습작시

바벨탑으로부터 엑소더스 (수정본)

이윤진이카루스 2024. 4. 15. 19:34

바벨탑으로부터 엑소더스.hwp
0.08MB

 

 

바벨탑으로부터 엑소더스

 

절대자 존재한다면

실수투성이 인간일 리 없고

그런 인간 만들 리도 없어

우리가 태어나서

살아가는 것인데

외롭다고?

 

외로워서 절대자의 명령에 따르면

명령이 인간의 언어로 전달되고

절대자가 언어로 인간과 소통한다고?

 

바벨탑에서 흩어진 사람들이

자신의 언어 가지고 떠났다는 것

생소한 세상에 정착해서

새로운 관념으로 생명 서술하는 것인데

인간의 모습에서 언어를 연역하면

삶의 모습이 드러나서

언어가 강력한 무기가 되었지.

 

잡아먹은 행위

맹수에게도 있어서

인간 행위의 전부가 아니지.

 

언어로 신호하고 표현하는 기능

동물에게도 있고

인간에게 다른 기능인

설명하고 논증하여

비판하는 능력 있는데

그대에게 그런 능력 있나.

 

후기:

생명과 의식이 지금까지 수행한 가장 위대한 창조적 단계는 인간 언어의 발명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그 발명으로 인하여 틀림없이 인류가 창조되었다. 인간 언어의 본질은 자기-표현만이 아니고 또한 신호하기만도 아니다: 동물들도 이 능력들을 지닌다. 또한 인간 언어는 상징기능만도 아니다. 상징기능 또한 그리고 심지어 의식(儀式: rituals)도 동물에게서 발견될 수 있다. 예견될 수 없는 의식발달을 초래한 위대한 단계는 기술적(記述的: descriptive) 서술의 발명이다: 객관적 사태를 기술하는 서술의 발명인데 그 서술은 사실에 대응하거나 대응하지 않을 것이다; 다시 말해서 참이거나 거짓인 서술의 발명이다. 이 기능은 인간 언어 내부에서 유례없는 특징이다. 여기에 동물 언어와의 차이점이 놓인다. 아마도 우리는 벌들의 언어에 대하여 벌들의 의사소통이 참이라고 ㅡ 혹시 과학자가 벌들을 속일 때를 제외하고 ㅡ 말할 수 있을 터이다. 오도하는 징표들은 동물들 가운데서도 또한 발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비의 날개들은 눈 표시를 나타낼 것이다, 그러나 우리 인간만 비판적 논증에 의하여 우리 자신의 이론들을, 그 이론들의 객관적 진리와 관련하여 검토하는 조치를 취했다. 이것이 언어의 네 번째 기능이자 논증적 기능이다. 기술적 언어의 발명으로 인하여 추가적 단계인 추가적 발명이 가능해지는데 비판의 발명이다. 그것은 의식적 선택의 발명인데 이론을 자연적으로 선택하는 대신 이론을 의식적으로 선택하는 것이다.

ㅡ 칼 포퍼, 나은 세상을 찾아서(In Search of a Better World)’, 1996, 20-23쪽 ㅡ

The greatest emergent step that life and consciousness have taken up to now is, I suspect, the invention of human language. This is no doubt led to the creation of mankind. Human language does not consist in mere self-expression, nor merely in signalling: animals have these abilities too. Nor is it merely symbolism. That too, and even rituals, can be found in animals. The great step that resulted in an unforeseeable development of consciousness is the invention of descriptive statements: of statements which describe an objective state of affairs, which may or may not correspond to the facts; that is, of statements that may be true or false. This function is the unprecedented feature within human language. Herein lies the difference from animal languages. Perhaps we could say of the language of the bees that their communications are true - except, perhaps, when a scientist misleads a bee. Misleading signs can also be found among the animals: for example, butterflies' wings may give the appearance of eyes. But only we human beings have taken the step of checking our own theories for their objective truth by means of critical arguments. This is the fourth function of language, the argumentative function. The invention of descriptive human language makes a further step possible, a further invention: the invention of criticism. It is the invention of a conscious choice, a conscious selection of theories in place of their natural selection.

 

'습작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월  (0) 2024.04.29
벚꽃 지는 날 (수정본)  (0) 2024.04.29
굽신대며 살아가기 (수정본)  (1) 2024.04.12
에베소에서 세월의 흔적  (1) 2024.03.29
울음을 망각하고 (수정본)  (0) 2024.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