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0 24

합리적 태도와 제한사항

합리적 태도와 제한사항 두 사람이 의견일치를 이루지 못하면, 그들의 의견이 다르기 때문이거나 혹은 그들의 이해관계가 다르거나 두 가지 경우 모두 때문에 그렇다. 이런저런 방식으로 결정되어야 할 많은 종류의 의견불일치가 사회생활에 있다. 문제는, 해결에 실패하면 그 누적 효과로 인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데 지속적이고 강렬한 대비상태 같은 참을 수 없는 긴장이 발생할 것이기 때문에, 해결되어야 하는 문제일 것이다. (군비경쟁이 사례이다.) 결정에 도달하는 것이 필수사항일 것이다. 어떻게 결정에 도달할 수 있는가? 주로 오직 두 가지 가능한 방법들이 있다: 논쟁 (중재에, 예를 들어 어떤 국제 재판소에 위탁된 논쟁들) 그리고 폭력. 혹은 충돌하는 것이 이해관계라면 두 가지 대안은 합리적인 타협이거나 반대 측 이..

유토피아주의와 우리가 실천할 과제

유토피아주의와 우리가 실천할 과제 모든 정치는 행위들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 행위들은 어떤 목표를 추구한다는 조건으로만 합리적일 것이다. 사람의 정치적 행위들에 있는 목표는 자신의 권력이나 재산 증식일 것이다. 혹은 그 목표가 아마도 국가의 법률 몇 가지를 개선하여 국가나 사회 구조에 변화를 일으키려는 것이다. 후자(後者)의 경우에 정치적 행위는, 우리가 이룩하고자 의도하는 정치적 변화의 최종적 목표를 우리가 먼저 결정한다는 조건에서만 합리적일 것이다. 그 정치적 행위는 국가가 무엇이어야 하는지에 관한 특정 사상들과 관련해서만 합리적일 것이다. 그리하여 합리적 정치 행위에 대한 예비조처로서 우리의 최종적 정치 목표들에 관하여 가능한 한 분명해지려고 우리가 먼저 노력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우리..

추측과 논박 17장 여론과 자유주의적 원칙들 (번역 수정본)

추측과 논박 17장 여론과 자유주의적 원칙들 (번역 수정본) 아래 비평들에는 자유주의자들의 (이 용어의 영국적 의미에서: 서문의 말미를 참조) 국제회의에서 토론을 위한 자료를 제공할 목적이 있다. 나의 목적은 훌륭한 일반적인 토론을 위하여 초석들을 놓는 것일 따름이다. 나의 청중들에게서 자유주의적 견해들을 내가 상정(想定)할 수 있었기 때문에 나는 이 견해들에 호의적인 대중적인 상정(想定)들을 지지하기보다는 그 상정(想定)들을 문제시하는 데 주로 관심을 가졌다. 1. 여론이라는 신화(神話) 우리는 흔히 비판 없이 수용되는 ‘여론’에 관한 몇 가지 신화(神話)들을 경계하여야 한다. 첫째 민중의 목소리에 일종의 최종적 권위와 무한한 지혜를 부여하는 민심은 천심(vox populi vox dei)이라는 고전적..

토론의 목표는 만장일치가 아니다

토론의 목표는 만장일치가 아니다 4. 자유 토론에 대한 자유주의적 이론 사상의 자유와 자유 토론은, 실제로 더 이상 정당화할 필요가 없는 궁극적인 자유주의적 가치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들은 진리탐구에서 그것들이 수행하는 역할들을 통하여 실용적으로 또한 정당화될 수 있다. 진리는 명백하지 않다; 그래서 진리는 획득하기가 쉽지 않다. 진리탐구에는 적어도 다음 것이 필요하다: (α) 상상력 (b) 시행착오 (c) (α)와 (b) 그리고 비판적 토론을 통하여 우리가 지닌 편견들의 점진적 발견. 서양의 합리주의적 전통은 그리스인들에게서 유래하는데, 비판적 토론의 전통이다 ㅡ 명제들과 이론들을 논박하려고 노력함에 의하여 명제들과 이론들을 검토하고 시험하는 전통이다. 이 비판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은 증거의 방법..

국가는 필요악이니 강력한 자유주의 전통을 세우라

국가는 필요악이니 강력한 자유주의 전통을 세우라 3. 자유주의적 원칙들: 한 무리의 논지들 (1) 국가는 필요악이다: 국가권력은 필요 이상으로 확대되어서는 안 된다. 사람들은 이 원칙을 아마도 ‘자유주의적 면도날(Liberal Razor)’로 부를 것이다. (오캄의 면도날[Ockham's Razor] 즉, 실재들이나 본질들은 필요 이상으로 확대되어서는 안 된다는 유명한 원칙과 유사하게.) 국가의 필요성을 밝히기 위하는 나는 홉스(Hobbes)의 인간은 모든 인간에 대하여 늑대(homo-homini-lupus)라는 견해의 도움을 받지 않는다. 반대로 우리가 인간은 모든 인간에 대하여 고양이(homo homini felis)라고, 심지어 인간은 모든 인간에 대하여 천사(homo homini angelus)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