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세기 원자물리학 발전의 기록 그리고 대화 / 부분과 전체,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지음, 유영미 옮김 / 한겨레신문 문화책과 생각 20세기 원자물리학 발전의 기록 그리고 대화 등록 :2016-08-18 19:22수정 :2016-08-18 19:46 잠깐 독서 부분과 전체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지음, 유영미 옮김, 김재영 감수/서커스·1만6800원 미국 영화를 보면, 과학자들이 실험실에서 ‘비밀 실험’을 계속해 뭔가를 발견하는 장면이 .. 과학 2016.08.19
과학은 가치중립적이 아니다 / 전치형 카이스트 대학원 교수 / 한겨레신문 사설.칼럼칼럼 [전치형, 과학의 언저리] 과학이라는 교양 등록 :2016-08-18 18:04수정 :2016-08-18 20:38 “과학은 교양이다”라는 선언은 한국의 과학자들이 어정쩡한 ‘가치중립성’의 틀을 흔들어보려는 시도라고 볼 수 있다. 4대강과 원전에서 인공지능과 기후변화까지 과학의 문제를 푸는 것.. 과학 2016.08.19
핀란드 학생의 우수성 / 한겨레신문 사회교육 수업시간 가장 적은데 핀란드 학생 왜 우수할까 등록 :2016-08-18 20:34수정 :2016-08-18 21:40 핀란드·한국 둘다 PISA 성적은 상위권 핀란드 수업시간 적고 사교육도 없어 학교 간 성적 격차 핀란드 7%, 한국 30% 핀란드 교사는 ‘연구자’, 한국은 ‘공무원’ 핀란드 헬싱키의 한 종합학교.. 과학 2016.08.19
신경과학자들에게 기억이란... / 한겨레신문 과학과학일반 신경과학자들에게 기억이란 빙산, 생채기, 정체성… 등록 :2016-08-10 11:01수정 :2016-08-10 11:39 [오철우 기자의 사이언스온] ‘기억의 집’은 뇌에 어떻게 자리잡고 있을까? 기억의 메커니즘을 밝히려는 신경과학 연구가 활발하다. 픽사베이 “기억이란 나의 정체성이라고 생각.. 과학 2016.08.10
과학 모험가 집안, 삼대가 몸을 던져 미래를 열다 / 한겨레신문 과학과학일반 과학 모험가 집안, 삼대가 몸을 던져 미래를 열다 등록 :2016-08-08 10:19수정 :2016-08-08 10:29 [곽노필의 미래창] 성층권·해저 개척한 할아버지 아버지는 1만미터 바다 밑까지 아들은 태양광비행기 세계질주 세계적인 모험가 피카르 집안 3대. 왼쪽부터 1대 오귀스트, 2대 자크, 3대.. 과학 2016.08.10
사장님의 뇌를 스캔해보니 / 정재승 / 한겨레신문 과학과학일반 사장님의 뇌를 스캔해보니 등록 :2016-07-17 09:42수정 :2016-07-17 13:21 [토요판] 정재승의 영혼공작소 (17) 뉴로리더십 경영학과 신경과학이 융합된 뉴로리더십은 리더의 뇌 상태를 정확히 파악해 단점을 보완해주기도 한다. 스티브 잡스 애플 창업자(왼쪽)와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 과학 2016.07.17
ESC, 과학기술인들의 새로운 도전 / 윤태웅 고려대 교수 / 한겨레신문 사설.칼럼칼럼 [세상 읽기] ESC, 과학기술인들의 새로운 도전 / 윤태웅 등록 :2016-07-05 18:15수정 :2016-07-06 09:36 윤태웅 ESC 대표 고려대 공대 교수 지난해 11월 열여덟명의 과학기술인이 모여 1박2일 동안 ‘과학기술과 진보’를 주제로 이야기를 나눈 바 있습니다. 그로부터 100여일 뒤인 올해 3.. 과학 2016.07.06
검색 만능 시대, '앎'의 본질은? / 한겨레신문 문화책 검색 만능 시대, ‘앎’의 본질을 묻다 등록 :2016-06-16 20:01수정 :2016-06-17 08:33 인간 인터넷 마이클 린치 지음, 이충호 옮김/사회평론·1만5000원 ‘구글링’이라고 흔히들 부르는 인터넷 검색은 지식과 정보의 생산·교환·유통 방식을 혁명적으로 바꿔놨다. 무엇보다 사람들은 찰나.. 과학 2016.06.17
중성미자 질량 차이 / 한겨레신문 과학과학일반 중성미자 얼마나 작으면…질량 차이가 전자 질량의 10억분의 1 등록 :2016-05-25 14:25 국내 연구진이 중성미자 가운데 가장 무거운 것과 가장 가벼운 것의 질량 차이가 전자 질량의 10억분의 1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우주 탄생의 비밀을 밝히는 데 기여를 한 연구로 주.. 과학 2016.06.10
옥시토신 호르몬과 인간의 사회성 관계 / 정재승 카이스트 교수 / 한겨레신문 과학과학일반 옥시토신 코에 뿌리고 연애지수 높여볼까 등록 :2016-06-03 19:58수정 :2016-06-03 21:42 [토요판] 정재승의 영혼공작소 (14) ‘신뢰의 묘약’ 옥시토신 미국에서는 ‘쑥스럼 방지제’라는 이름으로 ‘코에 뿌리는 액체 옥시토신’이 판매되고 있는데, 연애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효과.. 과학 2016.0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