirming instances ㅡ must be combated by those who believe in human reason.
ㅡ Karl Popper, 'Realism and the Aim of Science, p260-261 ㅡ
'칼포퍼 원전+번역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서하면 해석하는 두 가지 방법 (0) | 2025.02.15 |
---|---|
Realsim and the Aim of Science (0) | 2025.02.15 |
생명체가 불완전한 이유와 생존할 유일한 방법 (0) | 2025.02.12 |
A World of Propensities, pdf (0) | 2025.02.11 |
사람은 이성적 동물인가 이념적 동물인가 (1) | 2025.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