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재희가 말하는 김종인의 장점과 한계/ 한겨레신문 총선 D-19, 50년 지기 남재희의 김종인 ‘대해부’ 박근혜의 원조 경제 스승에서 제1야당 대표까지 제1105호 2016.03.25 등록 : 2016-03-25 18:06 수정 : 2016-03-28 11:04 남재희 전 노동부 장관, 한겨레 김종인(76)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 대표는 70대의 나이로 정치권의 ‘젊은 피’ 노릇을 해왔다. .. 민주주의를 위하여 2016.04.15
외신들 “박 대통령의 불화로 총선 참패…조기 레임덕”/ 한겨레신문 정치정치일반 외신들 “박 대통령의 불화로 총선 참패…조기 레임덕” 등록 :2016-04-14 15:15수정 :2016-04-14 16:36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3월31일 오전(현지시간) 워싱턴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한미일 정상 공동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뉴욕타임스 “언론자유와 반대 세력 억누르.. 민주주의를 위하여 2016.04.14
정의화 의장 “총선 결과, 권력 오만과 민주주의 후퇴 경고”/ 연합뉴스 정치국회·정당 정의화 의장 “총선 결과, 권력 오만과 민주주의 후퇴 경고” 등록 :2016-04-14 16:15수정 :2016-04-14 16:37 정의화 국회의장. 사진공동취재단 정의화 국회의장은 14일 “이번 총선 결과는 권력의 오만과 민주주의의 후퇴에 대한 경고이자, 한국정치 혁신과 새로운 정치질서를 열.. 민주주의를 위하여 2016.04.14
4·13 총선 이후 민심 르포/광주/ 한겨레신문 정치정치일반 “선거철만 호남, 호남…이곳이 야당표의 화수분인가요?” 등록 :2016-04-14 19:37수정 :2016-04-14 21:19 14일 오전 광주 북구 5·18 민주묘지 참배단에서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광주·전남 지역에서 유일하게 당선된 이개호 전남 담양·함평·영광·장성 지역구 당선자가 홀로 묵.. 민주주의를 위하여 2016.04.14
미 국무부 “한국 국정교과서, 표현·학문의 자유 침해 우려”/ 한겨레신문 국제국제일반 미 국무부 “한국 국정교과서, 표현·학문의 자유 침해 우려” 등록 :2016-04-14 11:27수정 :2016-04-14 11:32 역사 교과서 국정화 반대 운동을 했던 이들이 지난 3월1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올해 국회의원 선거 투표를 독려하는 홍보를 하고 있다. 한겨레 신소영 기자 인권보고서, .. 민주주의를 위하여 2016.04.14
위태로운 사회, 다시 시작하자 / 서재정 일본 국제기독교대 교수/ 한겨레신문 사설.칼럼칼럼 [세상 읽기] 위태로운 사회, 다시 시작하자 / 서재정 등록 :2016-04-13 23:36수정 :2016-04-14 00:48 위태롭다. 천 길 벼랑 끝에 선 듯 위태롭다. 대한민국 곳곳에서 경고음이 맹렬하게 터지고 있다. 그러나 듣는 이 없고 절망을 넘어서 체념이 세상을 채우고 있다. 어디 대한민국뿐인.. 민주주의를 위하여 2016.04.14
“양극화 중병에 거꾸로 정책…경제위기 또 올 수 있다”/ 김태동 이종걸 교수 대담/ 한겨레신문 경제경제일반 “양극화 중병에 거꾸로 정책…경제위기 또 올 수 있다” 등록 :2016-04-11 20:30수정 :2016-04-11 21:53 <한국경제의 비정상>을 공동 집필한 김태동(왼쪽) 성균관대 명예교수와 이동걸 동국대 초빙교수가 6일 오전 서울 마포구 공덕동 <한겨레>에서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신.. 민주주의를 위하여 2016.04.12
대구발 정치혁명/ 한겨레신문 사설.칼럼칼럼 [오태규 칼럼] 대구발 정치혁명 등록 :2016-04-11 19:32 4·13 총선의 최대 관심사는 누가 뭐래도 지역은 대구, 인물은 유승민과 김부겸이다. 수십년 동안 한국 정치를 압도해온 지역주의 관점에서 볼 때 대칭적인 위치에 있다는 이유로 광주와 함께 묶어 두 도시의 동시 변화에 .. 민주주의를 위하여 2016.04.12
권영국 이계삼 용혜인/ 박점규/ 한겨레신문 사설.칼럼칼럼 [야! 한국사회] 권영국 이계삼 용혜인 / 박점규 등록 :2016-04-11 19:34 10년 전 이 무렵이었다. 서울 여의도의 한 호텔에서 스웨덴 금속노조 위원장 스테판 뢰벤을 만났다. 넙데데한 얼굴에 푸근한 인상이 꼭 동네 아저씨였다. 기계 제조회사의 용접공 출신. 20대에 노동운동을 시.. 민주주의를 위하여 2016.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