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포퍼 원전+번역문 415

자유주의와 국가간섭은 어떻게 양립할 수 있는가

자유주의와 국가간섭은 서로 대립하지 않는다. 반대로, 어떤 종류의 자유도 국가에 의하여 보장되지 않으면 분명히 불가능하다. 예를 들어, 교육에서 젊은이들이 자신들의 자유를 방어하지 못하도록 만드는 태만으로부터 보호를 받으려면, 그리고 국가가 모든 교육시설이 모든 사람에게 이용될 수 있도록 감독해야 한다면 어느 정도의 국가 통제가 필요하다. 그러나 교육 문제에서 국가 너무 많이 통제하면 자유에 치명적인 위험이 되는데 그 까닭은 국가의 지나친 통제가 세뇌 교육을 초래하기 때문이다. 이미 밝혀진 바와 같이, 자유의 제한이라는 중요하고도 어려운 문제는 틀에 박힌 공식으로는 해결될 수 없다. 그리고 항상 어중간한 사례가 있다는 사실은 환영되어야 하는데 그 까닭은 정치적 문제가 지니는 자극과 이런 종류의 정치적 갈..

기독교의 전체주의적 이념을 경계하여

플라톤이 개인주의를 이기주의와 동일시한 것을 우리가 기억한다면 그러한 진술과 무수히 많은 비슷한 진술들은 쉽게 설명될 수 있다; 이유인즉 이 모든 플라톤주의자들은 반(反)-개인주의가 이타심과 같다고 믿기 때문이다. 이 동일시로 인하여 반(反)-인도주의적 정치선전의 성공적인 효과가 발생했고, 우리 시대까지 윤리 문제에 관한 사고가 혼란되었다는 나의 주장이 이런 이유로 예시된다. 그러나 이 동일시와 허장성세에 속아서 플라톤의 명성을 도덕에 대한 스승으로 추앙하고 플라톤의 윤리학이 그리스도 이전의 기독교 신앙에 가장 근접한다고 세상에 선언한 사람들이 전체주의를 향한, 그리고 특히 기독교 신앙에 대한 전체주의적이고 반(反)-기독교적 해석을 향한 길을 마련하고 있다는 것을 우리는 또한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이것..

서양의 핵심 사상은 개인주의와 이타주의

‘개인주의(individualism)’라는 용어는 (옥스퍼드 사전에 따르면) 두 가지 다른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α) 집단주의의 반대로, 그리고 (b) 이타주의의 반대로 사용될 수 있다. 전자(前者)의 의미를 표현하는 다른 말은 없지만 후자(後者)에 대한 동의어는 몇 가지가 있어서 예를 들면 ‘이기주의’나 ‘이기심’이다. 이것이 다음에서 내가 ‘개인주의’라는 용어를 전적으로 (α) 의미로만 사용하고 (b)의 의미를 나타내고자 할 때는 ‘이기주의’나 ‘이기심’이라는 용어를 쓰는 이유이다. 작은 표를 만들면 유용할 것이다: (α) 개인주의는 (α') 집단주의의 반대이다. (b) 이기주의는 (b') 이타주의의 반대이다 이제 이 네 가지 용어들은, 규범적 법칙들의 법전에 대하여 어떤 자세나 요건 혹은 결정..

열린사회와 그 적들, 5장 자연과 규약 (번역 수정본)

5 장: 자연과 규약 플라톤은 과학적 탐구의 정신을 가지고 사회현상에 접근한 최초의 사람이 아니었다. 사회과학의 시작은 적어도 자칭 ‘소피스트(Sophists)’였던 위대한 사상가의 시조인 프로타고라스(Protagoras) 세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사회과학의 시작은, 인간의 환경에서 두 가지 다른 요소를 ㅡ 인간의 자연적 환경과 사회적 환경 ㅡ 구분해야 할 필요성을 깨닫게 됨에 의하여 표시된다. 이 구분이 심지어 지금 우리들 생각 속에서 분명하게 확립되지 않다는 사실로 추론될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구분은 실행하여 이해하기 어렵다. 이 구분은 프로타고라스이래 줄곧 의문시됐다. 우리들 대부분은 사회적 환경의 고유성들을 마치 ‘자연적인 것’인 양 수용하려는 강력한 경향을 지닌 듯싶다. 원시적인 종족적 사회..

열린사회와 그 적들 (번역 수정본) 1권 플라톤의 기술적 사회학, 4장 변화와 정지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플라톤의 기술적(記述的: DESCRIPTIVE) 사회학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제4장: 변화와 정지 플라톤은 초기 사회과학자의 한 사람이자, 의심할 바 없이 단연코 가장 영향력이 있는 사회과학자였다. 콩트(Comte)나 밀(Mill), 그리고 스펜서(Spencer)에 의하여 이해되는 ‘사회학’이라는 용어의 의미에서, 플라톤은 사회학자였다; 다시 말해서 그는 자신의 관념론적 방식을, 사회생활의 안정에 관한 법칙과 조건뿐만 아니라 인간의 사회생활과 그 사회생활의 발전법칙에 대한 분석에 성공적으로 적용했다. 플라톤이 끼친 커다란 영향에도 불구하고 그의 가르침 중 이 부분은 거의 주목받지 못했다. 그것은 두..

열린사회와 그 적들 (번역 수정본) I권 3장 플라톤의 형상이나 이데아 이론

제3장: 플라톤의 형상이나 이데아 이론 I 플라톤은 우리가 알고 있는 것에 비하여, 헤라클레이토스를 당황하게 만들었던 시대보다 훨씬 더 불안정한 전쟁과 정치적 갈등의 시대에 살았다. 그가 성장하는 동안 그리스인들의 종족적 생활이 붕괴하면서 그가 태어난 도시인 아테네에는 참주정치가 나타나고, 그다음에는 참주정치나 과두정치 다시 말해서 유력한 귀족 가족이 다스리는 정치를 재도입하려는 시도에 대항하여 열정적으로 스스로를 보호하려 했던 민주정치가 나타났다. 그의 젊은 시절에 민주주의적인 아테네는 펠로폰네소스 반도의 주요 도시-국가인 스파르타와 지독한 전쟁에 휘말렸는데 스파르타는 고대 종족적 귀족정치의 법과 관습을 많이 보존하고 있었다. 펠로폰네소스 전쟁은 한 번만 중단되고 28년 동안 계속되었다. (10장에서 ..

열린사회와 그 적들 1권 (번역 수정본), 2장 헤라클레이토스(HERACLITUS)

제 2장: 헤라클레이토스(HERACLITUS) 헤라클레이토스(Heraclitus)에 이르러서야 역사주의적 특징에서 선택된 민족이라는 교설과 비견될 수 있는 이론들을 우리는 그리스에서 발견한다. 호메로스(Homer)의 신학적 혹은 더 정확하게 다신론적 해석에서, 역사는 신(神)의 의지의 산물이다. 그러나 호메로스의 신(神)들은, 역사발전에 관하여 일반적인 법칙을 세우지 않는다. 호메로스가 강조하여 설명하려고 노력하는 것은 역사의 통일성이 아니라, 오히려 역사의 통일성 결핍이다. 역사의 무대에서 펼쳐지는 극작가는 한 분의 하느님이 아니다; 매우 다양한 제신(諸神)이 그 연극에서 장난을 친다. 호메로스의 해석이 유대인들과 공통되는 것은, 어떤 모호한 운명에 대한 감정 및 무대의 뒤에 있는 권력에 대한 관념이다..

열린사회와 그 적들 1권 1장 역사주의와 운명의 신화 (번역 수정본)

열린사회와 그 적들 1권 플라톤의 마술 열린사회를 위하여 (기원전 약 430년): 극소수가 정책을 만들어낼지라도 우리 모두는 그 정책을 판단할 수 있다. 아테네의 페리클레스(PERICLES OF ATHENS). 열린사회를 반대하여 (약 80년 후): 가장 중요한 원칙은, 남녀를 불문하고 누구에게도 지도자가 있어야 한다. 그리고 어떤 사람의 생각도 자기 마음대로 행동할 수 있도록 습관화가 되어서는 안 된다; 열정으로도 심지어 장난으로도 그렇게 습관화되어서는 안 된다. 그러나 전쟁과 평화 시에도 그의 눈은 자신의 지도자를 향해야 하며 지도자를 충성스럽게 추종해야 한다. 그리고 심지어 가장 작은 문제에서도 그는 지도력을 따라야 한다. 예를 들어, 그는 명령을 받을 때만 기상하고, 움직이거나, 세수를 하거나 식..

열린사회와 그 적들 (번역 수정문), 1권 서문

번역 수정에 대한 역자의 언급 본 저서는 1971년 프린스턴 대학 출판부 판본을 역자가 2007년에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부분에서 평역하여 번역했고, 원문에 지적된 바와 같이 원주 없이도 내용을 이해할 수 있어서 역자는 원주를 번역하지 않았다. 그러나 2021년 12월 역자는, 칼 포퍼 경의 공저인 자아와 자아의 두뇌(The Self and Its Brain)를 제외하고 모두 번역했기 때문에 역자는 저자의 생각과 언어사용법 대부분을 이해할 수 있어서 다시 번역물을 되돌아보고 미흡하거나 누락 및 오역된 부분을 찾아 수정 및 보충을 하고 평역이 아닌 단순한 번역으로 원주도 번역하고 싶었다. 따라서 역자가 26년에 걸쳐 번역한 칼 포퍼 경의 저서들 모두가 중요하지만 가장 중요한 저서 중 하나인 열린사회와 그 적..

지식과 심신문제, 편집자 발문

편집자 발문 지식과 심신문제(Knowledge and the Body-Mind Problem)는, 칼 경(Sir Karl)이 1969년 봄 에머리 대학(Emory University)에서 행한 케난 강좌(Kenan Lectures)에 근거한다. 이 강좌는 주석 없이 수행되었고, 이 저서의 탄생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 강좌들에 따라 그리고 그 강좌들에 이어진 토론회들에 따라 만들어진 녹음기록에서 기인한다. 이 녹음기록은 분명히 1970년대 초반에 기록으로 옮겨졌다. 당시 칼 경(Sir Karl)은 강좌들을 수정하기 시작했고 그는 강좌들을 책으로 다시 출판할 분명한 의도로 심지어 서문을 썼다. 각 강좌의 몇 가지 판본이 준비되었고 비판을 청하여 비판을 받았다. 그러나 다른 일들로 인하여 칼 경(Sir Kar..