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7 31

지식성장을 위한 세 가지 요건

지식성장을 위한 세 가지 요건 5. 지식성장을 위한 세 가지 요건 XVIII 그러나 진리에 근접하다는 관념으로 ㅡ 사실과 더 잘 일치하는 이론들을 찾는 데로 (위의 10절에서 6가지 비교 목록에 의하여 지적된 바와 같이) ㅡ 다시 돌아가자. 과학자가 처한 일반적인 문제 상황은 무엇인가? 과학자는 자신 앞에 과학적 문제를 가지고 있다: 그는 특정 실험적 사실들을 설명할 수 있는 새로운 이론을 발견하고 싶어 한다; 이전 이론들이 성공적으로 설명했던 사실들; 이전 이론들이 성공적으로 설명할 수 없었던 다른 사실들; 이전 이론들이 실제로 반증되었던 몇 가지 사실들을 설명할 수 있는 새로운 이론을 발견하고 싶어 한다. 새로운 이론은 가능하다면, 몇 가지 이론적 난제들을 (특정 임시방편적 가설들을 어떻게 없앨지, ..

세 종류의 철학자들

세 종류의 철학자들 3. 진리와 내용: 박진성(迫眞性: Verisimilitude) 대(對) 확률 IX 많은 다른 철학자들처럼 때때로 철학자들을 두 가지 주요 무리에 ㅡ 내가 동의하지 않는 무리와 내가 동의하는 무리 ㅡ 속하는 것으로서 분류하는 경향이 나에게 있다. 나는 그들을 또한 지식에 대한 (혹은 믿음에 대한) 검증주의자들이나 정당화주의적 철학자들과, 지식에 대한 (혹은 추측에 대한) 반증주의자들이나 오류가능주의자들 혹은 비판적 철학자들로 지칭한다. 나는 여담으로 내가 또한 동의하지 않는 세 번째 무리를 언급할 것이다. 그들은 실망한 정당화주의자들로 ㅡ 비합리주의자들과 회의론 자들 ㅡ 지칭될 것이다. 첫 번째 무리의 구성원들은 ㅡ 검증주의자들이나 정당화주의자들 ㅡ 개략적으로 말해서, 긍정적 이유들에..

객관적 진리 이론, 사실들에 대한 대응

객관적 진리 이론, 사실들에 대한 대응 2. 객관적 진리 이론: 사실들에 대한 대응 VII 지금까지 나는 심지어 진리를 언급하지 않고 과학과 과학의 진보, 그리고 과학의 진보 기준에 관해서 말했다. 아마도 놀랍게도, 이것은 실용주의나 도구주의에 빠지지 않고도 실행될 수 있다: 과학 이론들에 있는 진리에 대하여 말하지 않고도 과학에서 직관적으로 만족스러운 진보 기준을 지지하여 논증하는 것이 완전하게 가능하다. 사실상, 내가 타스키(Tarski)의 진리 이론을 알기 전에, ‘참(true)’이라는 단어의 사용과 연결된 고도로 논란이 많은 문제에 너무 깊이 빠지지 않고 진보 기준을 토론하는 것이 내가 보기에 더 안전했다. 당시 나의 태도는 이러했다: 거의 모든 사람이 수용하는 바와 같이, 진리에 관한 객관적 이..

서술의 확률과 수학적 확률은 다르다

서술의 확률과 수학적 확률은 다르다 III 이론의 (혹은 여하한 서술의) 내용에 대한 나의 연구는, 두 가지 서술 α와 b의 연접(conjunction)인 αb의 정보내용이 항상 그 연접의 구성요소 어느 것의 내용보다 더 크거나 적어도 동등할 것이라는 간단하고도 명백한 관념에 근거했다. α를 ‘금요일에 비가 올 것이다’라는 서술로 하라; b를 ‘토요일은 맑을 것이다’라는 서술로 하라; 그러면 αb는 ‘금요일에 비가 올 것이고 토요일은 맑을 것이다’라는 서술로 하라: 그렇다면 마지막 서술인 연접αb의 정보내용이 그 구성요소인 α의 정보 내용과 또한 그 구성요소인 b의 정보 내용을 능가한다는 것은 명백하다. 그리고 αb의 확률이 (혹은 동일하게, αb가 참일 확률) 그 구성요소들 어느 것의 확률보다 작을 것..

과학적 지식의 성장은 관찰이 아니라 문제로써 시작한다

과학적 지식의 성장은 관찰이 아니라 문제로써 시작한다 지속적인 성장이 과학적 지식의 합리적이고 경험적인 특징에 필수적이라고 나는 주장한다; 과학이 성장을 중단한다면 틀림없이 저 특징을 잃어버린다. 과학을 합리적이고 경험적으로 만드는 것은 과학이 성장하는 방식이다; 다시 말해서 과학자들이 이용 가능한 이론들을 판별하여, 나은 이론을 (만족스러운 이론이 없으면) 선택하는 방식이거나 과학자들이 이용 가능한 모든 이론들을 배척하는 이유들을 제시하고 만족스러운 이론이 준수해야 하는 조건 몇 가지를 제시하는 방식이다. 내가 과학적 지식의 성장에 관하여 말할 때 내가 염두에 두는 것은 관찰한 것들의 축적이 아니라, 과학 이론들의 반복되는 전복 및 낫거나 더 만족스러운 이론들로 그 이론들을 대체하는 것임을 여러분은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