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 33

추측과 논박 9장 논리와 산술계산법은 왜 실재에 적용될 수 있는가 (번역 수정본)

9장 논리와 산술계산법은 왜 실재에 적용될 수 있는가? 라일(Ryle) 교수는 자신의 기고문을 논리규칙들의 적용가능성에, 더 정확하게, 논리적 추론규칙들에 국한시켰다. 나에게는 이것에서 그를 따를, 그리고 단지 나중에 토론을 논리계산법과 산술계산법의 적용가능성에 확대할 의도가 있다. 그러나 내가 방금 논리적 추론규칙들과 소위 논리계산법들을 (명제[命題]계산법이나 집합계산법 혹은 관계계산법과 같은) 구분한 것에 설명이 필요하여, 나는 우리 앞에 놓인 두 가지 주요 문제들인 추론규칙들의 적용가능성 문제와 (ii절에서) 논리계산법들의 적용가능성 문제를 (viii절에서) 다루기 전에 추론규칙들과 계산법들 사이의 관련뿐 아니라 구분을 i절에서 토론하겠다. 나는 라일 교수의 논문에서 나온, 그리고 또한 그의 아리스..

카테고리 없음 2023.06.25

사실들은 어떻게 기술되는가

사실들은 어떻게 기술되는가 사실들은 언어와 실재의 공동 산물과 같은 것이다; 사실들은 기술적(記述的) 서술들에 의하여 이해되는 실재이다. 사실들은, 원본의 언어와 다른 언어로 만들어져 원본 저서에 의해서 뿐 아니라 거의 그만큼 선택의 원리들에 의해서 그리고 다른 발췌하는 방법들에 의하여 그리고 새로운 언어가 다루는 수단에 의하여 결정되는, 책에서 나온 발췌문들과 같다. 새로운 언어적 수단들은 우리가 새로운 종류의 사실들을 기술(記述)하는 데 도움만 주지 않는다; 어느 정도, 그 수단들은 심지어 새로운 종류의 사실들을 만들어낸다. 어떤 의미에서, 이 사실들을 기술(記述)하는 데 필수 불가결했던 새로운 수단들이 창조되기 전에 이 사실들은 분명히(obviously) 존재했다; 예를 들어 상대성 이론의 계산법의..

실재를 말하려면 논박을 수용하라

실재를 말하려면 논박을 수용하라 논박에 (토끼들이나 물방울들이나 속도들에 의하여 제공되는 것과 같은) 직면하여 우리가 원칙을 근거로, 우리의 서술들을 방어하기로 결심한다면, 우리는 실재에 관하여 말하고 있지 않다. 우리가 논박을 수용한다는 조건에서만 우리는 실재에 관하여 말한다. 라일 교수의 언어로 우리는 이렇게 말해야 한다: 우리가 논박을 준수하는 방법을 안다는 조건으로만 우리는 실재에 관하여 말하는 방법을 안다. 이 각오 즉, ‘방법 지식’을 언명하고 싶으면, 우리는 과정의 규칙의 도움을 받아서 다시 그렇게 해야 한다. 실행 규칙만이 여기에서 우리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한데, 이유인즉 실재에 관하여 말하는 것이 실행이기 때문이다. IX 나의 마지막 언급들로 ㅡ (c)에 관한 ㅡ 인하여 우리..

수학적 등식은 보편적으로 유효한가

수학적 등식은 보편적으로 유효한가 더 중요한 것은 두 번째 의미에서의 적용이다. 이 의미에서 ‘2 + 2 = 4’는, 누군가가 두 개의 사과를 바구니에 넣고 다시 두 개를 넣고, 바구니로부터 사과를 꺼내지 않으면, 바구니 안에 네 개의 사과가 있을 것임을 의미한다고 생각될 것이다. 이 해석에서 ‘2 + 2 = 4’라는 서술은 특정한 물리적 사실들을 계산하는 데, 다시 말해서 기술(記述)하는 데 우리에게 도움을 주며, ‘+’라는 부호는 물리적인 조작을 ㅡ 특정한 것들을 다른 것들에 물리적으로 보태는 것을 ㅡ 의미한다. (여기서 우리는 현상적으로 논리적인 상징을 기술적[記述的]으로 해석하는 일이 때때로 가능함을 안다.) 그러나 이 해석에서 ‘2 + 2 = 4’라는 서술은 논리적 이론이라기보다는, 물리적 이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