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포퍼 원전+번역문

지식의 과정, 지식의 좌절 그리고 정신병

이윤진이카루스 2023. 3. 5. 19:12

       

지식의 과정, 지식의 좌절 그리고 정신병.hwp
0.10MB

                             

 

 

                                     지식의 과정, 지식의 좌절 그리고 정신병

 

반복에 의하여 우리에게 규칙성이 각인되거나 부과되기를 수동적으로 기다리지 않고, 우리는 규칙성을 능동적으로 세상에 부과하려고 노력한다. 우리는 세상에서 유사성을 발견하려고 시도하여, 우리에 의하여 창안된 법칙들을 통하여 그 세상을 해석하려고 시도한다. 전제를 기다리지 않고 우리는 결론들로 도약한다. 관찰에 의하여 결론들이 틀렸음이 증명되면 그 결론들은 나중에 배격되어야 할 것이다.

이것이 시행착오 이론이다 ㅡ 추측과 논박의 이론이다. 이 이론으로 인하여, 해석들을 세상에 강요하려는 우리의 시도가 왜 논리적으로 유사점 관찰보다 앞서는지가 이해될 수 있다. 이 과정 배후에 논리적 이유들이 있었기 때문에, 나는 이 과정이 과학 분야에도 또한 적용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과학이론들은 관찰의 요약이 아니라 창안품이라고 ㅡ 관찰과 충돌한다면 제거될, 시행을 목적으로 과감하게 제시된 추측들 ㅡ 나는 생각했다; 우연이 아니고, 가능하면 결정적인 논박을 습득함에 의하여 이론을 시험하려는 확정적 의도로써 통상적으로 수행되는 관찰과 충돌한다면 제거될 추측들.

 

V

과학이 관찰에서부터 이론으로 진행된다는 믿음은 아직도 매우 폭넓고 매우 확고하게 믿어져서 내가 그 믿음을 부인하면 믿을 수 없다는 반응이 나타난다. 나는 심지어 불성실하다는 의심을 ㅡ 누구도 자신의 상식으로 의심할 수 없는 것을 부인한다는 의심 ㅡ 받았다.

그러나 이론적 특성은 아무것도 없이, 우리가 순수한 관찰만으로써 시작할 수 있다는 믿음은 사실상 터무니없다; 자신의 일생을 자연과학에 바쳐서, 자신이 관찰할 수 있었던 모든 것을 기록하여 귀납적 증거로서 사용되도록 무한한 가치를 지닌 자신의 관찰 수집물을 영국 왕립 협회에 유산으로 남겼던 사람의 이야기로 예시될 것과 같이, 그 믿음은 사실상 터무니없다. 이 이야기로 인하여, 풍뎅이는 도움이 되도록 채집될 것이지만 관찰은 그렇지 않을 것임이 우리에게 틀림없이 증명된다.

25년 전 나는 다음 지시사항으로써 강연을 시작하여 비엔나에 있는 한 집단의 물리학도들에게 동일한 요점을 철저히 깨닫도록 하려고 노력했다: ‘연필과 종이를 들라; 세심하게 관찰하라, 그리고 여러분이 관찰한 것을 기록하라!’ 물론 학생들은 자신들이 무엇을 관찰하기를 내가 원하는지 물었다. 분명히 관찰하라!’는 지시는 터무니없다. (그 지시는, 타동사의 목적어가 이해된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면, 심지어 관용 어법에도 어긋난다.) 관찰은 항상 선택적이다. 관찰에는 선택된 대상, 확정된 과제, 흥미, 관점, 문제가 필요하다. 그래서 관찰의 기술은, 속성어(屬性語)와 함께, 기술적 언어(記述的 言語: descriptive language)를 전제한다; 관찰의 기술(記述)은 유사성과 분류를 전제하고, 유사성과 분류는 다시 흥미, 관점 및 문제를 전제한다. ‘굶주린 동물은 환경을 먹을 수 있는 것과 먹을 수 없는 것으로 나눈다. 도망치는 동물은 도망치는 길과 숨을 곳을 본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동물의 욕구에 따라서... 대상물은 변한다라고 카츠(Katz)는 서술한다. 오직 이런 방식으로 대상물은 분류될 수 있으며, 유사하거나 유사하지 않게 될 수 있다고 ㅡ 욕구와 흥미에 관련됨에 의하여 ㅡ 우리는 부언할 것이다.

이 규칙은, 동물뿐 아니라 과학자에게도 적용된다. 동물에게 관점은 동물이 지닌 욕구, 순간적 과제, 그리고 기대에 의하여 주어진다; 과학자들에게 관점이 과학자의 이론적 관심, 탐구 중인 특별한 문제, 그의 추측과 예상, 그리고 그가 일종의 배경으로서 수용하는 이론들에 의하여 주어진다: 그가 참고하는 구조, 그가 지닌 기대의 지평에 의하여 주어진다.

어느 것이 먼저 오는가, 가설(H)인가 혹은 관찰인가(O)?하는 문제는 해결될 수 있다; ’어느 것이 먼저인가, 암탉(H)인가 혹은 달걀(O)인가?라는 문제가 그러한 것처럼 해결될 수 있다. 후자(後者)에 대한 답변은, ‘더 앞선 종류의 달걀이다; 전자(前者)에 대한 답변은, ‘더 앞선 종류의 가설이다. 우리가 선택하는 특정 가설에 관찰들이 앞선다는 것은 ㅡ 예를 들어 그 가설이 고안되어 설명할 관찰들 ㅡ 완전히 사실이다. 그러나 이 관찰들은 반대로, 참고구조의 채택을 전제했다: 기대들의 구조이자 이론들의 구조인 참고구조의 채택을 전제했다. 관찰들이 중요하다면, 그 관찰들로 인하여 설명할 필요가 생겨서 가설을 만들게 되었다면, 그 관찰들이 옛 이론적 구조인 옛 기대의 지평 안에서 설명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여기에 무한소급의 위험이 없다. 점점 더 원시적인 이론과 신화(神話)로 돌아가면, 우리는 결국 무의식적이고 태생적인 기대를 발견할 것이다.

태생적 관념들이라는 이론은 내가 생각하기에 터무니없다; 그러나 모든 유기체는 태생적 반응이나 반발을 지니고 있다; 그리고 그것들 가운데에 임박한 사건에 따라 적응된 반응이 있다. 이 반응을 우리는, 이 반응이 의식적이라고 암시하지 않고, ‘기대로서 기술할 것이다. 갓 태어난 아기는 이런 의미에서, 젖이 먹여지기를 기대한다’ (그리고, 보호되고 사랑받기를 기대한다고 사람들은 심지어 주장할 수 있을 터이다). 기대와 지식 사이의 밀접한 관계를 고려하여 우리는 아주 합당한 의미에서 태생적 지식을 말할 것이다. 그러나 이 지식은 선험적으로 유효하지는 않다; 태생적 기대는, 아무리 강력하고 특별할지라도, 오류일 것이다. (갓 태어난 아이는 버려져서 굶주릴지도 모른다.)

그리하여 우리는 기대와 함께 태어난다; 선험적으로 유효하지는 않을지라도, 심리학적으로나 유전학적으로 선험적인, 다시 말해서 모든 관찰성 경험에 앞서는 지식과 함께 태어난다. 이 기대 중 가장 중요한 것 한 가지는 규칙성을 발견하는 기대이다. 이 욕구가 충족되는 아이의 기쁨으로부터 우리가 알 것과 같이, 그 기대는 규칙성을 찾으려는 태생적 경향과 관련되어 있거나, 혹은 규칙성을 발견하려는 욕구와 관련되어 있다.

규칙성을 발견하려는 이 본능적기대는, 심리학적으로 선천적인데, 칸트가 우리의 정신적 장치여서 선험적으로 유효하다고 믿었던 인과율과 긴밀하게 일치한다. 그래서 칸트가 심리학적으로 선천적인 사고방식이나 반응방식과 선험적으로 유효한 믿음을 구별하지 못했다고 말하려는 경향을 사람들이 아마도 보일 것이다. 그러나 나는 칸트의 실수가 아주 그렇게 조악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이유인즉 규칙성을 발견하려는 기대는 심리학적으로 선천적일 뿐 아니라, 논리적으로도 선험적이기 때문이다: 그 기대는 논리적으로 모든 관찰성 경험에 선행하는데, 그 까닭은 우리가 안 바와 같이 그 기대가 어떤 유사성의 인지(認知)에 선행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모든 관찰에는 유사성의 인지(認知)(혹은 비[]유사성의 인지)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이런 의미에서 논리적으로 선험적임에도 불구하고 기대는 선험적으로 유효하지는 않다. 이유인즉 기대가 실패할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우리의 평범한 환경과 비교되어, 매우 혼란스러워서 우리가 규칙성을 찾는 데 완전히 실패할 환경을 (그것은 치명적인 환경일 터이다) 우리는 쉽게 구축할 수 있다. (모든 자연법칙은 유효한 상태로 남을 수 있을 터이다: 이런 종류의 환경은 다음 절에서 언급된 동물 실험에서 사용되었다.)

그리하여 흄에 대한 칸트의 답변은 옳을 뻔했다; 이유인즉 선험적으로 유효한 기대와, 유전적으로 동시에 논리적으로 관찰에 앞서지만 선험적으로 유효하지 않은 기대를 구별하는 것이 실제로 다소 미묘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칸트는 너무 많은 것을 증명했다. 어떻게 지식이 가능한지를 증명하려고 노력하면서 그는 우리의 지식추구가 틀림없이 반드시 성공한다는 불가피한 결론을 지녔던 이론을 제시했는데, 그것을 분명히 오류였다. 칸트가, ‘우리의 지성은 자체의 법칙을 자연으로부터 도출하는 것이 아니라 자체의 법칙을 자연에 부과한다고 말했을 때, 그는 옳았다. 그러나 이 법칙들이 반드시 참이라거나 우리가 그 법칙들을 자연에 부과하는 데 반드시 성공한다고 생각함에서 그는 틀렸다. 자연은, 우리의 법칙들을 논박된 것으로서 포기할 것을 우리에게 강요하면서, 아주 성공적으로 매우 빈번히 저항한다; 그러나 우리가 살아간다면 우리는 다시 시도할 것이다.

(Hume)의 귀납 심리학에 대한 이 논리적 비판을 요약하기 위하여 우리는 귀납 기계를 구축하는 관념을 고려할 것이다. 단순화된 세상(예를 들어, 천연색 모조 화폐가 연속적으로 늘어서 있는 세계) 놓인다면 그런 기계는 반복을 통해서 자신의 세상에서 유효한 연속 법칙을 배우거나, 심지어 언명할 것이다. 그런 기계가 구축될 수 있다면 (그리고 나는 그런 기계가 구축될 수 있다는 데 의심하지 않는다), 나의 이론이 분명히 틀렸다고 아마도 주장될 것이다; 이유인즉 기계가 반복에 근거하여 귀납을 실행할 수 있다면, 우리가 똑같은 일을 실행하는 것을 막는 논리적인 이유가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그 주장은 설득력 있게 들리겠지만 틀렸다. 귀납 기계를 구축하면서 무엇이 그 기계의 세상을 구성하는지, 어떤 것들이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으로 생각되어야 하는지, 그리고 기계가 어떤 종류의 법칙들을 기계의 세상에서 발견할 수 있기를 우리가 바라는지를 기계 제작자인 우리가 선험적으로 결정해야 한다; 다시 말해서, 그 기계의 세상에 유관하거나 흥미로운 것을 결정하는 구조를 기계 안으로 우리가 구축해 넣어야 한다: 그 기계는 자체의 태생적선택 원리를 지닐 것이다. 유사성에 관한 문제들은, 그렇게 세상을 해석했던 기계 제작자에 의하여 기계를 대신해서 해결되어 있을 것이다.

 

VI

규칙성을 찾아서 법칙들을 자연에 부과하는 우리의 성향으로 인하여 독단적 사고라는, 혹은 더 일반적으로 독단적 행태라는, 심리학적 현상이 발생한다: 우리는 도처에서 규칙성을 기대하고 심지어 규칙성이 없는 곳에서도 규칙성을 찾으려고 시도한다; 이 시도에 복종하지 않는 사건들을 일종의 배경 소음(騷音)’으로서 취급하려는 경향이 우리에게 있다; 심지어 우리의 기대들이 불합리하여 우리가 패배를 인정해야 하는 곳에서조차 우리는 우리의 기대들을 고수한다. 이 독단주의는 어느 정도 필요하다. 그 독단주의는, 우리의 추측을 세상에 강요함에 의하여 다루질 수 있을 따름인 상황 때문에 필요하게 된다. 게다가, 이 독단주의로 인하여 우리는 근사치들을 통하여 단계적으로 훌륭한 이론에 접근할 수 있다: 우리가 패배를 너무 쉽게 수용한다면, 우리가 매우 근접하게 옳았다는 것을 우리가 발견하지 못하게 될 것이다.

이 독단적 태도로 인하여 우리는 첫인상에 매달리게 되는데, 그 태도가 강력한 믿음을 표시한다는 것은 분명하다; 반면 비판적 태도는, 자체의 원리를 수정할 준비가 되어 있으며 의심을 수용하여 시험을 요구하는데, 보다 약한 믿음을 표시한다. 이제 흄의 이론 및 인기 있는 이론에 따르면, 믿음의 힘은 틀림없이 반복의 산물이다; 그리하여 그 힘은 틀림없이 항상 경험으로써 성장하여, 항상 덜 원시적인 사람들에게서 더 크다. 그러나 규칙성을 부과하려는 억제되지 않은 소망이며, 의식(儀式)과 반복 같은 것에서 명백한 쾌락인, 독단적 사고는 원시인들과 어린이들의 특징이다; 그래서 경험과 성숙성이 증가하면 독단주의 태도라기보다는 신중과 비판의 태도가 생긴다.

여기서 나는 정신분석과 일치하는 한 가지 요점을 아마도 언급할 것이다. 신경증 환자들 및 다른 사람들이 쉽게 포기되지 않으며 흔히 초기 어린 시절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는 고정된 개인적인 유형(pattern)에 따라서 세상을 해석한다고 정신분석학자들이 주장한다. 삶의 매우 이른 시기에 채택된 유형이나 조직체계는 시종일관 유지되며, 모든 새로운 경험은 그 유형이나 조직체계를 통하여 해석된다; 말하자면 모든 새로운 경험에 의하여 그 유형이나 조직체계가 검증되고 그 유형이나 조직체계의 경직성이 확고해진다. 이것이, 비판적 태도와 구별되는 것으로서, 내가 독단적 태도라고 지칭한 것에 대한 기술이다. 비판적 태도는 독단적 태도와 함께 기대의 도식(圖式: schemata)을 ㅡ 아마도 신화(神話) 혹은 추측이나 가설 ㅡ 재빨리 채택하지만 비판적 태도는 그 도식(圖式:schemata)을 수정할, 그 도식(圖式: schemata)을 교정할, 그리고 심지어 그 도식(圖式: schemata)을 배격할 준비가 되어 있다. 대부분의 신경증이 비판적 태도의 발전이 부분적으로 중단되었기 때문일 것이라고 나는 제안하고 싶다; 자연스러운 독단주의라기보다는 중단된 독단주의가 중단되었기 때문이라고 나는 제안하고 싶다. 특정 도식적(圖式的) 해석과 반응을 수정하고 조정하라는 요구에 대한 저항 때문이라고 나는 제안하고 싶다. 사지(四肢)의 상처 때문에 우리가 사지(四肢)를 움직이는 것을 두려워하여 사지(四肢)가 뻣뻣해지는 방식과 비슷하게, 몇몇 경우들에서 두려움을 초래하여 확신과 확실성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는 상처나 충격 때문으로서 이 저항은 아마도 해석될 것이다. (사지[四肢]의 경우는 독단적 반응과 유사할 뿐 아니라 그 반응의 한 가지 사례라고 아마도 심지어 주장될 것이다.) 구체적인 경우에 대한 설명도, 필요한 조정을 수행하는 데 포함된 어려움의 ㅡ 특히 복잡하고 변화하는 세상에서, 상당할 어려움 ㅡ 무게를 참작해야 할 것이다: 다양한 정도의 신경증적 행태가 상응하는 다양한 어려움에 의하여 마음대로 생겨날 수 있을 것임을 우리는 동물에 대한 실험으로부터 안다.

추측과 논박, 과학적 지식의 성장”, 칼 포퍼, 1989, 46-50쪽ㅡ

 

Without waiting, passively, for repetitions to impress or impose regularities upon us, we actively try to impose regularities upon the world. We try to discover similarities in it, and to interpret it in terms of laws invented by us. Without waiting for premises we jump to conclusions. These may have to be discarded later, should observation show that they are wrong.

This was a theory of trial and error of conjectures and refutations. It made it possible to understand why our attempts to force interpretations upon the world were logically prior to the observation of similarities. Since there were logical reasons behind this procedure, I thought that it would apply in the field of science also; that scientific theories were not the digest of observations, but

that they were inventions conjectures boldly put forward for trial, to be eliminated if they clashed with observations; with observations which were rarely accidental but as a rule undertaken with the definite intention of testing a theory by obtaining, if possible, a decisive refutation.

 

V

The belief that science proceeds from observation to theory is still so widely and so firmly held that my denial of it is often met with incredulity. I have even been suspected of being insincere of denying what nobody in his senses can doubt.

But in fact the belief that we can start with pure observations alone, without anything in the nature of a theory, is absurd; as may be illustrated by the story of the man who dedicated his life to natural science, wrote down everything he could observe, and bequeathed his priceless collection of observations to the Royal Society to be used as inductive evidence. This story should show us that though beetles may profitably be collected, observations may not.

Twentyfive years ago I tried to bring home the same point to a group of physics students in Vienna by beginning a lecture with the following instructions: 'Take pencil and paper; carefully observe, and write down what you have observed!' They asked, of course, what I wanted them to observe. Clearly the instruction, 'Observe!' is absurd.󰊓󰊕 (It is not even idiomatic, unless the object of the transitive verb can be taken as understood.) Observation is always selective. It needs a chosen object, a definite task, an interest, a point of view, a problem. And its description presupposes a descriptive language, with property words; it presupposes similarity and classification, which in their turn presuppose interests, points of view, and problems. 'A hungry animal', writes Katz,󰊓󰊖 'divides the

 

󰊓󰊕 See section 30 of L.Sc.D

󰊓󰊖 Katz, loc. cit.

 

environment into edible and inedible things. An animal in flight sees roads to escape and hiding places .... Generally speaking, objects change ...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animal.' We may add that objects can be classified, and can become similar or dissimilar, only in this way by being related to needs and interests. This rule applies not only to animals but also to scientists. For the animal a point of view is provided by its needs, the task of the moment, and its expectations; for the scientist by his theoretical interests, the special problem under investigation, his conjectures and anticipations, and the theories which he accepts as a kind of background: his frame of reference, his 'horizon of expectations'.

The problem 'Which comes first, the hypothesis (H) or the observation (O)?' is soluble; as is the problem, 'Which comes first, the hen (H) or the egg (O)?'. The reply to the latter is, 'An earlier kind of egg'; to the former, 'An earlier kind of hypothesis'. It is quite true that any particular hypothesis we choose will have been preceded by observations the observations, for example, which it is designed to explain. But these observations, in their turn, presupposed the adoption of a frame of reference: a frame of expectations: a frame of theories. If they were significant, if they created a need for explanation and thus gave rise to the invention of a hypothesis, it was because they could not be explained within the old theoretical framework, the old horizon of expectations. There is no danger here of an infinite regress. Going back to more and more primitive theories and myths we shall in the end find unconscious, inborn expectation.

The theory of inborn ideas is absurd, I think; but every organism has inborn reactions or responses; and among them, responses adapted to impending events. These responses we may describe as 'expectations' without implying that these 'expectations' are conscious. The newborn baby 'expects', in this sense, to be fed (and, one could even argue, to be protected and loved). In view of the close relation between expectation and knowledge we may even speak in quite a reasonable sense of 'inborn knowledge'. This 'knowledge', however, is not valid a priori; an inborn expectation, no matter how strong and specific, may be mistaken. (The newborn child may be abandoned, and starve.)

Thus we are born with expectations; with 'knowledge' which, although not valid a priori, is psychologically or genetically a priori, i. e. prior to all observational experience. One of the most important of these expectations is that expectation of finding a regularity. It is connected with an inborn propensity to look out for regularities, or with a need to find regularities, as we may see from the pleasure of the child who satisfies this need.

This 'instinctive' expectation of finding regularities, which is psychologically a priori, corresponds very closely to the 'law of causality' which Kant believed to be part of our mental outfit and to be a priori valid. One might thus be inclined to say that Kant failed to distinguish between psychologically a priori ways of thinking or responding and a priori valid beliefs. But I do not think that his mistake was quite as crude as that. For the expectation of finding regularities is not only psychologically a priori, but also logically a priori: it is logically prior to all observational experience, for it is prior to any recognition of similarities, as we have seen; and all observation involves the recognition of similarities (or dissimilarities). But in spite of being logically a priori in this sense the expectation is not valid a priori. For it may fail: we can easily construct an environment (it would be a lethal one) which, compared with our ordinary environment, is so chaotic that we completely fail to find regularities. (All natural laws could remain valid: environments of this kind have been used in the animal experiments mentioned in the next section.)

Thus Kant's reply to Hume came near to being right; for the distinction between an a priori valid expectation and one which is both genetically and logically prior to observation, but not a priori valid, is really somewhat subtle. But Kant proved too much. In trying to show how knowledge is possible, he proposed a theory which had the unavoidable consequence that our quest for knowledge must necessarily succeed, which is clearly mistaken. When Kant said, 'Our intellect does not draw its laws from nature but imposes its laws upon nature', he was right. But in thinking that these laws are necessarily true, or that we necessarily succeed in imposing them upon nature, he was wrong.󰊓󰊗 Nature very often resists quite successfully, forcing us to discard our laws as refuted; but if we live we may try again.

To sum up this logical criticism of Hume's psychology of induction we may consider the idea of building an induction machine. Placed in a simplified 'world' (for example, one of sequences of coloured counters) such a machine may through repetition 'learn', or even 'formulate', laws of succession which hold in its 'world'. If such a machine can be constructed (and I have no doubt that it can) then, it might be argued, my theory must be wrong; for if a machine is capable of performing inductions on the basis of repetition, there can be no logical reasons preventing us from doing the same.

The argument sounds convincing, but it is mistaken. In constructing an induction machine we, the architect of the machine, must decide a priori what constitutes its 'world'; what things are to be taken as similar or equal; and what kind of 'laws' we wish the machine to be able to 'discover' in its 'world'. In other words we must build into the machine a framework determining what is relevant or interesting in its world: the machine will have its 'inborn' selection principles. The problems of similarity will have been solved for it by its makers who thus have interpreted the 'world' for the machine.

 

󰊓󰊗 Kant believed that Newton's dynamics was a priori valid. (See his Metaphysical Foundations of Natural Science, published between the first and the second editions of the Critique of Pure Reason.) But if, as he thought, we can explain the validity of Newton's theory by the fact that our intellect imposes its laws upon nature, it follows, I think, that our intellect must succeed in this; which makes it hard to understand why a priori knowledge such as Newton's should be so hard to come by. A somewhat fuller statement of this criticism can be found in ch. 2, especially section x, and chs, 7 and 8 of the present volume.

 

Our propensity to look out for regularities, and to impose laws upon nature, leads to the psychological phenomenon of dogmatic thinking or, more generally, dogmatic behaviour: we expect regularities everywhere and attempt to find them even where there are none; events which do not yield to these attempts we are inclined to treat as a kind of 'background noise'; and we ought to accept the defeat. This dogmatism is to some extent necessary. It is demanded by a situation which can only be dealt with by forcing our conjectures upon the world. Moreover, this dogmatism allows us to approach a good theory in stages, by way of approximations: if we accept defeat too easily, we may prevent ourselves from finding that we were very nearly right.

It is clear that this dogmatic attitude, which makes us stick to our first impressions, is indicative of a strong belief; while a critical attitude, which is ready to modify its tenets, which admits doubt and demands tests, is indicative of a weaker belief. Now according to Hume's theory, and the popular theory, the strength of a belief should be a product of repetition; thus it should always grow with experience, and always be greater in less primitive persons. But dogmatic thinking, an uncontrolled wish to impose regularities, a manifest pleasure in rites and in repetition as such, are characteristic of primitives and children; and increasing experience and maturity sometimes create an attitude of caution and criticism rather than of dogmatism.

I may perhaps mention here a point of agreement with psychoanalysis. Psychoanalysts assert that neurotics and others interpret the world in accordance with a personal set pattern which is not easily given up, and which can often be traced back to early childhood. A pattern or scheme which was adopted very early in life is maintained throughout, and every new experience is interpreted in terms of it; verifying it, as it were, and contributing to its rigidity. This is a description of what I have called the dogmatic attitude, as distinct from the critical attitude, which shares with dogmatic attitude the quick adoption of a schema of expectations a myth, perhaps, or a conjecture or hypothesis but which is ready to modify it, to correct it, and even to give it up. I am inclined to suggest that most neuroses may be due to a partially arrested development of the critical attitude; to an arrested rather than a natural dogmatism; to resistance to demands for the modification and adjustment of certain schematic interpretations and responses. This resistance in its turn may perhaps be explained, in some cases, as due to an injury or shock, resulting in fear and in an increased need for assurance or certainty, analogous to the way in which an injury to a limb makes us afraid to move it, so that it becomes stiff. (It might even be argued that the case of the limb is not merely analogous to the dogmatic response, but an instance of it.) The explanation of any concrete case will have to take into account the weight of the difficulties involved in making the necessary adjustments difficulties which may be considerable, especially in a complex and changing world: we know from experiments on animals that varying degrees of neurotic behaviour may be produced at will by correspondingly varying difficul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