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철학 53

사람과 사물을 중시하는 조선의 철학/ 이경구의 호락논쟁 이야기/ 한겨레신문

문화책 아내는 낙론, 남편은 호론 “부부가 대단한 기세로 싸웠다” 등록 :2015-12-24 21:05 김홍도가 만년에 그린 ‘포의풍류도’(布衣風流圖, 개인소장). 19세기 다양한 양상으로 존재했던 선비들처럼 여러 각도에서 감상이 가능하다. 주변에 널린 파초·산호·도자기·보검 등에서는 골동 ..

조선의 철학 2015.12.25

창조적 해석은 차단되고 철학은 힘을 잃었다/ 아경구의 호락논쟁/ 한겨레신문

문화문화일반 창조적 해석은 차단되고 철학은 힘을 잃었다 등록 :2015-12-10 20:34수정 :2015-12-10 20:34 김조순의 별장 옥호정(玉壺亭). 옥호정은 서울 세도가의 생활 풍경을 보여준다. 1815년께 완성되었다. 현 서울시 종로구 삼청동 일대. 하인들이 사는 바깥마당, 사랑채인 옥호산방과 안채, 옥..

조선의 철학 2015.12.11

학자들은 패거리를 지어 권력을 등에 업고 권력과 함께 사라졌다/ 이경구 한림대 교수/ 한겨레신문

문화책 세상사를 말할 수 없으니, 아아 입이나 다물자 등록 :2015-11-26 19:26수정 :2015-11-26 21:22 1759년, 66살의 영조는 15살의 신부를 맞이했다. 위 그림은 정순왕후를 맞이하는 친영(親迎) 행렬을 묘사한 반차도(부분). 12명의 가마꾼이 정순왕후의 가마를 멨고 나인, 상궁, 내관, 별감 등이 인도..

조선의 철학 2015.11.27

논쟁을 옳고 그름보다는 이익을 도모한 모든 학자들/ 이경구/ 한겨레신문

문화책 모두가 논쟁의 옳고 그름보다 이익을 따졌다 등록 :2015-10-22 19:20수정 :2015-10-22 19:36 낙론의 거두였던 이재(왼쪽)와 그의 손자 이채(오른쪽). 유학자의 풍모를 잘 드러내 두 작품 모두 걸작으로 평가받는다. 두 사람의 모습이 매우 닮은 점도 흥미롭다. 학계에서는 손자 이채의 초상을..

조선의 철학 2015.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