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문독해

The Early Greek Philosophers and Myths

이윤진이카루스 2010. 8. 12. 10:52

             The Early Greek Philosophers and Myths

 

   The early Greek Philosophers did indeed try to understand what happened in nature. But so did the more primitive myth-makers before them. How can we characterize that primitive type of explanation which was superseded by the standards of the early Greek philosophers - the founders of our scientific tradition? To put it crudely, the pre-scientific myth-makers said, when they saw a thunderstorm approaching: 'Oh yes, Zeus is angry.' And when they saw that the sea was rough, they said: 'Poseidon is angry.' That was the type of explanation which was found satisfactory before the rationalist tradition introduced new standards of explanation. What was really the decisive difference? one can hardly say that the new theories introduced by the Greek philosophers were more easily understood than the old ones. It is, I think, much easier to understand the statement that Zeus is angry than to understand a scientific account of a thunderstorm. And the statement that Poseidon is angry is for me a much simpler and more easily understandable explanation of the high waves of the sea than one in terms of friction between the air and the surface of the water.

   I think that the innovation which the early Greek philosophers introduced was this: they began to discuss the matters. Instead of accepting the religious tradition uncritically, and as unalterable (like children who protest if aunty alters one word of their favourite fairy-tale), instead of merely handing on a tradition, they challenged it, and sometimes even invented a new myth in place of the old one. We have, I think, to admit that the new stories which they put in the place of the old were, fundamentally, myths - just as the old stories were; but there are two things about them to be noticed.

   First, they were not just repetitions or re-arrangements of the old stories, but contained new elements. Not that this in itself is a very great virtue. But the second and main thing is this: the Greek philosophers invented a new tradition - the tradition of adopting a critical attitude towards the myths, the tradition of discussing them; the tradition of not only telling a myth, but also of being challenged by the man to whom it is told. Telling their myth they were ready in their turn to listen to what their listener thought about it - admitting thereby the possibility that he might perhaps have a better explanation than they. This was a thing that had not happened before. A new way of asking questions arose. Together with the explanation - the myth - the question would arise: 'Can you give me a better account?'; and another philosopher might answer: 'Yes, I can.' Or he might say: 'I do not know whether I can give you a better, but I can give you a very different account which does just as well. These two accounts cannot both be true, so there must be something wrong here. We cannot simply accept these two accounts. Nor have we any reason to accept just one of them. We really want to know more about the matter. We have to discuss it further. We have to see whether our explanation really do account for the things about which we already know, and perhaps even for something we have so far overlooked.'

   My thesis is that what we call 'science' is differentiated from the older myths not by being something distinct from a myth, but by being accompanied by a second-order tradition - that of critically discussing the myth. Before, there was only the first-order tradition. A definite story was handed on. Later there was still, of course, a story to be handed on, but with it went something like a silent accompanying text of a second-order character: 'I hand it on to you, but tell me what you think of it. Think it over. Perhaps you can give us a different story.' This second-order tradition was the critical or argumentative attitude. It was, I believe, a new thing, and it is still the fundamentally important thing about scientific tradition. If we understand that, then we shall have an altogether different attitude towards quite a number of problems of scientific method. We shall understand that, in a certain sense, science is myth-making just as religion is. You will say: 'But the scientific myths are so different from the religious myths.' Certainly they are different. But why are they different? Because if one adopts this critical attitude then one's myths do become different. They change; and they change in the direction of giving a better and better account of the world - of the various things which we can observe. And they also challenge us to observe things which we would never have observed without these theories or myths.

   In the critical discussions which now arose there also arose, for the first time, something like systematic observation. The man to whom a myth was handed on, together with the silent but traditional request, 'What have you to say about it? Can you criticize it?' - this man would take the myth and would apply it to the various things which it was supposed to explain, such as the movement of the planets. Then he would say: 'I do not think that this myth is very good, because it does not explain the actual observable movement of the planets,' or whatever it might be. Thus it is the myth or the theory which leads to, and guides, our systematic observations - observations undertaken with the intention of probing into the truth of the theory or the myth. From this point of view the growth of the theories of science should not be considered as the result of the collection, or accumulation, of observations; on the contrary, the observations and their accumulation should be considered as the result of the growth of the scientific theories. (This is what I have called the 'searchlight theory of science' - the view that science itself throws new light on things; that it not only solves problems, but that, in doing so, it creates many more; and that it not only profits from observations, but leads to new ones.) If in this way we look out for new observations with the intention of probing into the truth of our myths, we need not be astonished if we find that myths handled in this rough manner change their character, and that in time they become what one might call more realistic or that they agree better with observable facts. In other words, under the pressure of criticism the myths are forced to adapt themselves to the task of giving us an adequate and a more detailed picture of the world in which we live. This explains why scientific myths, under the pressure of criticism, become so different from religious myths. I think, however, we should be quite clear that in their origin they remain myths or inventions, just like the others. They are not what some rationalists - the adherents of the sense-observation theory - believe: they are not digests of observation. Let me repeat this important point. Scientific theories are not just the results of observation. They are, in the main, the products of myth-making and of tests. Tests proceeds partly by way of observation, and observation is thus very important; but its function is not that of producing theories. It plays its role in rejecting, eliminating, and criticizing theories; and it challenges us to produce new myths, new theories which may stand up to these observational tests. only if we understand this can we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tradition for science.

 

- Karl R. Popper, "Conjectures and Refutations" -

 

 

                      초기 그리스 철학자들과 신화

 

   초기 그리스 철학자들은 자연에서 무슨 일이 발생하는지를 이해하려고 정말로 노력했다. 그러나 그들에 앞선 더 원시적인 신화(神話)-제조가들 또 그러했다. 초기 그리스 철학자들이 - 우리들이 가진 과학적 전통을 창시한 사람들 - 지녔던 표준에 의하여 갈음된 그 원시적 형태의 신화(神話)를 우리는 어떻게 특징지을 수 있을까? 그 원시적 형태의 신화(神話)를 개략적으로 설명해서, 과학이전의 신화(神話)-제조자들은, 폭풍우가 다가오는 것을 보면, 이렇게 말했다: ‘아 그래, 제우스 신(神)이 화가 났어.’ 그리고 그들이 바다가 거칠어진 것을 보면, 이렇게 말했다: ‘해신(海神) 포세이돈이 화났어.’ 그것이 이성주의적 전통이 새로운 기준의 설명을 도입하기 전에 만족스럽게 알려졌던 형태의 설명이었다. 무엇이 실제로 결정적인 차이점이었을까? 우리는 그리스 철학자들에 의하여 도입된 새로운 이론들이 낡은 이론들보다 더 쉽게 이해되었다고 말할 수 없다. 내가 생각하기에, 폭풍우에 대한 과학적 설명을 이해하는 것보다 제우스 신(神)이 화가 났다는 서술을 이해하는 것이 훨씬 더 쉽다. 그리고 공기와 물표면 사이의 마찰로써 하는 서술보다, 해신(海神) 포세이돈이 화가 났다는 서술이 나에게는 바다의 높은 파도에 대하여 훨씬 더 간단하고 훨씬 더 쉽게 이해될 수 있는 설명이다.

   초기 그리스 철학자들이 도입한 혁신은 개략적으로 이것이었다고 나는 생각한다: 그 철학자들은 문제들을 토론하기 시작했다. 종교적 전통을 무비판적으로, 그리고 변경될 수 없는 것으로 (자신들이 가장 좋아하는 동화의 단어 하나를 고모가 바꾸면 항의하는 아이들처럼) 수용하는 대신에, 전통을 단순히 물려주는 대신에, 그 철학자들은 그 전통에 도전했고, 때때로 심지어 낡은 신화(神話) 대신에 새로운 신화(神話)를 만들어냈다. 옛 이야기의 자리에 그 철학자들이 놓은 이야기들은, 근본적으로, 신화(神話)들이었음을 - 옛이야기들이 신화(神話)들이었던 것과 꼭 마찬가지로 - 우리는 인정해야 한다고 나는 생각한다; 그러나 그 새로운 이야기들에 관해서 주목될 두 가지 것이 있다.

   먼저, 새로운 이야기들은 옛 이야기들의 단순한 반복이거나 재배열이 아니라 새로운 요소를 담고 있었다. 이것 자체가 매우 큰 장점이라는 것은 사실이 아니라 할지라도. 그러나 두 번째이자 주요한 것은 이것이다: 그리스 철학자들은 새로운 전통을 - 신화(神話)들에 대하여 비판적 자세를 채택하는 전통, 신화(神話)들을 토론하는 전통 - 창안했다; 신화(神話)를 말하는 것만에 대한 전통이 아니라 신화(神話)를 듣는 사람에게서 도전을 받는 전통 또한. 자신들이 만든 신화(神話)들을 말하면서 그리스 철학자들은 청취자들이 그 신화(神話)에 대하여 생각하는 것을 순서에 따라서 들을 준비가 되어 있었다 - 그리하여 청취자가 아마도 자신들보다 더 나은 설명을 할지도 모른다는 가능성을 인정하면서. 이것이 전에는 발생하지 않았던 일이었다. 질문을 하는 새로운 방식이 출현했다. 설명과 - 신화(神話) - 함께 이런 질문이 출현했으리라: ‘당신은 더 나은 설명을 나에게 내놓을 수 있는가?’; 그러면 또 다른 철학자가 아마도 대답했으리라: ‘예, 내놓을 수 있지요.’ 혹은 그는 아마도 이렇게 대답했으리라: ‘더 나은 설명을 당신에게 내놓을 수 있을지를 나는 모르지만, 그만큼 설명할 수 있는 매우 다른 설명을 나는 당신에게 내놓을 수 있소. 이 두 가지 설명 모두가 사실일 리는 없어서, 여기서 무엇인가 잘못된 것이 틀림없이 있소. 우리는 이 두 가지 설명을 수용할 수 없을 따름이오. 또한 우리에게는 두 가지 설명 중 하나만을 수용할 이유도 없소. 우리는 정말로 그 문제에 대하여 더 많은 것을 알고 싶소. 우리는 그 문제를 심층적으로 토론해야 하오. 우리는 우리의 설명이 우리가 이미 알고 있는 것들을, 그리고 혹시 심지어 우리가 지금까지 간과했던 것들을, 실제로 정말로 설명하는지를 알아야 하오.’

   나의 주장은 소위 ‘과학’은, 신화(神話)와 구별되는 것이 됨으로써가 아니라 두 번째-단계 전통에 - 신화(神話)를 비판적으로 토론하는 전통 - 의하여 동반됨으로써 차별화된다는 것이다. 이전에는 첫 번째-단계 전통만 있었다. 확정된 이야기가 전해졌다. 나중에는 물론 여전히 전해지는 이야기가 있었지만, 그 이야기와 함께 두 번째-단계의 특징을 지닌 말없는 동반 교재 같은 것이 전해졌다: ‘나는 그 이야기를 당신에게 전한다. 그러나 당신이 그 이야기에 대하여 생각하는 것을 나에게 말해 달라. 그 이야기를 곰곰이 생각하라. 혹시 당신은 우리에게 다른 이야기를 할 수 있다.’ 이 두 번째-단계 전통은 비판적 즉, 논증적 자세였다. 내가 믿기에 그 전통은 새로운 것이었고, 아직도 과학적 전통에 관하여 근본적으로 중요한 것이다. 우리가 그 점을 이해한다면, 과학적 방법에 관한 상당히 많은 문제들을 향하여 우리는 완전히 다른 자세를 지니게 될 것이다. 우리는, 어떤 의미에서, 종교가 그러한 것과 꼭 마찬가지로 과학도 신화(神話)-만들기라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여러분은 이렇게 말할 것이다: ‘그러나 과학적 신화(神話)는 종교적 신화(神話)와 매우 다르다.’ 틀림없이 과학적 신화(神話)는 다르다. 그러나 과학적 신화(神話)는 왜 다른가? 그 이유는 사람들이 이 비판적 자세를 취하면 사람들의 신화(神話)들이 정말로 달라지기 때문이다. 사람들의 신화(神話)는 변한다; 그 신화(神話)들은 세상에 대하여 - 우리가 관찰할 수 있는 다양한 것들에 대하여 - 점점 더 나은 설명을 내놓는 방향으로 변한다. 그리고 그 신화(神話)들은 이 이론들이나 신화(神話)들이 없었더라면 우리가 관찰하지 못했을 것들을 관찰하라고 우리에게 도전하기도 한다.

   그 때 출현한 비판적 토론에는, 처음으로, 체계적인 관찰 같은 것이 출현했다. 암묵적이지만 전통적인 요구인 ‘그 신화(神話)에 대하여 당신은 무엇이라고 말해야 하는가? 당신은 그 신화(神話)를 비판할 수 있는가?와 함께, 신화(神話)가 전해진 사람, 이 사람은 신화(神話)를 받아서, 혹성의 움직임과 같이, 그 신화(神話)가 설명하기로 된 다양한 것들에게 적용할 것이다. 그 다음에 그는 이렇게 말할 것이다: ‘나는 이 신화(神話)가, 실제로 관찰될 수 있는 혹성들의 움직임을 설명하지 않기 때문에, 그다지 훌륭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또는 다른 어떤 것. 그리하여 우리들의 체계적인 관찰들을 낳고, 그 관찰들을 안내하는 것은 신화(神話)이거나 이론이다 - 이론이나 신화(神話)가 지닌 진실성을 조사하는 목적으로 수행되는 관찰. 이 관점에 비추어 과학 이론의 성장은, 관찰한 것을 수집하거나 축적한 결과로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반대로, 관찰들이나 관찰한 것들의 축적은 과학 이론들이 성장한 결과로서 간주되어야 한다. (이것이 내가 ‘과학의 탐조등 이론[searchlight theory of science]’이라고 불렀던 것이다 - 과학 자체가 사물을 새로 조명한다는 견해: 과학은 문제를 해결할 뿐만 아니라, 문제를 해결하면서, 훨씬 더 많은 문제들을 만들어낸다는 견해; 그리고 과학은 관찰들로부터 도움을 받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관찰들을 낳는다는 견해.) 이런 방식으로 우리들이 만들어낸 신화(神話)들을 지닌 진실을 우리가 조사할 의도로 새로 관찰한 것들을 찾으려고 지켜본다면, 이렇게 개략적인 방식으로 다루어진 신화(神話)들이 특징을 바꾸어 나중에 사람들이 아마도 더 실재적이라고 부르는 것이 되거나, 관찰될 수 있는 사실들과 더 일치함을 우리가 발견할지라도, 우리에게는 놀랄 필요가 없다. 다시 말해서, 비판이라는 압력을 받아서 신화(神話)들은, 우리들이 살고 있는 세상에 대하여 적당하고 더 상세한 그림을 우리에게 주는 과제에 적응하게 할 수밖에 없다. 이것은 왜 과학적 신화(神話)들이, 비판이라는 압력을 받아서, 종교적 신화(神話)들과 그렇게 달라지는 지를 설명한다. 그러나 과학적 신화(神話)들도, 다른 신화(神話)들과 꼭 마찬가지로, 시초에는 신화(神話)들이나 허구였다는 데에 우리는 전혀 의심하지 말아야 한다고 나는 생각한다. 과학적 신화(神話)들은 몇몇 이성주의자들이 - 감각-관찰 이론의 추종자들 - 믿는 것이 아니다: 과학적 신화(神話)들은 관찰한 것을 요약한 것들이 아니다. 나는 이 요점을 반복하고 싶다. 과학적 이론들은 단순히 관찰의 결과들이 아니다. 과학적 이론들은, 주로, 신화(神話)-만들기의, 그리고 시험의 산물이다. 시험은 부분적으로 관찰을 통하여 진행되고, 그러므로 관찰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관찰의 기능은 이론들을 만들어내는 기능이 아니다. 관찰은 이론을, 거부하고, 배척하고, 비판하는 데에 그 역할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관찰은 이 관찰로 수행되는 시험들을 견디어낼 새로운 신화(神話)들을, 새로운 이론들을 만들어내라고 우리에게 요구한다. 우리가 이점을 이해한다는 조건에서만 과학에 관한 전통의 중요성을 우리는 이해할 수 있다.

 

- 칼 포퍼, “추측과 논박” -

 

 

 

첨부된 한글로 작성된 문서를 참조하실 것.

 

 

 


 

 

초기 그리스 철학자들과 신화.hwp
0.08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