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포퍼 원전+번역문 456

토론의 목표는 만장일치가 아니다

토론의 목표는 만장일치가 아니다 4. 자유 토론에 대한 자유주의적 이론 사상의 자유와 자유 토론은, 실제로 더 이상 정당화할 필요가 없는 궁극적인 자유주의적 가치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들은 진리탐구에서 그것들이 수행하는 역할들을 통하여 실용적으로 또한 정당화될 수 있다. 진리는 명백하지 않다; 그래서 진리는 획득하기가 쉽지 않다. 진리탐구에는 적어도 다음 것이 필요하다: (α) 상상력 (b) 시행착오 (c) (α)와 (b) 그리고 비판적 토론을 통하여 우리가 지닌 편견들의 점진적 발견. 서양의 합리주의적 전통은 그리스인들에게서 유래하는데, 비판적 토론의 전통이다 ㅡ 명제들과 이론들을 논박하려고 노력함에 의하여 명제들과 이론들을 검토하고 시험하는 전통이다. 이 비판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은 증거의 방법..

국가는 필요악이니 강력한 자유주의 전통을 세우라

국가는 필요악이니 강력한 자유주의 전통을 세우라 3. 자유주의적 원칙들: 한 무리의 논지들 (1) 국가는 필요악이다: 국가권력은 필요 이상으로 확대되어서는 안 된다. 사람들은 이 원칙을 아마도 ‘자유주의적 면도날(Liberal Razor)’로 부를 것이다. (오캄의 면도날[Ockham's Razor] 즉, 실재들이나 본질들은 필요 이상으로 확대되어서는 안 된다는 유명한 원칙과 유사하게.) 국가의 필요성을 밝히기 위하는 나는 홉스(Hobbes)의 인간은 모든 인간에 대하여 늑대(homo-homini-lupus)라는 견해의 도움을 받지 않는다. 반대로 우리가 인간은 모든 인간에 대하여 고양이(homo homini felis)라고, 심지어 인간은 모든 인간에 대하여 천사(homo homini angelus)라..

통치자의 과제와 철학자의 과제

통치자의 과제와 철학자의 과제 XI 그러나 통치자들은 무엇을 해야 하는가? 대부분의 역사주의자들과는 반대로 나는 이 질문이 조금도 헛되지 않다고 믿는다; 그것은 우리가 논의해야 하는 문제이다. 이유인즉 민주주의에서 여론이 원하는 것을 통치자들이 수행하라고, 정권교체라는 위협에 의하여 통치자들이 강요당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여론은 모든 사람들, 특히 철학자들이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것이다. 민주정치에서 철학자들의 사상이 흔히 미래의 전개상황에 영향을 미쳤다 ㅡ 확실히 매우 상당한 시차를 두고 영향을 미쳤다. 영국의 사회정책은 지금 벤담(Bentham)과 존 스튜어트 밀(John Stuart Mill)의 사회정책인데 그는 사회정책의 목표를 ‘전체 노동인구에게 높은 임금으로 완전고용을 확보하는 것’이라..

마르크스주의 혁명의 오류

마르크스주의 혁명의 오류 나는 여기서 마르크스주의의 인도주의적인 목표들의 문제를 논의하지는 않겠다. 내가 수용할 수 있는 이 목표들에 매우 많은 것들이 있음을 나는 발견한다. 고통과 폭력을 줄이려는, 그리고 자유를 증대시키려는 희망은 마르크스와 많은 그의 추종자들을 고무시켰던 희망이라고 나는 믿는다; 그것은 우리 대부분을 고무시키는 희망이다. 그러나 나는 이 목표들이 혁명적인 방법들에 의하여 실현될 수 없다고 확신한다. 반대로 혁명적인 방법들은 사태를 악화시킬 수 있을 따름이라고 ㅡ 그 방법들은 불필요한 고통을 증대시킬 것이라고 ㅡ 나는 확신한다; 혁명적인 방법들로 인하여 점점 더 폭력이 많이 초래될 것이라고; 그래서 그 방법들로 인하여 자유가 틀림없이 파괴된다고 나는 확신한다. 혁명에 의하여 항상 사회..

사회 음모론

사회 음모론 두 번째 견해는 사회 음모론(conspiracy theory of society)으로서 기술(記述)될 것이다. 그 이론은 사회에서 발생하는 모든 것이 ㅡ 사람들이 대체로 싫어하는 전쟁, 실업, 빈곤, 물품부족과 같은 것을 포함하여 ㅡ 몇몇 강력한 개인들이나 무리들이 직접 고안한 결과라는 견해이다. 이 견해는, 다소 원시적 종류의 미신이라는 것을 내가 의심하지 않을지라도, 매우 널리 퍼져있다. 그 견해는 역사주의보다 (역사주의는 음모론의 파생물이라고 심지어 언급될 것이다) 더 오래되었다; 그리고 그 견해의 현대적 형태로, 그 견해는 종교적 미신의 세속화에 따른 전형적인 결과이다. 그 음모가 트로이 전쟁의 운명을 결정지었던 호메로스 작품의 신(神)들에 대한 믿음은 사라졌다. 그러나 호메로스의 작..

추측과 논박 14장 평범한 언어로 자기-언급과 의미 (번역 수정본)

14장 평범한 언어로 자기-언급과 의미 (번역 수정본) 테아이테토스. 자 소크라테스여, 내가 당신 앞에 내놓을 것이 매우 교묘하니, 내 말을 잘 들으시지요. 소크라테스. 숫자 이론에서 이룬 당신의 업적의 세부사항을 당신이 나에게 내놓지 않고, 평범한 사람인 내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말한다면, 최선을 다하겠다고 내가 약속하오, 테아이테토스. 테. 내가 선생님에게 물을 예정인 바로 다음 질문은, 완벽하게 평범한 언어로 표현될지라도, 특별한 것입니다. 소. 나에게 경고할 필요는 없소: 나는 경청하고 있소. 테. 선생님이 마지막으로 끼어든 두 가지 말 사이에서 내가 무엇을 말했지요, 소크라테스? 소. 당신은 이렇게 말했소: ‘내가 선생님에게 물을 예정인 바로 다음 질문은, 완벽하게 평범한 언어로 표현될지라도..

추측과 논박 13장 심신 문제에 관한 기록 (번역 수정본)

13장 심신 문제에 관한 기록 (번역 수정본) 나의 논문 ‘언어와 신심 문제(Language and the Body-Mind Problem)’가 철학자들의 주목을 받도록 한 것에 대하여 윌프리드 셀라스(Wilfrid Sellars) 교수에게 나는 감사하며, 그리고 그 논문을 ‘도전적(challenging)’ 및 ‘균형이 잡히지 않았을지라도 중요한(telling, if uneven)’으로서 기술(記述)한 데서 그의 친절에 대하여 나는 훨씬 더 깊이 감사한다. 그 논문의 불균형에 관해서 나는 누구보다 더 인식하고 있다. 안데르센의 동화에 나오는 공주가 완두콩에 대하여 민감하게 느끼는 것보다 내가 그 논문의 불균형을 더 민감하게 느낀다고 나는 생각한다. 그리고 나의 빈약한 월계관 잎 중에서 그 논문의 영예를 ..

추측과 논박 12장 언어와 심신 문제, 상호작용론에 대한 재서술 (번역 수정본)

12장 언어와 심신 문제 (번역 수정본) 상호작용론에 대한 재서술 1. 서론 이것은, 인간 언어에 대한 물리주의적 인과론이 불가능하다는 논문이다. 1.1 이것은 언어 분석에 (단어-사용법들의 분석) 관한 논문이 아니다. 이유인즉 철학적 난제들의 근원이 언어의 오용에서 발견될 수 있다는 특정 언어 분석가들의 주장을 내가 철저히 배격하기 때문이다. 의심할 바 없이 어떤 사람들은 터무니없는 말을 하지만, (α) 철학적 헛소리를 탐지하는 논리적이거나 언어-분석적 방법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나는 주장한다 (그런데 그 방법은 논리학자들, 언어 분석가들 그리고 의미론학자들의 지위에서 멈추지 않는다); (b) 그런 방법이 존재한다는 믿음은 ㅡ 더욱 특히 철학적 헛소리가 러셀(Russell)이 아마도 ‘유형-오류들’로 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